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읽기
승리의 쾌감이 없는 정직한 블록버스터, <역도산>

<역도산>을 보는 두 가지 시선① - 위대한 패배를 음미하다

역도산은 “딱 한번 사는 인생, 착한 척할 시간이 어디 있냐”고 했지만 송해성과 설경구의 <역도산>은 기어이 착한 척하고야 만다. 벚꽃이 흐드러진 신사로 나들이갔던 아야와 역도산의 기념사진이 그 아이콘이다.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해서 클로즈업으로 등장하는 이 사진에서 아야는 더할 나위 없이 환히 웃고 있지만 역도산은 뒤틀린 미소로 불온하게 서 있다. 그건 눈부신 햇살 때문이겠지만 아야는 그 빛을 자신의 몸과 조화시킨 반면 역도산은 일그러진 거부반응을 보인다. <역도산>은 그의 이런 체질이 어디에서 연유했는지, 그것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 놀라울 만큼 차분한 연대기로 풀어간다. 이상한 건 그게 위대한 패배자의 연대기라는 것이다. 샤프 형제와의 경기에서 게임에선 졌으나 일본 대중을 상대로 한 경기에선 이겼듯 그는 위대한 패배자다. 그런데 그 위대함은 실은 비열함과 조작으로 똘똘 뭉친 승부수의 결과물이다. 왜 <역도산>은 패배와 비열함으로 뒤범벅된 이상한 블록버스터가 돼야 했을까? 왜 <록키> 같은 링의 아드레날린을 스스로 삭제하고 현실이란 땅에 바짝 엎드려 ‘남자로 산다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묻는, 착한 척하는 블록버스터가 됐을까?

아마도 이건 한국영화가 한국이란 테두리를 좁다고 여긴 순간 역도산을 불러내는 게 운명이었고, 역도산이 자신의 욕망을 불살라버리지 않는 한 민족과 국가라는 호명에 얽매이지 말아야 했던 운명과 관련될 것이다. 김신락이 역도산이 되기 직전까지, 그러니까 상투를 자르며 스모를 포기하기까지의 패배 과정은 식민국가 대 피식민지라는 기존 민족주의 드라마의 감정선을 그대로 따른다. 그렇지만 역도산은 이 전형성을 곧 배반한다. 프로레슬링의 일본 도입을 놓고 망설이는 흥행사들에게 역도산은 “미국인을 보는 일본인들의 눈에 두려움이 가득하다. 언제부터 일본이 이렇게 나약해졌느냐”고 일갈하며 그들의 민족 감정을 건드린다. 물론 이건 계산된 전술이었고 주효했다. 선천적으로 갖게 된 피와 귀화로 택한 후천적인 피에 대한 그의 태도는 “난 일본이고, 조선이고 그런 거 몰라. 난 세계인이다”라고 뇌까리는 생존 이데올로기로 집약된다. 조선의 민족주의든 일본의 민족주의든 모두 그의 작은 무기일 뿐이다. 나아가 국가 단위로 움직이는 자본주의의 구별도 하찮아진다. 가장 드라마틱하고 중요한 대칭선을 이루는 역도산 대 칸노 회장의 구도는 사나이 대 사나이, 비즈니스맨 대 비즈니스맨, 세계화(서양 물신주의) 대 일본(동양 물신주의)으로 끊임없이 변이해간다. 각자의 선택과 고집이 최후의 승자를 가리지만 매 국면으로 따지면 영원한 승자는 없다. 아니, 역도산 자신이 자본주의 발전사의 화신이 되어 장렬히 스러져간다.

이것이 <역도산>이 일본에 말거는 방식이다. 이건 조롱이 아니고 편견도 아니며 훈계는 더더욱 아니다. <역도산>에서 가장 자극적인 순간은 아마도 역도산이 샤크 형제를 때려눕힐 때일 것이다. 늙은 일본인이 눈물을 글썽이며 만세를 부르는 순간, 역 광장의 조그만 텔레비전 앞에 거대한 무리를 이룬 일본인들이 감동의 물결을 일으키는 순간이다. 일본의 무력감을 통쾌한 승리감으로 바꿔주며 자존심을 세워주었던 역도산이 자신들이 핍박하던 조선인이며 자신들을 속인 비열한 승부사였다는 사실은 자칫 위험해 보인다. 그래서 <역도산>은 위대한 실패자가 돼야 한다. 모질게 괴롭히는 스모 선배 다무라의 기를 무력으로 꺾어놓는 것도, 칸노 회장의 환심을 사기 위한 절묘한 작전도, 프로레슬링 첫 경기에서 상대방의 숙소로 뭉칫돈을 들고 찾아가는 것도 대단한 승부수였으나 결국은 쓸데없다. 그 남자는 모진 승부수로 얻어낸 모든 것과 결별한다. 자신을 알아준 보스 칸노 회장과도, 깊은 사랑과 헌신으로 버팀목이 되어준 여인 아야와도, 불고기로 환대하던 고향 친구와도. 그는 햇살에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체질이 돼야 한다. 이것이 출발부터 일본의 돈과 사람을 끌어들이고 일본의 관객을 겨냥한 한국 블록버스터의 얼굴이다. 위대한 패배를 함께 음미해보자는 손짓이다. 한국 블록버스터가 바다를 건너가 정서적 일체감을 추구하는 이 방식은 승리와 정복의 일체감으로 도취시키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보다는 나아 보인다. 사실 햇살에 찡그리는 게 더 자연스럽다는 점에서 <역도산>은 무척 정직한 블록버스터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