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스포츠신문 만화가 있다. 크게 두 부류인데, 보통 4쪽 이하의 컬러만화는 양영순의 <아색기가>류라, 6쪽 정도의 이야기 만화는 허영만의 <타짜>류라 부를 만하다. 이중 우리에게 익숙한 정통 스포츠신문 만화의 스타일은 후자다. 허영만의 <타짜>류는 계보를 거슬러올라가면 고우영의 극화가 있다. 국내 스포츠신문의 원조격인 <일간스포츠>는 고우영의 극화를 연재하며 70년대 극화 열풍을 불러왔다. 이 고우영 극화는 초기 화려한 필력과 진지한 이야기를 보여준 <임꺽정>, 가장 문학적이고 섬세한 <일지매>와 당대의 풍자 센스가 고전으로 해석된 <삼국지> <수호지> <서유기> <가루지기전>과 같은 2개의 스타일로 양분된다. 80년대 5공 정권의 스포츠 정책과 함께 <스포츠서울>이 창간되며, 고우영의 첫 번째 극화스타일은 제자격인 방학기로 이어진다. <감격시대> <바람의 파이터>와 같은 방학기의 극화는 전형적인 남성형 극화. <스포츠조선>이 창간되며 스포츠신문 3파전이 되면서 만화는 더욱 중요한 콘텐츠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 허영만의 <아스팔트 사나이>, 이현세의 <남벌> 같은 전형적인 남성형 극화는 물론 신일숙, 김진과 같은 여성작가들의 만화도 연재되었다. 그야말로 춘추전국시대. 이후 후발주자로 <스포츠투데이>와 <굿데이> 등이 합류하며 스포츠신문에 연재되는 만화는 그 폭과 다양성이 확대되었다.
김행장의 <좀비콤비>는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양영순이 보여준 <기동이> <아색기가>의 맥을 잇는 ‘성 해프닝 만화’다. 부담스러울 정도로 강한 컬러에 과장되게 그려진 주인공들이 등장해 은밀한 농담으로 했음직한 이야기를 버젓이 지면으로 토해낸다. 이 만화를 처음 보는 독자들은 때때로 낯선 당혹감을 느끼는데, 조금만 적응하면 금방 ‘중독’된다. 가장 많이 차용하는 소재는 성적 농담과 조폭. 술만 먹으면 질펀하게 내지르는 농담 같은 성과 폭력의 이야기가 4쪽에 가득하다.맞다. 이 만화에서 문학적 향기를 기대하는 것은 난센스다. 이 만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은밀한 ‘키득거림’을 주도록 창작되었다. 그런데 그 키득거림이 당대의 한국적 현실과 엮이며 묘한 뒷맛을 남긴다. 삭막한 사회, 소통의 부재, 믿지 못하는 삶 뭐 그런 걸 느끼게 된다는 말이다(어쩌면 이런 느낌도 난센스일 수 있지만). 아무튼, 매일 신문이나 온라인을 통해 짤막하게 보던 만화를 한권으로 묶어보니 그 맛이 또 다르다. 어떻게 다른지는, 여러분이 확인해볼 일이다.
박인하/ 만화평론가 enterani@yah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