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이 창간 28주년을 맞아 반가운 만남을 주선했다. 임수연 기자가 기사에 썼듯 “2003년은 한국영화의 화양연화였다” . 2003년 4월에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이 개봉했고, 6월에 김지운 감독의 <장화, 홍련>, 11월에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가 개봉했다. 이후 20년간 한국영화의 위상을 세계에 드높인 감독들의 걸작이 이해에 동시다발적으로 세상에 나왔다. 그중에서도 개인적으로 가장 보고 싶었던 만남은 <장화, 홍련>의 수미와 수연 자매, 임수정과 문근영의 재회였다. 이들의 재회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배우측에서 내건 조건은 하나였다. 사진 촬영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것. 이유는 간단했다. 너무도 오랜만의 만남이니 서로의 이야기에 온전히 집중하고 싶다는 것. 2023년의 시간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았으나, 현재의 따스한 시선 교환은 괄호로 남겨둔 채 그 시절 수미와 수연의 모습을 환기하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쓰지만 그렇게 설득당할 수밖에 없었다).
가장 본능적으로 연기했다는 그 시절, 두 배우는 서로에게 의지하며 <장화, 홍련>의 슬프고 아름다운 장면들을 완성했다. 그때 서로에게 느낀 호감과 믿음은 20년의 시간을 건너서도 여전했다. 물론 변화도 있다. 촬영 당시 중학교 3학년이었던 문근영은 “촬영장에선 연기를 했다기보다 아무 생각 없이 놀았다”고 당시를 회상했지만 지금의 그는 그때보다 부쩍 생각이 많고 조용한 30대가 되었다. 한편 신인 주연 배우로서 감당해야 했던 무게가 커 촬영 내내 말없이 혼자 힘들어했다는 임수정은 밝고 씩씩한 40대의 배우가 되었다. 두 배우는 지금이 다시 연기에 대한 의욕이 샘솟는 시기라 했다. 연기가 삶의 전부였던 시기를 통과해 연기도 삶도 건강하게 돌아볼 줄 알게 된 두 사람. 어쩐지 이날의 만남 이후 두 배우의 협업을 보게 되는 날이 곧 오지 않을까 기대하게 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