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해외통신원
[세계의 관객을 만나다-로마] 현실이 영화보다 비극적이다

로마의 에우르치네 극장에서 만난 다비드 토리(36)는 로마대학 인류학과 시간강사다. 그런데 시험기간이라 학교에 갔더니 시험을 보러 온 학생이 한명도 없어서 대신 로마 20개관에서 상영 중인 마르코 벨로치오의 <빈체레>(Vincere)를 보러 극장에 왔단다. 올해 칸영화제 경쟁작이기도 한 <빈체레>는 무솔리니의 아이를 가졌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정신병자로 몰려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던 무솔리니의 숨겨진 정부(情婦)에 대한 이야기다.

-학생이 시험에 응하지 않을 수도 있나? 그럼 낙제일 텐데. =학생이라고 꼭 학교에 가야 하나? 학생이라고 꼭 시험에 응시해야 하나? 시험을 보지 않더라도 삶은 변함이 없다. 낙제를 한 학생은 다음 학기에 다시 수강하면 된다. 그래서 대학 졸업하는 데 8년씩 걸리기도 한다.

-기가 막히다. 한국 사람으로서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탈리아 사람인 나도 이해가 되지 않는데 어련하겠나. (웃음) 학생들이 시험을 보지 않더라도 영화는 본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주제인 영화를 이용한 강의도 많이 했고…. 영화는 다양한 방식의 의사소통과 역사, 문화, 정치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빈체레>를 선택한 이유는 뭔가. =진실일까, 희극일까 그런 의문이 들어 이 영화를 보러 오게 됐다.

-진실에 대한 답을 얻었나. =아니 더 많은 의문을 갖게 되었다. 1914년과 1920년을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는 신비스럽다. 허구와 사실을 넘나들면서 어느 것이 진실인지 가늠하기가 힘들다.

-무솔리니가 원래 아망테(애인)가 좀 많았다고 하더라. =그렇다. 1950년대 주간지 <인콤 일루스트라타>가 처음으로 무솔리니와 그의 애인에 대해 이야기를 했던 것으로 기억난다. 진실인지 아닌지는 증거 부족으로 규명할 방법이 없지만, 세상에 회자되어 많은 사람의 관심을 불러모은 이야기인 건 사실이다.

-이 영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뭘까. =힘이 있는 사람은 역사를 바꿀 수도 있다는 걸 말하는 것 같다. 무솔리니와 베를루스코니가 미디어를 장악한 것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끈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힘을 가진 자는 진실을 무덤 속에 가둘 수도 있고 사람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하게 할 수도 있다. 무솔리니가 파랑을 빨강이라고 주장했다면 사람들은 파랑을 빨강이라고 말했을 것이다. 영화에서 누군가가 여주인공에게 “지금은 진실을 외칠 수 있는 시기가 아니다. 입을 다물고 어떤 역할을 연기하라”라고 했던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감독이 이 영화를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마르코 벨로치오는 정치와 역사에 관심이 많은 감독이다. 반체제주의자이기도 하다. 감독은 자신의 진실을 지키고자 하는 주인공의 소신에 중심을 둔 것 같다. 지금 이탈리아 총리 베를루스코니가 권력과 미디어를 장악하고 개인에게 권력을 행사하는 모습은 영화보다 더 심한 비극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영화가 권력을 가진 자에게 ‘진실은 불편하다’고 말하는 걸까. =한 사람의 목소리는 사회라는 덩어리 속에 묻히게 된다. 원래 무솔리니는 1914년 사회주의자였다. 그가 왕권정파인 우파에 반대하고 레푸블리카(공화당)와도 협력하지 못했던 시기를 영화를 통해 다시 볼 수 있었다. 감독은 우파가 정권을 잡고 파시즘이 다른 형태로 모습을 드러내는 지금의 현실을 비추려 한 것 같다. 지금 이민과 난민을 거부하고 나치즘의 성격을 띤 네오파시즘이 큰 사회문제다. 베를루스코니는 난민법을 개정하려고 한다. 전쟁과 분쟁으로 갈 곳을 잃은 사람들이 이탈리아에 체류하는 걸 반대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땅은 누구의 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베를루스코니의 것은 더더욱 아니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