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생략과 과잉이 충돌하는 불균질의 드라마 <황진이>

생략과 과장의 엇갈린 충돌이 자꾸 지연시키는 매혹의 순간들

상사병을 앓다 목숨까지 잃은 총각의 상여가 황진이의 집 앞에 머물 때다. 혼례를 위해 준비했던 아름다운 치마를 관 위에 손수 덮어주는 데 예서 멈추지 않는다. 황진이는 모여든 사람들에게 더이상 고고한 양반집 규수로 살아가지 않겠다고 생생한 육성으로 고한다. 그런데 기생 명월으로 재탄생하겠다는 이 선언의 타이밍 후보는 좀더 있었다. 가령, 파혼당한 뒤 출생의 비밀과 성인군자로 위장하는 데 성공했던 ‘색마’ 아버지의 정체를 동시에 알고 분노에 차서 아버지의 족자를 집어던질 때라든지, 기생이 되기로 작정한 뒤 신분이 달랐던 놈(유지태)과 처음으로 몸의 정분을 나눌 때는 어땠을까.

배치가 바뀌었다면 환골탈태의 선언적 의미도 좀더 달라졌을 것이다. 아버지와 관련한 신이었다면, 권세있는 수컷의 위선을 작파해보겠다는 쪽으로 기울어 읽힐 것이고, 놈과 관련한 신이었다면, 계급의 위계를 나름대로 무너뜨리고 살겠다는 독한 작정으로 보일 것이다. 상사병 상여장면에 문뜩 끼어든 황진이의 선언에는 이런 심정이 엿보인다. ‘출생부터 뒤틀린 이놈의 몸뚱아리가 얼마나 잘난 것이기에 생사람의 애를 끓이다 죽게까지 만들었는가, 그 몸뚱아리를 향유의 시장에 내놓아 만인의 소유로 삼겠노라.’ 물론 이런 말은 생략되었다.

이상한 건 이런 선택에도 불구하고 극의 흐름이 절세가인의 몸뚱아리 향연이 아니라 아버지로 상징되는 도덕의 지배체계와 놈으로 상징되는 계급의 폭력성에 가닿고 가속된다는 점이다. 기생이 된 뒤에 현악기를 다루거나 수묵화를 그리는 예인으로서의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데 전혀 관심 보이지 않는 건 이런 맥락과 맞아떨어진다. 대신 황진이의 날렵한 붓놀림을 선보이는 데 이는 시라는 지적 유희로 도덕과 계급의 위선에 대결하는 도구처럼 쓰인다. 결과적으로 상사병 상여장면은 불필요한 주석이거나 과다한 친절이 되고 만다.

이처럼 <황진이>는 생략과 과잉이 곳곳에서 충돌하는 불균질의 드라마다. 놈이 처음으로 싸움 솜씨를 선보일 때, 상대방의 다리건 팔이건 사정없이 부서뜨리는 기세가 무자비하다. 놈이 임꺽정 같은 의적의 우두머리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 초반의 격투신은 지나치게 격하다. 진이가 혼사를 앞두고 세상구경하겠다며 남장을 하고 나섰을 때, 질퍽한 유곽거리라고 말리는데도 굳이 청교방으로 나들이하는 신을 등장시킬 때는 그녀의 타고난 용감함에 감탄하기보다 음란함에 대한 호기심이 선천적이라고 암시하려는 걸까 의아스러워진다. 그곳에서 사내들에게 봉변당하고 놈이 홀연히 나타나 구해주는 대목에 이르면 유곽과 로맨스를 대하는 상투성에 생략의 미가 아쉬워진다. 반면, 놈이 황진이의 생모를 만나 출생의 비밀을 듣게 되는 과정의 개연성이나, 놈이 그 비밀을 한양까지 찾아가 고자질하기까지의 고뇌는 과감히 생략돼 있다.

<황진이>의 ‘현대성’은 각각 전경과 후경에 깔아놓은 패션과 질투의 향연에서 드러난다.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삼각구도(황진이, 놈, 송도 류수 사또)는 시대성과 계급성을 폭로하는 기폭제인 동시에 비극적 러브스토리의 정점을 완성하는 동력장치다. 여기서 사랑의 일그러진 자화상이 흘러나온다. 세 인물의 에너지가 일종의 질투에서 촉발되고 강화되기 때문이다. 질투가 어떤 목표를 잡고 싶으나 잡히지 않는 거리감에서 생겨나는 절망스런 욕망의 에너지라고 했을 때, 놈과 사또의 격한 행위들은 이 에너지에서 직접적으로 기인한다. 황진이라고 여기서 예외일까. 예컨대 놈에게 기둥서방의 노릇을 부여하며 몸을 섞을 때, 그녀의 눈에 맺히는 눈물은 환희라기보다 울분에 가까워 보인다.

“세상을 내 발밑에 두고 실컷 비웃으며 살 거야”라는 황진이의 기세는 관능미와 거리둔 값비싼 스타일로 과시된다. 명월이의 안방에 닿으려면 징검다리로 건너야 할 연못을 거치도록 만든 마당의 디자인이나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모던한 디자인으로 수놓인 스타일은 쉽게 흉내낼 수 없는 고고한 자태다. 설경에 감싸인 금강산으로 위태롭게 걸어 들어갈 때조차 흐트러짐이 없다(이 멋의 향연은 때로 거슬릴 정도로 인위적이다. 사또가 주관하는 만찬이 겸상이 아닌 독상으로 펼쳐질 때, 그 모습은 깔끔하지만 어쩐지 일본적 이미지 같아서 시선이 산만해진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