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다중인격의 미로에 빠진 범죄스릴러, <미로>

미궁에 갇힌 그리스 신화의 괴물 미노타우로스, 다중인격의 미로에 빠진 연쇄살인범이 되다.

지금은 분리성 정체장애 혹은 해리성 정체장애로 수정되어 일컬어지는 다중인격장애는 영화의 오래된 단골 손님이다. 실제 사실과 환상을 교묘하게 직조해 스릴러와 미스터리의 긴장감을 구현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일 것이다. 가깝게는 김지운 감독의 <장화, 홍련>이 감추어놓았던 반전의 모티브이기도 했는데, <미로>는 <장화, 홍련>의 작법을 좀더 확장해놓은 듯하다. 도저히 화합할 수 없는 인물을 ‘통합’하는 장치로 다중인격이란 소재를 끌어들였는데 <미로>는 그 인물군을 사방으로 넓혀놓은 것이다.

뜻밖에도 이 영화는 다중인격이란 비밀스런 설정을 처음부터 밝히고 간다. 파리의 지하에 27명의 시체가 유기된 채 발견되고 연쇄살인의 용의자로 연약한 여인 클로드(실비 테스튀)가 검거된다. 법정은 착란증세를 보이는 클로드의 정신감정을 위해 그를 병원으로 보내는데, 영화는 이 초반부터 클로드가 다중인격에 빠져 있음을 분명히 한다. 반전의 승부수는 그 다중인격의 범위가 어디까지 있느냐에 던져져있다. 이를 위해 경찰 마티아스(프레데릭 디팡달)가 클로드를 검거하기까지 전 6일 동안의 과정과 클로드의 담당의가 된 심리학자 브레낙(램버트 윌슨)의 상황을 교차편집하며 극을 이끈다.

다중인격을 다루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게 그 기원을 이루는 사건이다. 그건 누군가의 정신을 통째로 뒤흔들어놓을 만한 충격이어야 한다. <미로>는 해묵은 사연과 손잡는다. 어릴 적 근친으로부터 받은 육체적, 정신적 학대. 여기에 미궁에 갇힌 미노타우로스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인용하며 표현주의적 회화와 그리스 신화의 이미지를 덧씌운다. 크레타의 왕비 파시파가 포세이돈이 보낸 황소와 사랑을 나눠 낳게 된 우두인신(牛頭人身)의 괴물 미노타우로스. 미노스 왕은 미궁을 지어 이 괴물을 가둔다. <미로>는 왕비가 강간당해 미노타우로스를 낳게 된 걸로 변주한다. 강간의 결과물로 태어난 아이(미노타우로스)가 어머니의 학대로 인해 다중인격이란 미궁에 갇히게 됐다는 식으로. 이렇듯 <미로>는 익숙함의 조합으로 짜여진 범죄스릴러다. 그리고 그 익숙함이 큰 약점을 낳았다. 브레낙의 스승처럼 나오는 또 다른 심리학자 칼에게 프로이트의 이미지를 부여했지만 극에 이렇다 기여를 못하는 것처럼.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