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마지막 날 진짜 21세기를 앞두고 송구영신, 경건한 마음으로 제야의 종소리나 들을까 해서 조신하게 텔레비전 앞에 앉았다. 아직 10여분 남았기에 소파에 누웠다가 거실도 춥고 해서 침대 패드를 끌어다 덮었다. 거기까지 기억나는데 눈을 떠보니 새벽 5시였다. 상상해보라. 나름대로 새해엔 각오도 새롭게 하고 거듭 참사람으로(?) 태어나고자 결의도 다져보려고 했는데 결의와 각오는커녕 잠이 덜 깬 후줄그레한 몰골과 어깨쪽으로 느껴지는 한기에 창문이 흔들릴 정도의 한바탕 재채기로 나의 21세기는 시작되었다.
새해 벽두부터 희망찬 얘기는 고사하고 이렇게 궁상맞은 얘기로 시작해야 하는 내 마음도 아프기 그지없지만 남자가 혼자서 나이먹어가는 풍경이 그렇게 썩 아름답지 않다는 걸 밝혀둔다. 그 당시 심정이 어떠했냐면 고등학교 때 모처럼 맞는 일요일, 한번 마음잡고 놀아보려고 부푼 마음을 진정시키며 잠을 청했다가 거의 해가 저물 때쯤 일어났을 때의 그런 막막한 기분과 똑같았다. 게다가 집에 식구도 없고 밥도 없을 땐 정말 죽고 싶은 심정뿐이었다.
어제랑 별다르지 않은 오늘인데도 인간들이 편의적으로 만든 시간의 단위에 휘둘리는 것 자체가 우습기도 하지만 어쨌든 나는 오늘 깜빡 잠든 사이에 한살을 더 먹어버렸다. 제기랄! 사람이 나이를 먹는다는 게 어떤 것일까? 마지막 라운드 종이 울리기 전에 어떻게 한번 해보려고 안간힘을 쓰는 복싱선수의 마지막 라운드로 향하는 느낌과 비슷할까? 챔피언 인생보다는 인생 자체를 도전자로 태어난 많은 사람들의 삶이 그렇겠지만 21세기 첫날을 맞은 형언하기에도 측은한 내 모습이란 도전자의 모습도 아닌 것 같았다.
여태 한번도 나이에 대한 생각을 안 했었다(진짜로). 좀더 정확히 애기하면 25살 이후로 내 나이를 세어 본 적이 없다(아 글쎄, 진짜라니까).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최근 들어 가끔씩 내가 나이를 먹어가고 있는 것이 느껴질 때가 있다. 버스나 전철에서 빈자리가 났을 때 그건 빈자리가 아니라 아줌마석이라고 생각했다. ‘아줌마석엔 앉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다가 한 사람 앉을 공간에 다른 아주머니랑 약속이나 한듯 비집고 들어가 앉았다가 깜짝 놀라 벌떡 일어날 때, 어떤 여자분이 병뚜껑이 안 열린다고 나보고 열어달라고 했는데 죽어도 안 열려 황당할 때, 평생, 말을 많이 하는 편은 아니지만 움직이기 싫어 모든 걸 말로 때울 때, 혼자 살면서 정말 힘든 것은 외로움이 아니라 밥먹는 거라고 말할 때, 관공서나 식당에서 불친절에 대해 꼬장꼬장 따져물을 때, 외국 나가는 기내에서 식사가 나오면 고추장 하나 더 달라고 한 뒤 주머니에 집어넣을 때, 눈앞에 삽시간에 어떤 일이 벌어졌는데 내입에서 “어이구, 저런” 이런 아저씨들이 쓰는 신기한 단어가 나도 모르게 튀어나올 때 등등. 30대 초반만 해도 볼 수 없었던 모습들이었다.
그러나 내가 정말 나이를 먹어가고 있다고 뼈저리게 느끼게 된 것은 영화를 하고서부터다. 평생 백수로 살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을, 그럴 수만 있다면 그것도 그리 나쁜 인생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을 일시에 떨쳐버리고 영화를 만들기 시작하게 된 것은 <조용한 가족>이 시나리오 공모전에 당선되고서부터가 아니라 내가 나이를 먹는다는 것을 알아차렸을 때부터였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세상에 더이상 기대할 게 없다는 것을 알아차린다는 것이다. 내 가슴을 방망이질할 어떠한 흥분도 현실에선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자각한다는 얘기다. 어렸을 때부터 늘 판타지를 꿈꾸던 소년이 성인 백수가 되도록 현실에선 판타지가 실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이다. 남머시기 기자의 표현을 빌려 쓰자면 “판타지는 현실의 도피가 아니라 최소한 절망으로부터의 도피”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마도 내가 영화 만드는 재미를 붙여가는 것은 아마도 슬슬 나이먹는 재미를 느낀다는 것일 게다. 그런데 류승완은 나이도 어린데 도대체 어디에 기대 에너지를 뽑고 있을까? …이따가 물어봐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