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커버] ‘콘크리트 유토피아’, 보여줄 것과 말하려는 것의 선명한 교직
김소미 2023-08-01

상상 초월의 대지진이 한반도를, 어쩌면 전세계를 덮쳤는지도 모른다. 시스템은 일시에 마비됐다. 누가, 얼마나, 어떻게 죽었는지도 모를 만큼 국가 전체가 초토화된 상황. 그런데 오직 황궁 아파트만 멀쩡하다니. 경악과 안도가 맞물린 얼굴로 각자의 현관문을 열고 나온 주민들이 처음으로 서로의 얼굴을 유심히 뜯어본다. 복도와 로비에서 공모하기 시작한 ‘황궁인’들은 더이상 집값 논의를 빼면 마냥 데면데면하던 어제의 이웃이 아니다. 그들은 이제 어떻게든 함께 생존해야만 하는 운명 공동체가 됐다. 위기 상황엔 리더가 필요한 법. 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한 후 졸지에 영웅이 되어버린 902호 남자 영탁(이병헌)이 주민 대표를 맡아 아파트 사수에 나섰다. 602호의 젊은 부부, 공무원 민성(박서준)과 간호사 명화(박보영)는 유능한 청년 인력으로 일찌감치 주목받고 있다. 1207호의 부녀회장 금애(김선영)는 특유의 수완으로 여론을 주도하고, 말수 적은 영탁의 옆집 소녀 혜원(박지후)은 어딘가 비밀을 품고 있는 듯 보인다. 갈등이야 없지 않지만 일사불란하게 조직된 황궁의 생존 태스크포스(TF)는 꽤나 그럴듯하다. 이곳은 정말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될 수 있을까. 묘한 희망이 싹틀 무렵 영화는 본색을 드러낸다. ‘우리가 살려면, 로비에 모여든 외부인 생존자들을 방출합시다.’ 악마가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생존 본능이 그렇게 속삭일 때,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딛고 선 땅은 다시 흔들리기 시작한다.

재난보다 강력한 아파트 잔혹사

웹툰 <유쾌한 왕따>는 4화 무렵 지진이 일어나 사실상 전세계가 망가진 상황을 배경막으로 삼는다. <유쾌한 왕따>가 무너진 학교 지하실에 갇힌 학생들의 이야기라면 2부 <유쾌한 이웃>은 주인공 일행이 지하실을 탈출해 학교 밖 세상을 경험하는 과정을 따라간다. <콘크리트 유토피아> 속 지진은 땅이 거대하게 솟구치고 불기둥을 내뿜는 대재앙이다. 영화는 웹툰의 배경 설정을 이어받되, 주인공과 구체적인 상황 설정에 관해서는 완전히 새로운 가지를 뻗어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엔 <유쾌한 왕따>의 주인공인 우경중 3학년 왕따 서동현이 없다. 동현과 친구들이 학교 밖으로 나와 합류하게 되는 우경 아파트가 아니라 황궁 아파트라는 새 무대가 들어섰고, 이곳 주민들의 시점으로 대지진 직후 상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쾌한 이웃>의 프리퀄 격으로 위치화하는 편이 가장 매끄러워 보인다.

요컨대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제목으로 먼저 찌른다. 이 작은 콘크리트 제국이 당신에겐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이 영화의 감흥을 유발하는 진원지엔 이런 질문이 도사리고 있다. 장르적 척도로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디스토피아적 설정을 진단해봐도 흥미로운 점이 많다. 지진으로 모든 것이 초토화되긴 했어도 이 세계의 인간은 여전히 끈질기게 행성지배종으로 기능한다. 외부인을 몰아내다 못해 ‘자가냐 아니냐’를 따지는 아파트 주민들의 얄팍한 정체성 싸움 -민성은 대략 이렇게 외친다. “대출 많이 끼긴 했어도 우리 집 맞아요!”- 은 <콘크리트 유토피아>에 인간 문명이 뿜어내는 모순과 못남을 생생하게 새긴다. 영화 카피이기도 한 “아파트는 주민의 것”이라는 구호 뒤에는 저마다 서울서 자수성가해 어렵사리 내 집을 마련한 중산층의 피와 땀과 눈물이 새겨져 있다.

또렷하게 조각한 보통 사람들의 개싸움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지배하는 인물은 영탁을 연기한 배우 이병헌이다. 번개 맞은 듯 짧게 뻗친 머리에 어수룩한 것 같기도, 광기를 숨긴 것 같기도 한 알 수 없는 얼굴의 남자. 이병헌은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 영화의 장르적 역동성을 높이는 만화적 인물인 동시에 (그의 정체를 알고 나면) 섬뜩할 정도로 현실적인 인물을 연기한다. 특히 영웅과 독재자라는 한끗 차이의 경계선에서 이병헌이 보여주는 예민한 해석력을 기대해볼 만하다. 안정적인 직업과 가정을 꿈꾸며 살아온 민성을 연기한 박서준은 주어진 선택지에 최선을 다할 뿐인 소시민적 딜레마를 옮기며 공감대를 쌓는다. 박보영은 특유의 명민한 인상과 잘 어울리는 캐릭터를 만났다. 배제와 약탈도 마다하지 않는 황궁 아파트의 새 규칙에 반감을 느끼는 명화는 공동체의 윤리를 끝까지 질문하는 인물이다. 그 대척점엔 중산층적 속물 근성을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부녀회장 금애 역으로 김선영이 존재감을 자랑한다. 마냥 유쾌할 리 없는 재난 스릴러를 한층 경쾌하게 만드는 건 이처럼 비범한 이웃과 평범한 이웃, 도덕적 인간과 속물적 인간의 대조가 명확한 캐릭터 구도다.

“제대로 싸워본 적 없는 보통 사람들끼리의 개싸움….” 이야기가 클라이맥스로 향해갈 때쯤 어느 액션 신을 묘사하는 시나리오의 한 대목이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엄태화 감독의 전작들에 비해 확연히 규모감을 불린 텐트폴 영화임에도, 인디그라운드에서 출발한 감독의 저력을 완전히 표백시키지 않은 지점이 미덥다. 도덕이 무너진 세계에서 저마다의 정당성 투쟁이 갈등의 큰 축을 차지하지만 지나친 위악에 주저앉지 않는다는 의미다. ‘ing+격투기’이자 ‘잉여들의 격투기’인 <잉투기>에 이어 이번에도 전통적 기득권과는 거리가 있는 커뮤니티 내부자들의 각축전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속도감 있는 전개의 와중에도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끈질긴 질문을 이어간다. 당신은 이들 중 누가 되시겠습니까? 약 200억원의 제작비로 구현한 장르적 스펙터클은 실재하는 사회 풍속도를 또렷이 건드리기에 그 쾌감이 허황되게 다가오지 않는다. 포스트 아포칼립스(apocalypse) 장르의 한국적 전형을 흥미롭게 펼칠 <콘크리트 유토피아>에 ‘이웃을 네 몸같이 사랑하라’는 교리는 무용해진 지 오래. 만약 영화를 보고 나서 아직 대재앙이 도래하지 않은 스크린 밖 현실도 궁극적으로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느낀대도 당신을 염세주의자라고 말하긴 어려울 것 같다. 우리는 이미 콘크리트 디스토피아에 살고 있으므로.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