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새가슴 소시민의 두 얼굴, 김기천
이영진 사진 이혜정 2007-02-06

“체구도 작고, 꾸부정하고, 머리도 벗겨졌고. 영락없는 소시민이잖나. 근데 억눌림 이면의 억울함이나 분노 같은 감정들까지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킬리만자로>를 보면서 느꼈고, <짝패> 때 그런 장점을 살리려고 했다.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마스크에 선생의 비하인드 스토리가 덧붙여지면 캐릭터가 확 살아난다. 준비도 철저하다. <주먹이 운다> 때는 일수쟁이 의상을 직접 구해서 입고 오셨다. 입김 우려서 도장 찍는 연기를 보면서 몇번이고 놀랐다. <짝패>의 살수 역 때도 흥얼거릴 노래까지 준비해오셨다. 저예산 프로젝트라 저작권 문제 때문에 결국 쓰지는 못했지만.”(류승완 감독)

“다들 선한 얼굴이라고 해. 그래서 만날 소시민이지 뭐.” 김기천은 지금까지 주로 새가슴을 가진 인물들을 연기했다. 아들을 빼내기 위해 형사에게 뇌물로 보신탕을 안기는 아버지(<범죄의 재구성>), 보일러실에서 끝까지 살아남아 공포를 평생 안고 살았을 강씨(<그때 그사람들>), 강 객주의 원혼에 비명횡사하는 허 서방(<혈의 누>) 등이 떠오르는가. “새끼부터 잘라요? 엄지부터 잘라요?”라고 묻는 <짝패>의 고문기술자 살수가 그래서 더욱 눈에 띌 것이다. “<위대한 유산> 때는 오상훈 감독이 나보고 변호사를 하라는 거야. 번쩍거리는 양복까지 세벌이나 맞춰줬는데, 막상 촬영하기 전에 그래. 연기는 이장 스타일로 해달라고. (웃음) 근데 내 안에 뭐가 흘러. 감추고 살아서 그렇지 다들 그렇잖아. 폭력이나 범죄를 아무렇지 않게 저지르는 냉혹한 킬러를 해보고 싶은데 말이야. 내가 술자리에서 이런 말 하면 친한 감독들이 그래. ‘이번에 말고 다음에 꼭…’.”

오만 가지 감정을 내뿜으면서 전율을 느끼기 전까지 김기천은 고향인 충남 청양에서 통닭집을 했다. 서울에 올라온 것도 배우 입문을 위해선 아니었다. “5년만 죽어라 벌어서 고향 가려고 했지. 근데 돈이 안 붙더라고. 전에 가슴이 허할 때 서울 오면 연극 보곤 했는데. 그날도 대학로를 어슬렁거리다가 포스터라도 붙여봐야겠다고 극단 아리랑에 찾아갔지. 지금까지 연기하고 있는 것도 어릴 때부터 떼내지 못한 병적인 외로움하고 부끄러움 때문일 거라고.” 서른 넘어 극단에서 단역 생활을 시작한 그는 지난해 다시 공연하기도 했던 <격정만리>(1991)를 가장 맘에 드는 작품으로 꼽는다. “무대에 선 첫 작품이니까. 그때 의상 갈아입기 바빴어. 몸은 하나인데 맡은 인물이 너무 많아서.” <서편제>(1993)에 출연하게 된 건 당시 극단 대표이자 연출가였던 김명곤의 추천 때문이다. “약장수 역할인데 임권택 감독님이 카메라가 나를 쭉 따라갈 거라고 하셨어. 그래서 방방 뛰면서 죽어라고 했지. 근데 나중에 알고 보니까 나는 쓱 훑고 지나가고 반대편에서 나오는 오정해를 잡더라고. 그때는 많이 섭섭했지. (웃음)” 영화는 “시공간의 제한없이 인물들의 내면을 펼쳐 보일 수 있는 장이 있어서 좋다”는 그는 정말이지 고독한 인물을 연기해보고 싶다. “푸르스름한 새벽녘에 텅 빈 거리를 쓰윽 하고 쓸고 지나가는 인물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니까. 영화든 연극이든 나한테 수다스러운 인물을 원하는데 말이지. 사실 나, 고뇌하고 심오한 캐릭터야.”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