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씨네클래식
˝유쾌하면 그만, 한번 웃고 넘길 수 있으면 만족해˝
2002-10-27

엄앵란, 신성일 등의 배우들과 함께했던 촬영,그리고 영화관의 확립

<성춘향>(1959)을 시작으로 <대심청전>(1962), <말띠 여대생>(1963)에 이르는 장편의 성공으로 난 단지 능력있는 촬영기사가 아닌 역량을 갖춘 영화인으로 대접받을 수 있었어. 이후 불우한 환경에서 성장하는 소년과 그를 돌보는 가정부의 따뜻한 사랑을 그린 <아름다운 눈동자>(1966)는 한창 연기의 물이 오른 엄앵란에게 대종상 여우주연상을, 나에게는 우수한 흥행 성적과 많은 찬사를 안겨준 작품이었지. 언젠가 엄앵란이 나를 가리켜 “배우가 뭘 잘하는지 알아내어 거기에 딱 맞는 배역만을 골라주므로, 결과적으로 배우의 연기를 돋보이게 하는 감독”이라고 치하하는 걸 들었어. 당시 그녀는, ‘학사 배우’ 혹은 지적인 배우라는 타이틀 외에도 억척스럽고 씩씩하고 활달한, 한마디로 신여성을 대표하는 자유분방함의 이미지가 강했어. 그렇기 때문에, 어려운 환경에서도 꺾이지 않고 자신의 주장을 마음껏 펼치는 가정부 역에 제격이었지. 연기 잘하는 그녀였기에 어떤 배역을 맡겼어도 든든했겠지만.

엄앵란뿐만 아니라 지금은 그녀의 남편이자 또 하나의 훌륭한 배우인 신성일 역시 적절한 캐스팅으로 일약 스타덤에 오른 인물이었어. 처음 그를 신필림 전속 배우로 발탁한 건 나였거든. 지금으로 말하면 길거리 캐스팅을 한 셈인데, 신필름이 있던 자리인 국제극장 뒤편에서 그와 마주친 건 59년 여름의 어느 날이었어. 점심을 먹으러 밖에 나온 나는 빨간 셔츠를 입은 그를 보자마자, ‘잘 생겼군, 카메라로 잡으면 아주 멋쟁이로 찍히겠어’했지. 미술을 공부한 적 있는 나로서는 해부학적으로 완전무결한 그의 얼굴에 반할 수 밖에 없었던 거야. 그래서 바로 뒤따라가서 명함을 주며, 지나온 길을 되돌아 가다 보면 신필름이 나올텐데, 거기 들어가 카메라 테스트를 받아보라고 권유했어. 신필름에선 신감독과 여러 스텝이 그를 보더니 전속 배우로 키워보자는 의견이 압도적이었지. 그렇게 배우로 발탁된 뒤 그는 바로 신상옥 감독과 <로맨스 빠빠>로 데뷔식을 치르게 돼. 그러나 심한 경상도 사투리와 어눌한 연기로 초반에 찍은 몇 작품은 연이어 흥행에 실패하게 되고 그는 신필림을 뛰쳐나갔지. 그러다 62년 유현목 감독과 찍은 <아낌없이 주련다>로 재데뷔를 했는데, 이후로는 좋은 작품들과 함께 하며 미남 청춘스타로 대변되는 이미지를 확고하게 굳혀갔지. 그의 목소리를 연기한 성우만 해도 줄잡아 4-5명은 될 거야. 대를 이어 톱클래스 성우들이 신성일의 목소리를 연기한 거지.

배우나 감독이나 자신과 궁합이 잘 맞는 작품이 따로 있는 거겠지만, 나의 경우는 무엇보다 영화는 재밌어야 한다고 생각해. 물론 재밌어야 하는 사람은 감독이 아니라 관객이겠지.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성격을 결정하는 것도 감독의 취향이 아니라 관객의 취향이 돼야 해. 영화가 감독의 예술이 아니라는 나의 직설적인 견해는 많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어. 하지만 나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어. 감독은 그 시대의 관객과 함께 호흡하는 사람이니 만큼, 관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짚어낼 수 있는, 눈과 귀가 열린 사람이어야 해. 안에 있는 사람(insider)이기도 해야겠고, 동시에 밖에 있는 사람(outsider)이기도 해야겠지. 중요한 것은 관객의 수준을 낮게 생각하지 않는 거야.

영화를 찍으면서 많은 배우들과 마주치지만, 라이벌로 불리는 여배우들을 한 작품에서 만나는 것만큼 흥미롭고 즐거운 경험도 없어. <아름다운 눈동자>를 마친 그해, 한 젊은이의 성공에 대한 야망과 도전을 그린 <회전의자>를 찍었는데, 여자주인공 중 하나는 태현실이었고, 다른 하나는 김지희였어. 고전적인 마스크에 참하고 순종적인 역할을 주로 맡았던 태현실에 비해, 김지희는 악역 전문 여배우라고 할 만했어. 현대적인 얼굴에 도시적 감성을 지닌 그녀는 이 영화에서도 세련된 도시녀로 출연해, 태현실과 대조적인 이미지를 선보였지. 영화에 출연한 여배우들을 보며 새로운 패션감각을 익히던 당시의 여자 관객은 김지희의 도도하면서도 세련된 감각을 맘에 들어했어.

67년 신영균과 고은아를 기용해 만든 <애하>는 보수적이고 닫혀 있던 한국사회에서는 충격적인 소재였던 ‘인공수정을 통한 복수’를 다룬 작품이었지. 아이를 갖지 못하는 한 젊은 부부가 인공수정을 받아 아이를 낳게 되는데, 인공수정을 담당했던 산부인과 의사가 부인을 좋아했던 예전 맘을 버리지 못하고 자신의 정자를 이식하려고 한 게 사건의 발단이 돼. 그러나 인공수정 직전에 간호사가 의사의 정자와 남편의 정자를 바꿈으로써 행복한 결말을 맺도록 꾸몄지. 과감하고 도발적인 소재를 기용, 관객의 흥미를 자극하는 내용의 <애하>는 추리소설의 맥락을 포함하고 있어 짜릿한 반전의 묘미까지 전해준 작품이었어. 이 작품으로 제6회 대종상에서 각본상을 수상했을 뿐더러, 신영균씨 역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게 됐지. 앞으로 등장할 작품 가운데 이와 같이 소재가 특이하고, 남들이 잘 다루지 않는 내용으로 만든 영화들이 꽤 있어. 그것은 나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영화관이나 독서에 의존한 광범위한 지식의 양과 맞물린 결과라고 볼 수 있지. 74년에 화제를 일으킨 <맹물로 가는 자동차>는 과학적인 상상력을 동원해, 기름 한 방울 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맹물로 가는 자동차를 발명한다는 재밌는 내용으로 꾸며져 있어. 아주 유쾌한 영화지. 내 영화는 대부분 그래. 유쾌하면 그만이야. 한번 웃고 넘길 수 있으면 만족해.

구술 이형표/ 1922년생구술 50년대 미국공보원(USIS)과 국제연합한국재건단에서 군 홍보 및 기록영화 제작구술 미국 <NBC> <CBS> 특파원으로 활약하면서 뉴스 제작구술 60년대부터 극영화 86편 작업구술 <서울의 지붕밑> <말띠 여대생> <애하> <너의 이름은 여자> 등구술 80년대 중반 독립기념관을 비롯한 각종 전시관 기획, 설계, 시공 총괄정리 심지현 simssisi@dreamx.net / 사진 오계옥 kla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