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읽기
[영화읽기] 폐쇄적이고 슬픈 발악

정서적 과잉과 안전한 서사가 공존하는 <마더>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난감한 고민에 빠졌다. 내가 본 건 분명 정념이 넘치는 장면들의 연속이었는데, 왜 이렇게 마음이 건조한 걸까. 분명 김혜자는 세상에서 가장 히스테리적인 엄마였는데, 그 히스테리의 뜨거운 흔적이 왜 내 마음에서는 널뛰지 않고 식어버리는 걸까. 이 영화가 걷잡을 수 없는 광기보다는 잘 주조된 장르영화의 구조에 우위를 두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만 단정하고 말기에 (대부분은 김혜자의 것인) 개별장면의 정서적 과잉과 영화 전체의 치밀하게 정돈된 느낌 사이의 간극이 너무 크다. 그 점이 극장을 나서는 나를 불안하게 했고, 간극의 이유를 영화에서 찾아내는 것이 <마더>를 이해하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절을 드러내는 클로즈업

그 간극에 대한 느낌은 이렇게 바꿔 말할 수도 있겠다. 개별 숏의 밀도는 높지만, 이들이 전체적으로 연결될 때 밖으로 폭발하지 않고 내부로 자꾸 밀고 들어오는 것 같은 느낌이 있다. 이를테면 영화를 본 거의 모든 사람들의 찬사처럼 김혜자의 연기는 물론 이 엄마의 광기가 그 자체로는 엄청난 파급력을 갖고 있음에도 스크린 속의 세계를 균열하거나 어떤 극단으로 치닫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의아했다. 조금 과장되게 말해, 위험한 엄마의 형상과 안전한 서사의 공존은 어떻게 가능한가? 오해를 피하자면, 나는 이 엄마의 무한한 광기가 결국 한국사회의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해결되는지, 혹은 잉여로 남게 되는지 등의 내용적 차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은 게 아니다. 그보다 궁금한 건 각 장면이 욕망으로 기이하게 차오르지만, 이들이 부딪쳐 터지지 않고 영화 내적으로 끈질기게 억압된다는 사실, 인물들은 한결같이 욕망 덩어리지만, 그 욕망이 상대를 찾아 분출되기보다는 음험하게 영화를 맴돌고 있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그걸 담아내기 위해 <마더>가 취하는 영화(형식)적인 선택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우선 엄마(김혜자)와 아들 도준(원빈)이 대화를 나눌 때나 서로를 응시하는 가장 친밀한 장면에서조차 상대의 존재감이 느껴지지 않는 데서 오는 당혹감을 말해야 할 것 같다. 그건 도로를 사이에 두고 가게 안과 밖에 존재하는 엄마와 아들의 물리적 거리가 있을 때뿐만 아니라, 이들이 같은 식탁에 앉아 있을 때에도, 면회실의 투명 플라스틱 벽을 사이에 두고 있을 때에도 마찬가지다. 한마디로 이들에게는 상대의 시선, 언어에 대한 리액션이 부재한 것처럼 보인다. 물론 이 말은 영화상에서 둘 사이에 반응 숏이 없다는 게 아니라, 있을지라도 상대에 대한 어떤 끈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카메라가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엄마와 아들을, 정확히 말하면 각각의 얼굴을 오갈 때조차 이들은 대체로 서로로부터 철저히 고립되고 단절된 것처럼 보인다. 도준이 또래보다 지적으로 모자란 아이고, 엄마가 히스테리에 갇힌 여자인 것도 단순히 극적 효과를 위한 우연한 설정이 아닐 것이다. 완전히 텅 비었거나 온전히 홀로 충만한 얼굴. 여기서 영화를 본 누구나가 지적하는 인물들의 얼굴 클로즈업을 언급해야 할 것이다. 김혜자와 원빈의 클로즈업이 인상적인 이유는 흔히 말하듯 이들의 모호한 내면을 드러내주기 때문이기보다는 누군가와의 교감을 통해 해소되거나 소통되지 않는 불안 그 자체만을 프레임이 터질 듯, 그러나 터지지 않을 정도까지 팽창시키기 때문이다. 이 클로즈업은 자크 오몽식으로 말해보면 커뮤니케이션이나 사건에 예속된 것도, 다른 얼굴과의 만남을 위한 것도 아니다.

