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비평
[비평] 반복된 것이 본질에 가깝다, <가여운 것들>

<가여운 것들>을 보며, 이상했다. 영화는 시종 벨라(에마 스톤)를 화려하게 비추지만, 진짜 보여주려는 건 따로 있다는 느낌을 받았으니까. 뭔가가 더 있다는 묘한 기분. 영화의 숨겨진 이면을 보기 위해, 한 여자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겠다.

영화의 초반, 벨라의 사랑스러운 순수는 돋보인다. 그런데 벨라의 순수함을 좀 유심히 뜯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순수는 물들지 않은 공백의 상태. 그러니까 무언가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벨라에게 없는 것은 무엇일까? 즉각적으로 생각했을 때 그녀에게 없는 것은 과거다. 성인이라면 누구나 있는 자신만의 역사가 벨라에겐 없다. 그러므로 지식과 교양도 없다. 세상을 모른다. 이것은 <가여운 것들>의 서사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축으로 작동한다. 벨라는 좌충우돌하며 세상을 알아가고, 그 과정에서 코미디와 스펙터클을 만들어낸다. 이것이 표면에 드러난 벨라의 공백이다.

매력적인 몸을 가진 성녀, 벨라

하지만 그게 다인가? 나는 영화가 내색하고 있지 않은, 그러나 벨라에게 명백히 없는 것이 신경 쓰였다. 분명히 거기 없어서 부자연스러운데, 아무렇지 않다는 듯 영화가 함구하는 것들. 먼저 벨라는 이상하게도 부에 대한 욕구가 없다. 배부르고 등 따습게 살고 싶다는 본능적 욕구 말이다. 크루즈 여행으로 최고급 수준의 생활을 향유했으면서도, 사창가 모텔의 열악함에 대해 (인지할 뿐) 불만이 없다. 이런 점에서 벨라는 <소공녀>(2017)의 미소(이솜)와 비슷한 위화감을 느끼게 한다. 자기가 원하는 대로 이상적인 삶을 사는데, 이상하게도 의식주에 관한 기본적 욕구가 희미하다. 그런 점에서 그녀들은 체취도 나고 때로 악취도 나는 인간이 아니라, 누군가 머릿속에서 떠올린 멋진 여성을 스크린 위에 구현해낸 조각상 같다. 두 번째로 벨라에게는 사회적 계급 상승의 욕망이 없다. 사회 속에서 부대끼며 더 높이 올라가려는 열망이 안 보인다. 이것은 그녀가 체면치레나 사회생활에 관심이 없는 점과 연결된다. 원하는 것이 없으니, 귀찮은 짓도 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불쌍한 여인의 뇌를 제거할 때 벨라에게서 거세된 중요한 속성은 바로 ‘속물스러움’이다. 이것이 그녀와 우리 사이의 차이를 만든다. 우리가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멋진 이상을 차마 실천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그것, 그러나 우리의 밑바닥을 받치는 인간적인 그것이 벨라에게는 없다. 부와 성공. 속(俗)스러운 욕망. 대신 그녀는 성욕과 자유로움, 예술과 학문에 대한 열정, 인간에 대한 애정으로 충만하다. 언뜻 보았을 때 서툴고 천방지축이지만, 사실 그녀를 이루는 속성은 한없이 매혹적이거나 성스럽다. 벨라는 매력적인 몸을 가진 성녀다.

성인의 몸에 아이의 뇌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어떻게 성녀가 탄생하는지 나로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지만 중요하지 않으니 제쳐두자. 정말 중요한 것은 이런 (숨겨진) 설정으로 인해 이야기의 본질이 바뀐다는 것이다. <가여운 것들>은 흔히 언급되듯, 페미니즘적인 여성 승리의 서사가 아니다. 이때 방점은 ‘페미니즘’이 아니라 ‘여성’에 있다. 사실 영화가 얼마나 자극적으로 노출을 감행하는지, 못된 남자들을 혼내주는지에 대해 나는 관심이 없다. 중요한 것은 강력한 매력과 흠 없는 본성으로 중무장한 벨라는 인간 여성이 아니라 성녀에 가깝다는 것이다. 그녀의 삶은 일반 여성의 이야기가 될 수 없다. 오히려 타고나게 우월한 인물이 고난을 뚫고 승리하는 이야기, 영웅 서사에 가깝다. 그래서 나는 사실, 전세계적인 찬사에도 불구하고, <가여운 것들>의 이야기가 이미 익숙한 신화이며 우리에게 전하는 바가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쯤에서 의문이 든다. 그렇다면 <가여운 것들>에서 남는 것은 무엇일까. 이 작품에서 이야기를 뺀다면. 물론 미술도 아름답고, 음악도 독특하며, 주연들의 연기도 좋다. 하지만 내가 가장 두드러진다고 느끼는 부분은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어떤 특성’이다. 나는 그 특성이 란티모스로 하여금 <가여운 것들>을 연출하도록 부추겼다고 느낀다.

