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편집장이독자에게
[편집장이 독자에게] 전도연에게 박수를 보낸다

지난 5월28일 월요일 새벽 칸영화제 수상결과를 기다렸다. 월드컵 경기도 아니고 올림픽 금메달을 놓고 다투는 것도 아니건만 <밀양>이 상을 받을 것 같다는 소식을 접한 뒤로 궁금해서 잠이 오지 않았다. 여우주연상을 받았다는 결과를 접하자 휴우~ 안도의 한숨이 흘러나왔다. 우울했던 영화계가 오랜만에 힘을 낼 수 있는 낭보였다. 어떻게 보면 영화를 놓고 1등, 2등을 논한다는 게 우스운 일이라 수상에 흥분하는 내가 촌스럽게 느껴지기도 했지만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이 했다는 말을 떠올리며 그런 자신을 합리화했다. “영화는 상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젊은 나에게는 그 상이 필요했습니다. 그건 내가 틀리지 않았다는 격려 같은 것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상은 영화가 아니라 그것을 만드는 인간에게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는 영화를 만들면서, 같은 동네에 살면서 서로 격려하는 것입니다.”

<밀양>의 전도연에 대한 칭찬은 차고 넘치게 많으니 더 보태지 않아도 좋을 듯싶다. 대신 개인적인 기억을 불러내보면 첫 영화 <접속>을 마치고 두 번째 영화 <약속>을 하기 직전에 처음 그녀와 인터뷰한 적이 있다. 그때 전도연은 “난 얼굴이나 몸매로는 안 되니까 실력으로 승부를 걸자”는 말을 했다. 농담처럼 한 얘기지만 그 무렵 전도연에 대한 기사들이 대체로 강조했던 것은 “미모보다 실력”이라는 이분법이었다. 또래 여배우들이 미모를 앞세워 CF스타가 되는 동안 <접속>과 <약속>의 잇단 흥행으로 ‘눈물의 여왕’으로 떠받들어진 그녀는 어려서 스타가 된 배우치고 드물게 스타의식이 강하지 않았다. 일례로 <약속> 시사회를 앞두고 음성메시지를 받고 깜짝 놀란 일이 있었다. <약속>에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부탁하는 메시지였는데 휴대폰에서 갑자기 전도연 목소리가 나와 웬일인가 싶었다. 많은 영화담당 기자들이 같은 메시지를 받았을 텐데 그전에도 이후로도 배우가 자기 영화를 위해 직접 녹음한 음성메시지를 전하는 일은 없었다. 아마도 영화사가 부탁한 일이 아닐까 싶지만 그래도 참 열심히 하는 배우라는 인상을 남긴 사건이었다. 물론 작품으로서 놀란 것은 <해피엔드>였다. <내 마음의 풍금>에서 17살 산골 소녀로 나왔던 그녀가 욕망에 휩싸인 유부녀로 등장했을 때 지금껏 알던 것과 전혀 다른 전도연을 만난 느낌을 받았다. 그녀를 실제로 다시 만난 건 3년 전 <인어공주> 촬영장이었다. 데뷔 초 만인의 여동생 같은 이미지가 강했던 그녀는 어느새 촬영장의 맏언니 노릇을 하고 있었다. 그때 전도연은 이렇게 말했다. “흥행배우도 좋지만 믿음을 주는 배우가 되고 싶다. 왜 그런 영화들 있지 않나. 누가 나오니까 볼 만하겠네, 하는. 전도연 나오면 볼만하겠네, 그런 신뢰를 주는 배우가 되고 싶다. 영화에 대해 내 책임을 다하고. 안 그러면 누가 쓰겠나.”

그녀의 소망대로 전도연은 신뢰가 가는 배우로 자리를 잡았다. 그 믿음은 한계를 뛰어넘는 전도연의 연기 폭에서 비롯됐으나 <밀양>에 이르러서는 넓이를 뛰어넘어 다른 차원의 깊이를 더했다는 인상을 받는다. 물론 한국에는 전도연 못지않게 연기 잘하는 배우들이 있다고 생각하며 칸영화제가 전세계에서 가장 연기 잘하는 사람을 뽑는 대회도 아니다. 평가절하하자면 그냥 작품 운이 좋아서, 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전도연이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느냐고 물었을 때 부정할 사람이 별로 없을 것이란 사실이다. 받을 만한 사람이 받았다는 느낌. 그것이 전도연에게 보내는 축하를 의례적인 것이 아니게 만든다. 진심으로 전도연의 수상을 축하한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