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하루 동안의 보편적인 이야깃주머니, <눈부신 하루>
박혜명 2006-02-21

<공항남녀>

한국인에게도 낯선 곳 제주도에서 일본 소녀들이 방황한다. 한국 소년은 엄마 찾아 현해탄을 건너려 한다. 온갖 국적 사람들이 들고 나는 인천공항 안에서는 한국 여자와 일본 남자가 조우한다. <눈부신 하루>는 한국과 일본이 겹쳐지는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담아낸 세개의 단편 옴니버스다. 단편 <Home Video>와 극장편 데뷔작 <거울 속으로>의 김성호 감독, 단편 <폴라로이드 작동법> <낙원>의 김종관 감독, 단편 <지우개 따먹기> <외계의 제19호 계획>의 민동현 감독이 각각의 이야기를 쓰고 연출했다.

김성호 감독의 <보물섬>에서 일본인 소녀 미에(모리 유키에)의 할아버지는, 자기가 젊은 시절 제주도에 머문 적이 있는데 그때 한림이란 곳 붉은 나무 아래 보물을 묻어두었노라 유언을 남긴다. 미에는 친구 에이코(서영화)와 함께 제주도 땅을 밟는다. <보물섬>은 한국어를 한마디도 내뱉을 줄 모르는 이방 소녀들의 로드무비다. 환전 사기꾼에게 뒤통수 맞고, 택시 기사에게 버림받고, 짓궂은 체육관원들에게 괴롭힘당하던 그들은 여행 끝에, 뜻밖의 진실과 맞닥뜨린다. 이미 육체적으로 지친 소녀들은 마음마저 다치고 만다. 그러나 <보물섬>은 단지 이방인들에 관한 쓸쓸하고 메마른 로드무비는 아니다. <거울 속으로>에서 독특한 이미지 화법의 호러를 실험한 바 있는 김성호 감독은 <보물섬>에서 미에와 에이코의 여정 위에 비현실적인 순간들을 이미지로 잡아올려놓는다. 거짓말같이 깔끔하게 갈라져 있는 두 갈래길, 하늘 끝자락에 걸린 붉은 노을과 나무, 괴상한 가발과 옷차림으로 노래하는 뮤지션. 이 야릇한 꿈같은 이미지들은 어둡긴 해도 깊은 절망을 연상시키지 않아 영화를 정서적으로 촉촉하게 만들어준다. 두 소녀는 악몽이었으면 싶은 진실을 받아들이고 이해하기로 한다. 그것은 교과서적인 깨달음과 실천이라기보다 한·일 쌍방에 상처가 된 역사를 체험한 적 없는 젊은이들의 자연스러운 수긍법이다.

김종관 감독의 <엄마 찾아 삼만리>는 외로운 방황기에 놓인 공고생 종환(김동영)이를 쫓아다닌다. 시장에서 태극기 파는 아버지와 단둘이 사는 종환이는 일본에 돈 벌러 갔다는 엄마를 찾고 싶어한다. 경비 마련을 위해 푼돈을 사기치는 종환이와 그의 단짝 영수(정대훈). 이들은 학교 생활엔 전혀 관심이 없다. <엄마 찾아 삼만리>는 두 젊은이의 뒷모습을 따라다닌다는 점에서 언뜻 <보물섬>과 겹쳐진다. 그러면서도 그들을 꼭 끌어안아주고 싶은 애정으로 출렁이기 때문에 훨씬 감성적이고 따뜻하다. 두대의 자전거가 질주하는 등굣길, 깡통 갖고 공차기 놀이하는 모습 뒤로 깔리는 노을과 한강다리, 하릴없는 걸음과 잡담으로 메워진 거리 속에서 감독은 두 소년의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성장의 아픔을 감지한다. “야, 근데 니네 엄마가 너 못 알아보시면 어떡하냐.” “그러게…. 돈이나 많이 벌어놨으면 좋겠다.” “울 엄마도 일본가서 돈 좀 벌어오지. 하는 것도 없이 만날 집에만 있어.”

아이들이 내지 않는 신음소리가 들리고, 아이들이 보여주지 않는 상처가 보일 무렵 일본행 비행기표를 편도로만 끊는 종환이의 얼굴이 클로즈업된다. 어차피 고향 땅에서 이방인처럼 살았으니, 엄마 계신 도쿄 하늘 위로 삶에 대한 막연한 희망을 던져올리고 싶은 것이리라. 지난해 광복60주년을 기념하는 취지에서 출발한 옴니버스 프로젝트 <눈부신 하루>의 주제는 ‘광복’과 ‘한·일 관계’다. 세편 가운데 <엄마 찾아 삼만리>는 공통주제를 가장 덜 의식하고 만들어진 에피소드임에 사실이지만, 한·일 두 나라 젊은이들에게 가장 큰 호소력을 발휘할 만한 영화이기도 하다. 세미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촬영·편집 방식과 김동영, 정대훈 두 신인배우의 섬세한 연기가 이 감정적 호소력에 리얼리티를 뒷받침한다.

민동현 감독의 <공항남녀>는 상큼하고 아기자기한 멜로물이다. 인천공항 서점 직원인 오고니(이소연)는 관광가이드 잡지 기자인 이시다(시오다 사다하루)와 너른 공항 안에서 맞부닥뜨린다. 이 일로 오고니는 나르던 책을 훼손시키고 이시다는 귀국행 비행기를 놓치고 만다. 짧은 부닥침은 몇번의 우연을 거쳐, 공항 안에서 같이 하룻밤을 지새야 하는 인연이 된다. 오고니와 이시다는 서로 상대방 모국어를 한마디도 할 줄 모르지만 눈치와 느낌으로 흥미진진 대화를 이어간다. 입국장, 탑승구, 서점, 비상계단을 통한 옥상 등 실제 인천공항의 구석구석에서 찍어 완성된 이 단편은 묘한 무소속감이나 자유로움 등 공항이란 공간의 여러 가지 면을 활용하기보다 2개 국어와 몸짓으로 주고받는 둘의 대화에서 많은 것을 끌어내고자 한다. 이야기와 편집 리듬이 다소 늘어지는 감이 있지만 대신 <눈부신 하루> 프로젝트가 내세운 주제를 가장 명쾌하게 보여주는 에피소드다.

옴니버스 프로젝트 <눈부신 하루>를 감상하는 재미는 음악에서도 쏠쏠하다. 인디밴드 코코어의 리더 이우성이 <보물섬>의 부조화스러운 화음의 음악을, 예고편 음악작곡가 김태성이 <엄마 찾아 삼만리>의 서정적인 어쿠스틱 기타 음악을, 작곡가 겸 가수 하림이 <공항남녀>의 재지한 소품의 멜로디를 만들어냈다. 엔딩에는 인디밴드 플라스틱 밴드의 포크록 <사거리의 연가>가 흐른다. 멈춘 듯 흐르거나 조용한 듯이 울부짖는 음악들이 강한 정서적 환기력으로 스토리텔링을 돕는다. 기획 의도가 광복 60주년에서 비롯됐다 해도 꼭 이것을 염두에 두고 <눈부신 하루>를 감상할 필요는 없을 듯싶다. <눈부신 하루>는 정체성과 삶의 미래, 관계에 관한 보편적인 이야깃주머니다. 당신의 요즘 어느 하루이거나, 과거의 어느 하루였던 날에 관한 이야기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