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읽기
교환일기 혹은 이야기2 - 이창동 감독, <거짓말>을 보고
2000-01-18

엿먹이는 영화, 여기에 졌다

지금도 좀 멍하다. 슬프다. Y가 안동역에서 걸어나올 때부터 슬펐다. 그런데 그 슬픔은 뭐랄까, 여러 가지 감정이 뒤엉켜 있다. 슬픔으로만 일관되는 게 아니고. 거기는 불쾌감까지. 물론 감독이 의도한 거겠지만. <거짓말>은 분명 관객을 들쑤시는 영화다. 내가 영화감독이라 그런지 반응이 어떨까 궁금해서, 영화 끝난 뒤에도 안 일어나고 걸어나오는 관객들 표정을 봤다. 불쾌하게 하고 불편하게 한 건 성공했다고 본다. 그건 틀림없다. 개봉되기 전부터 이 사회를 얼마나 불편하게 만들었나. 이건 엿먹이는 영화다. 장선우 감독은 정말 용기있는 사람이다. 보통은 관객을 엿먹이려고 하더라도 자기를 지키려고 하게 마련이다. 그런 교활함은 나한테도 있다. 그런데 <거짓말>은 그런 교활함까지 엿먹인다. 자기를 완전히 내던지는 거다. 나쁜 사람이다. 흠을 잡으려고 했는데, 영화 보고 나서 그런 생각이 없어졌다. 전의를 상실했다.

둘 다 똘아이. 장 감독은 그걸 고스란히 드러냈다

<거짓말>에는 아주 지독한 자기 혐오나 자기 파괴의 몸짓이 있지만, 분명히 거기서 끝나는 것 같지 않다. 한 작가가 이 정도까지 가기 위해서는 굉장히 큰 에너지를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난 그 에너지를 느꼈다. <거짓말>은 우리 사회의 보수성이나 권력, 금기를 깨는 영화지만, 이 영화의 폭발력은 상식적 의미의 금기 깨기도 넘어선 데 있다. 상식의 차원에서 말하면 이 영화엔 여러 가지 반론이 있을 수 있다. 왜 꼭 이런 방식으로 문제제기 하냐는 등. <거짓말>은 상식을 넘어선 지점에 있다. 거기서, 뭐랄까 존재론적 비애 같은 걸 느끼게 된다. 하여튼 영화 만드는 사람은 보면 안 되겠다는 생각 들었다. 영화 만들기 싫어진다. 빨리 집에 가고 싶다. 내가 이만큼 온몸을 던질 수 있을 것 같지 않아서? 모르겠다. 이 감정을 정리하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거짓말>과 <박하사탕>이 어떤 의미에서는 같은 영화라는 얘기를 들었다. 그럴 리가 있나, <박하사탕>은 상식에 기초한 영화고, <거짓말>은 비상식적 영화인데, 생각했다. 하지만 <거짓말> 보고 나니까 그렇게 말할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관객이 불편해지는 건 두 영화 다 마찬가지니까. 그래도 <박하사탕>은 상식의 영화다. 모범생의 영화. 하지만 어떤 면에선 나도 똘아이다. 다만, 난 끝까지 안 미친 척하는 거고, 장선우 감독은 증세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거다. 증세는 다르지만 병인은 같으니까 통한다. 어쩌면 두 영화 다 광기를 말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나쁜 영화>도 그랬지만, <거짓말>은 형식이 굉장히 잘 짜여진 영화다. 안 들키는 형식이다. 심의 통과를 위해 잘라내서 훼손됐을지는 모르지만 내가 극장에서 본 <거짓말>엔 장 감독 나름의 형식이 있었다. 다만 나처럼 관객과의 소통에 연연해하지는 않는다. 소통의 효율성을 위한 형식이라기보다 자기 형식이라는 거다. 막 만든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아니다. 그러니까 훨씬 고단수다. 광기를 부리는 것 같지만 다 계산하고 있으니까. <거짓말>의 단조로움은 의도된 형식이다. 서로 바꿔가면서 때리는 반복의 형식. 이래도 쾌락이냐? 이래도 즐겁냐고 묻는 것. 관객이 아 좀 그만해라 싶은데 계속 하는 것. 이렇게 반복하니까 단조롭다 하다가 그게 자꾸 쌓이면 어떤 지점에서 아, 이건 전혀 다른 영화구나 하고 느끼게 되는 거다.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공격적 허무

장 감독의 허무, <거짓말>의 허무는, 내 속에 깊이 들어앉은 것이기 때문에, 할말이 없어진다. 그냥 슬퍼진다. 장 감독과 나는 동년배는 아니지만 같은 세대인데, 우리 세대가 갖고 있는 허무가 있다. 그 허무는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그런 유의 허무는 아니다. <거짓말>의 허무는 사람들을 굉장히 불편하게 한다. 공격적 허무다. 공격하고자 하는 의지가 분명히 있는 거다. 사실 관객은 쾌락을, 판타지를 얻기 위해 극장에 온다. 그런 관객을 <거짓말>만큼 엿먹이는 영화를 본 적이 없다. 판타지를 주려고 애쓰다가 실패하는 경우는 있지만, <거짓말>처럼 내놓고 판타지 대신에 허무를 선물해 주는 영화는 정말 못 본 것 같다. 난 허무주의와 싸우고 싶다는 생각으로 <박하사탕>을 만들었는데 <거짓말> 보니까 이건 내가 싸워야 할 허무주의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 허무는 우군인지 적군인지 모르겠다. 심정적으로는 우군 같다. 그러니까 싸우기 싫은 거다. 나하고 너무 닮아 있으니까. 그 허무에는 긍정이 있다. 긍정을 굳이 얘기하지 않지만, 나는 그렇게 믿고 싶다. 긍정에 대한 집착이나, 그것에 대한 사랑이 있기 때문에 허무가 깊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거짓말>은 설명할 필요가 없는 영화다. 설명하면 상식이 되니까. 상식과 붙어봐야 통하지 않으니까. 내가 긁적거리는 게 뭔가 바꿀 수 있다고 생각했던 때도 있었다. 지금은 내가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흔들어 보는 거다. 흔들어서 흔들고 있는 내 진정성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키는 정도뿐이다. <거짓말>은 크게 흔드는 영화다. 물론 그것 때문에 세상이 밝아질 거라는 희망은 없다. 내가 촛불 켠다고 세상 밝아지나. 하지만 <거짓말>은 있어서 좋은 촛불이다.

관련영화

이창동/ <박하사탕>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