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조성희 감독이 직접 밝힌 ‘승리호’의 스토리 비하인드
임수연 사진 오계옥 2021-02-06

지난해 한국영화 최고 기대작으로 손꼽혔던 <승리호>가 드디어 베일을 벗고 2월 5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2092년, 지구는 황폐화되고 인류는 우주로 떠난다. 선택 받은 사람들만이 녹음으로 울거진 화성으로 이주할 수 있고 지구에 남겨진 자들은 호흡기 없이는 살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에 놓인다. 우주 쓰레기를 수거해 돈을 버는 ‘승리호’ 선원들도 돈이 없어 허덕이는 것은 매한가지다. 그런데 그들이 수거한 사고 우주정에서 대량살상무기로 알려진 인간형 로봇 ‘도로시’를 발견되면서 주인공들은 크게 한탕 하고 싶다는 유혹에 빠진다. UTS 기동대는 물론 테러리스트 단체까지 쫓고 있는 도로시를 돈과 맞바꿀 수 있지 않겠냐는 것이다. 이 독특한 세계관은 <남매의 집> <짐승의 끝> <늑대소년>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이하 <탐정 홍길동>) 등을 연출한 조성희 감독의 머릿속에서 탄생했다. 그는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신나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전하지만, 실제로도 유쾌하게 즐기다가도 찡한 감동을 주는 근사한 상업영화이지만, 이야기의 디테일에서 사회정치적 텍스트를 읽어내는 것 역시 어렵지 않다. 조성희 감독이 직접 <승리호>에 대해 들려준 이야기를 정리해 보았다. 이 기사에 실린 내용은 전체 인터뷰 중 극히 일부이며, 감독과 나눈 장문의 대화는 2월 13일 발행되는 <씨네21> 1293호에서 만날 수 있다.

1. 10년 전 한국영화아카데미를 막 졸업했을 때 의 이야기를 구상했다.

“몇 가지 설정을 제외하면 스토리부터 등장인물까지 전부 바뀌었다. 그때는 통통배 같은 우주선 안에 있는 50~60대 노동자 이야기였다. 지금과는 설정이 정반대라 가난한 사람들이 우주에 살고 있었다. 큰 우주선을 타고 다니며 우주 쓰레기를 수거하는 사람들이 어떤 거대 음모에 맞서 지구를 구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도로시, 즉 꽃님이(박예린)라는 아이를 만난다라는 큰 줄기는 그때도 있었다. 태호(송중기)가 딸 순이(오지율)를 잃는 것도 지금과 똑같은데, 초창기 버전에선 죽은 딸을 환상 속에서 만나고 끝난다. 그렇기 때문에 태호의 슬픈 사연은 “제작비가 이렇게 많이 들었는데 이런 것도 있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으로 넣은 게 아니다. 그건 정말 자신 있게, 아주 솔직하게 말씀드릴 수 있다. 4년 전쯤 다시 시나리오를 꺼내 쓰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방향으로 완성했다.”

2. <승리호>를 준비하면서 원양어선 선원이나 미국의 택시 드라이버의 삶을 참고했다.

“집에서 나와 밖으로 나갈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 같이 일하는 사람들은 가족 같은 유대 관계를 갖고 있다. 사소한 일로도 갈등하지만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정말 일사불란하게 팀워크를 발휘하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미국은 땅덩어리가 넓으니까 트럭을 타고 몇날 며칠을 달리는데 트럭 운전사가 먹고 자는 공간은 앞부분의 좁은 의자밖에 없다. 전체 삶에서 일이 훨씬 큰 부분을 차지하고 누리는 건 아주 작다. 이들은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우주 노동자다. 그래서 <승리호>의 액션도 잘 빠진 포르셰끼리의 경주가 아니라 쇳소리 나고 터프한 트럭들의 싸움처럼 묘사했다.”

3. 폐기처분된 군용 로봇 업동이를 장 선장이 데리고 오면서 너무 좋은 OS를 깔아 버렸다.

“과거보다 깊은 자의식을 갖게 되면서 자기 꿈이 생긴 거다. 업동이를 보면 옷을 자주 갈아입는데 그게 다 새 거다. 유일하게 옷도 세탁해서 입는다. 인간미도 있다. ‘한 6천~7천 정도.’ 셈이 정확해야 할 로봇이 할 말은 아니지 않나. (웃음) 숫자를 한번에 읽지 못하고 ‘일, 십, 백, 천, 만’ 손가락으로 세는 디테일은 유해진 선배님의 아이디어였다.

4. 조성희 감독은 시나리오를 쓰면서 설리반이 무조건 나쁜 놈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설리반이 우주 시대를 개척하고 영생의 비밀을 풀고 화성 테라포밍에 성공해 인류에 기여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곱씹어보면 이 인물이 단순한 악역으로 다가오지 않을 것이다. 사실 설리반 같은 사람들이 세상을 발전시킨다. 계속 앞으로 나아가려고 하고, 위로 올라가려고 하고, 더 멀리 가려고 하고. 야망을 갖고 범인류적인 도약을 꿈꾸는 사람들 때문에 과학 기술이 발전할 수 있다. 그런데 성장에 희생은 불가피하지 않나. 그 뒤에는 남겨진 사람들이 있으니까. 성장을 우선시하는 사람, 복지를 우선시하는 사람이 있다면 설리반은 전자다.”

5. 설리반이 믿는 ‘좋은 세상’과 태호가 다짐하는 ‘좋은 사람’이 대비된다.

“소년병으로 자라 무고한 사람들을 죽이고 다녔던 태호가 순이를 만나고 마음속 온기를 찾은 듯했으나 그것을 다시 잃는다. 그리고 꽃님이를 통해 자기 내면의 ‘좋은 사람’을 다시 발견한다. 앞으로만 나아가는 게 과연 ‘좋은 세상’인가 아니면 뒤에 남겨진 사람들도 같이 가는 ‘좋은 사람’이 될 것인가. 창작자로서 시나리오를 쓸 땐 이런 생각을 하며 썼다.”

6. 대안 가족의 탄생을 보여주는 <승리호>에서 어린이는 희망이자 극에 안정감을 주고 새로운 세대를 상징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이성애 기반의 결혼과 출산으로 완성되는, 이른바 정상가족이 아니지만 함께 부대끼며 살 수 있다. 이번 작품에도 어린이들이 나오게 됐는데, 개인적으로 어린이들이 나오면 이야기에 안정감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악당과 선한 주인공만 있으면 평면적이고 재미가 없다. 완전히 도덕적으로 무결한 캐릭터가 있어야 도덕적인 밸런스가 맞을 것만 같은데 그런 존재가 나에겐 어린이다. 어린이는 나쁜 점이 하나도 없는 성자 같다. 구세대에 대비되는 새로운 세대를 상징하기도 한다. <탐정 홍길동>은 이전 세대를 제거하고 다음 세대와 손잡는 의미를 담은 영화다. <승리호>도 나이가 아주 많은 권력자 설리반이 등장하기 때문에 비슷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의식하며 시나리오를 쓴 건 아니지만 그렇게 영화가 읽히는 것에 아니라고 부정하지는 않겠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