신체 훼손에 대한 란티모스의 관심은 끈질기고 뿌리 깊다. 그는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 뒤틀림을 ‘훼손된 신체’로 드러내길 좋아한다. 그의 초기 작품 <송곳니>(2009)의 첫 장면에서, 아이들은 집 안의 왜곡된 언어를 학습한 뒤 곧바로 “뜨거운 물에 손을 넣고 놀자”고 제안한다. 언어 체계의 왜곡은 신체의 손상을 불러온다. <킬링 디어>(2017)의 가족들은 마틴(배리 키오건)의 엄혹한 지배 아래에서 신체가 하나둘 고장난다. <가여운 것들>에서 불쑥 등장한, 돼지머리에 닭 몸을 한 생명체는 백스터 박사(윌럼 더포)의 범상치 않은 세계를 한눈에 보여준다. 란티모스에게 변형된 신체는 사회의 왜곡을 보여주는 가장 효과적인 장치다.

하지만 이런 경향이 점차 위험한 수준으로 번지고 있는 것 같다. 란티모스 특유의 연출은 필요한 수위를 넘어, 이미지만을 탐닉하는 지점에 닿았다. <더 랍스터>(2015)에서 성행위를 묘사할 때, <킬링 디어>에서 다리가 마비된 사람이 길 때, 란티모스는 인간의 몸이 무력하게 훼손되고 볼품없이 마구 쓰이는 이미지에 몰두한다. 그는 이런 이미지가 전달하는 충격의 쾌감을 정확히 조준한다. 가치 있는 것들이 망가질 때 비릿한 쾌감이 피어나는 법이니까. 이런 경향은 <가여운 것들>에서 최고조에 달한다. 백스터가 어렸을 때부터 학대에 가까운 신체 실험을 당한 것, 그래서 잔혹한 수술에 거부감이 적은 것, 잔인한 방식으로 벨라를 창조한 것, 그녀가 블레싱턴 경(크리스토퍼 애벗)에 복수를 가하는 방식도 뇌수술이라는 것까지. 이야기의 줄기를 이루는 마디에는 어김없이 신체 훼손이 있다. 그리고 피날레를 장식하는 이미지는 염소처럼 기는, 뇌수술당한 남자다. 이것을 우연으로 치부할 수 있을까.

언제나 등장했던 신체 훼손에 주목해야

란티모스의 필모그래피에서 처음 전면에 등장한 여성주의와 언제나 등장했던 신체 훼손. 나는 반복된 것이 본질에 가깝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란티모스는 후자를 위해 전자를 차용했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그에게는 취향의 발현이 그 어떤 사조를 펼쳐내는 일보다 중요해 보인다. 란티모스의 진의와는 무관하게, 영화를 접할 때 그렇게 느껴진다. 그러므로 이 영화의 진정한 목적지는 벨라의 승리가 아니라, 인간의 몸으로 염소처럼 풀을 뜯는 블레싱턴 경의 망가진 형상이다. 란티모스는 원하는 것을 얻었다.

페미니즘을 소재로 다루는 일은 흔해졌지만 여전히 자극적이라, 그 근처에 있는 작품들을 하나의 논쟁 안으로 빨아들인다. 이 작품은 페미니즘적인가? 맞다면 얼마나 페미니즘적인가? 하지만 진부한 논의다. 나는 <가여운 것들>에서 말할 거리가 더 많다고 믿는다. 이 미묘한 영화를 여성 승리의 서사를 다룬 작품으로 볼지, 그것을 명분 삼아 신체 훼손에 대한 취향을 발현한 작품으로 볼지, 혹은 다른 맥락의 작품으로 볼지. 그건 아마도 설득력의 문제일 것이다. 나는 당신의 선택이 궁금하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