모성은 누구도 구하지 못한다

이때 이상한 점. <마더>는 모성의 이야기다. 그건 광기든 숭고든 이 이야기가 엄마와 아들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여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영화가 특히 잦은 얼굴 클로즈업을 통해서 보여주는 건 앞서도 말했듯 서로에게 반응하는 관계가 아니라 단절과 고립감이다. 영화 속 진태(진구)가 엄마에게 하는 충고의 문장을 약간 변용해보자면, ‘아무도 믿지 않는’ 얼굴이고 장면들이다. 그러니까 영화는 우리가 믿는 모성이라는 것이 관계의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고 말하는 중이다. 영화 속 개별장면, 개별인물의 정념은 충만하지만, <마더>는 예상과 달리 (엄마와 아들의) ‘관계’에서 파토스를 끌어내는 영화가 아니다. 나아가 <마더>는 모성이 광기로 치닫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혹은 좋은 모성이 나쁘게 변질되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모성 그 자체가 이미 자기 파괴적인 광기라고 은밀하게 말하는 이야기에 가깝다. 김혜자의 얼굴 클로즈업은 프레임 안에서 무언가 지글거리는 인상을 주는데, 거기서 끈질기게 내부를 갉아먹는 광기가 보인다.

예컨대 김혜자의 들판에서의 소름 돋는 춤 시퀀스가 끝난 뒤 바로 이어지는 도입부는 그런 뉘앙스를 집약적으로 전달한다. 가게 안에서 작두를 써는 엄마의 시선은 가게 밖, 도로 건너편에서 장난치는 아들을 향해 있다. 이 시선이 너무 불안하고 위태로워서 무언가 일이 벌어질 거라는 예상을 하는 찰나, 아들은 차에 치이고 그 순간 엄마는 작두에 손가락을 벤다. 이후에도 비슷한 장면이 더 등장하는데 이때 아들은 형사에게 붙잡혀 경찰차에 강제로 태워진다. 앞서 말한 것과 달리 이 도입부에서는 엄마와 아들 사이에 어떤 긴밀한 교감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결과적으로 이는 그것의 불가능성에 대한 장면이다. 엄마와 아들의 관계, 그 끈을 상징하는 시선은 결국 무력하게 실패한다. 그 시선은 아들의 사고를 막지 못하고 엄마에게서도 기어이 피를 본다. 즉 모성은 아들을 구하지 못할뿐더러 엄마 자신도 구하지 못한다. 그러니 과연, <마더>가 누가 누군가를 보호하는 영화라고 단정할 수 있을까.

봉준호는 ‘어머니와 섹스’라는 이상한 조합의 매력에 대해 말한 적 있다. 일반적으로 모성을 이야기 할 때, 어머니는 성불능 혹은 처녀생식하는 여자로 여겨진다. 모권을 지키는 엄마는 성적인 존재가 되어서는 안된다. 새삼스럽게 이 해묵은 논지를 꺼내는 이유는 영화 속 엄마의 광기가 공권력이나 가부장제와 싸우며 홀로 아들을 구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거라고 믿고 싶겠지만, 실은 성적인 엄마가 되고 싶은 욕망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쪽이 설득력있다고 말하고 싶어서다. 그걸 암시하는 장면들은 많다. 덧붙여 지적하고 싶은 건 영화 속 엄마의 친밀한 이웃인 사진관 여인의 미스터리(?)다. 그녀는 오랫동안 아이를 낳고 싶어 한 것 같고 김혜자는 자기에게도 효험이 있었다며 그녀에게 침을 놓는다. 이상한 건 이 사진관 여인이 나오는 모든 장면에 남편의 존재, 혹은 섹스 파트너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점이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침으로 아이를 잉태한 이 처녀-엄마들은 섹스를 말하지 않음으로써 섹스를 입 속으로 삼킴으로써 가장 성적인 엄마의 얼굴이 된다. 다시 말하지만, 김혜자의 얼굴 클로즈업.

해소되지 않은 광기

알려졌듯, 휑한 들판에서 엄마의 춤으로 시작했던 영화는 관광버스 안 엄마들의 춤으로 끝난다. 그런데 이 마지막 춤의 결말은 첫 시퀀스의 춤과 비교해도, <살인의 추억> <괴물>의 결말과 비교해도, 뭔가 해소되지 않는 찜찜함을 남긴다. 앞의 두 영화에서 결말은 비극이고 미결이었지만 어딘가의 미래로, 혹은 과거로 열려 있었다. 그러나 <마더>의 마지막 장면은 영화 속 사건이 어쨌든 해결된 뒤이며, 심지어 흐느적거리는 집단 춤인데도 그 순간에 꽉 막혀 있는 것 같다. 폐쇄적이고 슬픈 발악이다. 해결이란 불가능한 땅에서 해결을 맞이하는 건 미결보다 불행한 일이라는 걸까. 불법으로 침을 놓는 엄마가 가장 자주 하던 말 중 하나는 갑갑한 속을 뚫어주는 침 자리에 대한 것이었다. <마더>는 영화 자신에게 끝내 그 자리를 마련해주길 망설인다. 그게 이 영화가 갈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보는 것 같다. 다만 그럴수록 이 가련한 엄마는 꾸역꾸역 광기를 삼킨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