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해외통신원
[베를린] 토마스 만의 영화폄하, 알고보니 자존심 탓?

위대한 작가의 숨겨진 비밀

192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토마스 만은 독일 문화 전통의 막바지에 그 거대한 문화를 집대성한 위대한 작가로 불린다. 그의 작품 중 23편이 영화화되거나 영화의 모티브가 되었고, 1971년 루키노 비스콘티가 감독한 <베니스의 죽음>은 시네필을 위한 명작 리스트에도 올라 있다. 그러나 1955년 미국에서 사망한 만은, 공공연하게 ‘영화’라는 예술장르를 폄하했다. 영화에 대한 무시는 대작 <마의 산>에서 주인공이 짝사랑하는 여자를 동행해 극장을 찾은 에피소드에서 절정을 이룬다. 반인간적인 매체, 무지한 여편네나 좋아할 매체 등등.

토마스 만 사후, 엄격하고 권위적이던 그가 실제로는 동성애 성향이 강했음이 폭로되면서 독일사회는 사자를 둘러싼 스캔들로 발칵 뒤집힌 적이 있다. 그리고 반세기쯤 지난 올해, 만을 둘러싼 또 하나의 스캔들이 터졌으니, 영화 전문기자이자 영화학 박사인 페터 잔더가 올 여름 출간한 저서 <극장 안의 토마스 만>을 통해 영화에 대한 그의 증오는 사실상 영화에 대한 짝사랑이 좌절되어 구겨져버린 자존심 때문이었다고 주장한 것이다. 1929년 미국으로 망명, 돈이 궁했던 토마스 만은 시나리오로 목돈을 벌고자 했던 모양이나, 문장 하나가 한쪽에 달할 정도로 꼼꼼하고 현학적인 문체로 쓴 시나리오는 거절당하기 일쑤였다. 반면 친형 하인리히 만의 소설 <푸른 천사>가 영화화되어 유명세와 부를 거머쥐었다는 소문까지 들었으니 좌절은 곱절이 되었을 터.

특유의 문체뿐만 아니라 독특한 취향도 시나리오 작가로 대성하지 못한 원인인 듯하다. 만은 일기장에 <시민 케인> <올림푸스의 아이들> <라쇼몽> 같은 작품의 성공을 불가해한 현상이라 적어놓는가 하면, 메소드 액팅을 치기어린 과장연기로,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는 말론 브랜도의 웃통을 빼면 별볼일 없는 영화라고 매도한다. 반면, 극찬한 작품들은 <정글북> 같은 디즈니 영화. 특히 <아기사슴 밤비>는 너무 감동을 받아 내리 두번을 보았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만의 심금을 울린 ‘명작’들은 뭐니뭐니해도 그가 ‘가정부 전용 최루영화’라고 비난했던 3류 멜로물이었다. 깜깜한 극장 안에서 눈치 안 보고 훌쩍거리는 ‘희열’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어둠 속의 익명성이라는 극장의 안전장치 안에서 평소 억눌린 감정을 맘껏 쏟아내곤 했던 토마스 만. 그에게 영화는 ‘무비’가 아닌 ‘무빙’, 감동 그 자체였던 것이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