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스텝 25시
영화제 사고처리반 반장, 전주국제영화제 기술감독 문원립

1957년생·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 졸업, 미국 템플대학 영화제작 전공·현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부 교수

출산까지는 앞으로 한달. 자리를 틀고 앉아 두루 살필 줄 아는 산파가 절실한 때다.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 기술감독 문원립씨는 첫 아이를 낳는 이들이 고심해서 선택한 노련한 산파 중 한명. 원활한 영화제 운영을 위해 그가 맡은 일은 영사, 음향, 자막, 프린트 관리뿐 아니라 실무인력 선발과 운용까지 포함한다. 전주에서는 부산이나 부천의 극장과 비교해서 영사기 등 미리 보완해야 할 시스템들을 관계자들에게 조언하는 일이 추가됐다. 98년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기술감독으로도 활동했던 그에게 이번 전주국제영화제는 일감 하나를 더 얹어준 셈이다.

막상 영화제가 시작되면 긴장은 더욱 가중된다. 만반의 준비를 했다 할지라도 사고가 끊이지 않기 때문. 필름이 끊기거나 릴이 바뀌는 영사사고가 대표적인 케이스. 상영중 난데없이 필름 속도가 갑자기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스탠다드 포맷의 화면 비율인 영화를 와이드스크린으로 상영해서 상하가 잘려나가기 일쑤였던 2년 전과 비교하면 영화제의 기술적 시스템이나 운영 능력은 많이 나아진 편이다. 자타가 공인하는 문원립씨의 주특기는 자막작업이다. 국내에 수입되어 자막 처리되는 프린트와 달리 다시 돌려주어야 할 영화제 프린트는 필름 위에 직접 타이핑작업을 하지 않는다. 별도의 자막 시스템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가 직접 개발해서 97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처음 선보인 것은 컴퓨터와 자막 비디오 프로젝터를 연결해서 데이터를 입력한 뒤 스크린의 오른편에 쏘아 덧붙이는 방식이다. 자막이 들어가야 할 타이밍을 정확히 잡아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정작업도 손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 전까지는 비디오를 보면서 미리 연습한 오퍼레이터가 당일 ‘감’을 최대한 발휘해서 슬라이드를 작동하는 수동식이거나 자막의 타이밍을 신호화한 반자동식 작업이 대부분이었다. 전주국제영화제의 경우 자막 프로그램 디자인을 마치고 대사가 들어갈 자리를 찾는 스포팅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얼마 전 5대의 타임코드 생성기를 미국에서 들여왔다.

“영화 많이 볼 수 있어 이 일이 좋다”는 문원립씨는 박광수, 황규덕 감독과 함께 서울대 영화동아리 얄라셩 출신. 대학원까지 마치고 KIST에서 가운을 걸쳤지만 1주일에 한번씩 꼭 동아리를 찾았다는 그는 87년 뒤늦게 철들어(?) 필라델피아의 템플대학에서 영화제작을 전공했다. “뛰는 건 자신 있는데, 아직 좋은 시나리오 쓸 만한 능력은 부족해서” 미루고 있다는 그는 언젠가는 <아귀레, 신의 분노>를 만들었던 베르너 헤어초그 감독의 다큐멘터리 <신기루>처럼 ‘초월적인 기록물’을 만들고 싶다. 올해 3월부터 동국대학교에서 영화편집과 기록영화론 강의를 하고 있는 문원립씨는 “성공적인 영화제를 만들기 위해선 현장 실무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전주국제영화제가 항상 ‘처음처럼’이라는 모토를 잊지 않고 지속됐으면 좋겠다는 관객으로서의 바람까지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