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이 자파르 파나히 감독의 <그저 사고였을 뿐>에 수여됐다는 영화적 사건은, 단지 한 예술가가 이룬 미학적 성취를 조명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칸영화제, 베를린국제영화제, 베니스국제영화제에 이르는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최고상의 영예를 안는 동안 감독은 15년간 이란으로부터 법적 제재를 받아왔다. 그렇기에 감독의 영화는 치안적인 것을 분열시키는 정치적인 표현으로 간주되곤 했다. 영화감독을 향한 뼈아픈 박해는 역설적이게도 영화사에 찬란한 흔적을 남겨왔다. 대표적으로 나치 정권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프리츠 랑,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멕시코로 망명한 루이스 부뉴엘을 언급할 수 있다. 동시대 감독으로는 태국 정권의 끊이지 않는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 검은 화면을 영사하거나 자국에서 장편영화를 찍지 않겠다고 선언한 아피찻퐁 위라세타꾼을 떠올릴 수 있다.
자파르 파나히의 여정은 이들과는 식별되는 것인데, 그는 영화를 찍을 수 없는 상황에도 이란에서 영화를 줄곧 만들어왔다. 그의 영화는 가혹한 현실 아래에서도, 동시대 시네마의 성립 가능성에 대해 멈추지 않고 증명해왔다. 다시 말해 그의 영화는 이란을 한사코 떠나지 않으면서 이란의 현주소를 정확하게 직시하고 있는 픽션이자 다큐멘터리이며, 갱신되는 역사이다. 자파르 파나히는 비교적 자유로운 창작 여건 아래에서도 시네마의 종말을 부르짖는 우리에게, 새로운 형식의 시네마를 계속해서 발표해오고 있다. 영화가 도무지 성립할 수 없는 이란이라는 척박한 땅에서, 동시대 영화의 미학적 최전선이 첨예하게 형성되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혹독하게 억압받는 영화감독이자, 가장 자유롭고 창발적인 예술가, 그는 12번째 장편영화, <그저 사고였을 뿐>을 연출한 자파르 파나히 감독이다. 이번 부산국제영화제의 화제작 중 하나로, 갈라 프레젠테이션에 초청받아 한국을 찾은 파나히 감독은 37시간 동안 깨어 있을 정도로 강행군의 일정을 소화했다. 마스터 클래스 ‘자파르 파나히, 스토리텔링의 힘’ 내용을 축약해 전한다.
*이어지는 글에서 마스터 클래스 ‘자파르 파나히, 스토리텔링의 힘’ 내용 요약과 영화 <그저 사고였을 뿐> 리뷰가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