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Short Cut
말하기의 어려움
2001-04-25

숏컷 | 김지운 칼럼

인터뷰를 끝내고나면 “자 이제 끝났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하는 인사와 거의 동시에 나는 “음… 오늘도 인터뷰 엉망으로 했군” 하고 후회를 하는 일이 많이 있다. “아… 왜 그런 말을 했지? 도로 빼달라고 할까?” 또는 그 말이 잘 전달됐을까 하는 걱정으로 내내 밥을 먹어도 톱밥을 씹는 것 같고 커피를 마셔도 사약을 먹는 기분이 된다. 친한 매체이거나 친한 기자일 경우엔 이런저런 변명을 늘어놓으면서 빼달라고 하거나 뜻이 잘 전달됐는가를 확인해 보지만 어쨌든 구차해지고 곤혹스럽긴 매한가지이다.

활자로 나온 인터뷰를 보면 더욱 황망스러울 때가 있다. 분명히 농담으로 한 말을 진지한 자세가 느껴질 만큼 뉘앙스가 잘못 전달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나보고 연기할 의사가 있는가? 하고 물어본다고 치자, 그러면 나는 웃으면서 얼굴만 잘생겼다고 연기할 수는 없지 않나 하고 대답한다. 그러면 그 말이 끝나는 자리에 정확하게 괄호열고 (웃음) 괄호닫고를 해주어야 한다. 아니 더 정확하게 전달하려면 괄호열고 (일동 웃음) 괄호닫고, 더 정확하게는, 괄호열고 (장내 폭소) 괄호닫고를 해줘야 당시의 분위기를, 내 말의 뉘앙스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든 게 좀 안 맞는다는 느낌이 들지만- 그런 첨가없이 그냥 나가면 완전히 나만 웃기는 놈 되는 것이다. 긴 말을 지면상 편집하느라고 앞뒤 거두절미한 상태는 더욱 공포스럽다. 또 하나 예를 들어, 요즈음 한국영화의 블록버스터 현상을 보면서 산업적인 측면에서 파이를 크게 한다는 점과 거품만 일으킨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그런 현상들은 시장이 건강한다면 시장의 원리로 정리되고 안정감을 찾지 않을까 한다라는 말을 앞 뒤 거두절미해서 요즈음 한국영화의 블록버스터 현상은 시장의 원리로 정리되지 않을까 하고 나올 수가 있다.

이것도 완전히 백주에 테러당할 이야기다. 이 말의 요지는 블록버스터에는 산업적인 영향력이 있고, 하지만 작품의 질과 격이 문제이지 작품의 크기가 문제가 아니며 그것은 양질의 관객이 결정할 것이다라는 얘기인데 마치 최근 나온 큰 영화들을 싸잡아 매도하는 것처럼 들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때로는 완전 해결불가능한 오자도 있다. 이두용 감독님이 이규형 감독님으로, 존 카사베츠 감독이 카소비츠 감독으로, 심지어 영국의 카렐 라이츠 감독은 카레 라이스가 되기도 한다. 송강호가 송광호로 나오는 건 누구의 잘못인지 확연히 들어나지만 이럴 경우는 속수무책이다.

하지만 문제는 그런 지엽적인 것이 아니고 인터뷰를 하는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된다. 말이란 게 하도 요상스러워서 말을 하다보면 말같지 않은 말도 하게 되고 말같지 않은 말을 말처럼 하려다보니 더 말같지 않게 되는 법칙이 있다. 그래서 언어도단이라는 말이 있는가보다. 언어도단, 뭐 뜻을 풀어보면 입을 열고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 도가 끝장나버린다는 말이 아닐까 한다.

인터뷰를 하고나면 왜 말을 만들어서 말을 망칠까 하고 머리를 쥐어박을 때가 한두번이 아니었다. 게다가 워낙 횡설수설, 본론과 서론의 구분이 없고 정론과 사론을 구별 못하고 우스갯소리와 진지한 말에 포인트를 매기지 못하는 만연체의 말투를 가지고 있는 나로선 더더욱 그렇다.

가끔 외국의 감독들 인터뷰를 보면 (번역이 잘돼 있는 걸 볼 경우) 어찌나 그렇게 핵심과 정수만 가지고 있는지 부러울 때가 있다. 물론 삶이 그런 것이겠지만, 어쨌든 간단하면서도 그 안에 핵심과 논리가 서 있는 사람들의 인터뷰를 보면 그 사람의 정신력이 보인다. 그런 정신력이 보이는 말을 하고 싶은데, (나는) 그게 안 되니까 끊임없이 실없는 소리를 해대거나 그래서 말수가 적은지도 모른다. (바라건대) 긴장이 느껴지는 말을 듣고 싶다.

김지운 | 영화감독·<조용한 가족> <반칙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