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디 앨런식의 리얼리즘, 아이러니
크리스의 욕망과 갈등, 선택과 결과에 집중하는 <매치포인트>의 내러티브는 흔할 뿐 아니라 매우 단순하다. 매 순간 매치포인트에 운명을 맡긴 크리스가 결정적 한점을 얻는, 이 영화 최고의 반전(?)을 제외하면, 종횡무진 장르를 이동하며 파격을 시도했던 우디 앨런의 흔적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그처럼 단순해진 구조와 전형적인 캐릭터를 향한 입장은 다소 갈리는 편이다. “밥 딜런이 어쿠스틱 기타를 집어던지고 전자기타를 택했듯 우디 앨런 역시 변했다. <매치포인트>는 그가 40년 동안 만든 영화 중 최고작”이라는 평가와, “<범죄와 비행>이 궁극적으로 우주적(cosmic)이라면, <매치포인트>는 결론적으로 장식적(cosmetic)이다”라는 비아냥이 공존한다. 돌이켜보면 예전에도 이런 식이었다. <애니홀> <젤리그> <맨하탄> <한나와 그 자매들> <범죄와 비행&g
<매치포인트>와 우디 앨런의 세계 [2]
-
매치 포인트는 탁구나 테니스 등에서 승부를 결정짓는 마지막 한점을 의미하는 스포츠 용어다. 일반적으로 매치 포인트 상황에서 승패를 가르는 것은, 실력보다는 운이다. 이러한 진리는 한 사람의 인생, 개인이 모여 이루어진 우주에 대입해도 크게 무리가 없다. 우디 앨런은 그처럼 허무하고 두려운 세상의 비밀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지난 40년간 그는, 심각한 상황을 견디지 못하는 재담꾼 같았다. 그는 능청스럽고 피학적인 농담 속에 자신의 진심을 담아왔지만,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그의 현란한 화술에 먼저 매료됐다. 오는 4월13일 개봉을 앞둔 <매치포인트>는 <애니 홀>(혹은 <범죄와 비행> 혹은 <젤리그>… 이곳에 들어갈 영화의 제목은 아무래도 좋다) 이후 우디 앨런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에 없이 근엄한 표정으로 귀환한 냉소주의자는 더이상 말장난에 관심이 없는 듯하다. 웃음기와 함께 자신의 영화에 등장하던 그 숱한 인장들까
<매치포인트>와 우디 앨런의 세계 [1]
-
감독과 카메라를 게으르게 하는 유혹자
배우를 국적으로 갈라 연기를 논하는 것은 크리켓의 규칙을 이해하려는 것만큼 부질없는 노력일지도 모른다. 영국 배우들은 결코 단번에 들이켤 수 있는 한잔의 홍차가 아니다. 제레미 아이언스와 휴 그랜트가 데이비드 니븐과 마이클 요크의 계보를 잇는 영국 귀족 신사의 얼굴이라면, 노동계급과 아웃사이더로 자주 분하는 로버트 칼라일, 크리스토퍼 에클레스턴, 데이비드 튤리스, 이안 하트는 리처드 해리스, 알버트 피니를 위시한 ‘앵그리 영 맨’ 세대 배우들의 좀더 왜소한 후배들이다. 웬만하면 영화도 문학 각색물을 선호하는 바네사 레드그레이브가 있는 반면 연극에 별로 미련을 두지 않는 마이클 케인도 있다. 팀 로스와 게리 올드먼은 언제든 대서양을 건너가 ‘저수지의 개’ 멤버가 될 수 있는 배우이며, 미국인은 물론 동양계로 분해도 아무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변신의 귀재 밥 호스킨스, 벤 킹슬리 같은 배우도 있다.가장 예외적인 인물인 숀 코너리는 개인주의
영국 배우 전성시대 [7]
-
스튜어트 타운센드 Stuart Townsend
<레저렉션> <퀸 오브 뱀파이어> <젠틀맨리그>
“나는 아일랜드의 정치에 전혀 관심이 없다. 미국의 정치야말로 정말 굉장하다. 부시를 봐라. 그는 전세계를 정치적으로 만들었지 않은가.”
한국에선 샤를리즈 테론의 남자친구로 더 유명한 배우, 최근 결별설이 들려왔다. 어린 시절 여자친구의 손에 이끌려 연기학교에 등록하면서 배우의 길로 들어섰고, 영화 <트로잔 에디>로 데뷔했다. 이후 <퀸 오브 뱀파이어>에서 비운의 죽음을 당하는 알리야와 함께 주연을 맡아 주목받았으며, <젠틀맨리그>에선 카리스마를 넘치는 불사신 도리안 역을 맡았다.
Good: 코미디 <어바웃 아담>부터 SF스릴러 <이온 플럭스>까지 연기의 폭이 넓다.
Bad: <반지의 제왕> 아라곤 역을 비고 모르텐슨에게 빼앗긴 건 정말 불운한 일이었다.
조너선 리스 메이어스
영국 배우 전성시대 [6] - 아일랜드 출신 배우
-
-
크리스천 베일 Christian Bale
<아메리칸 싸이코> <이퀄리브리엄> <배트맨 비긴즈>
“<아메리칸 싸이코>를 찍기 전에는 계속해서 사극 제의만 들어왔다. 이제는 머천트 아이보리 영화용 배우가 되는 게 아니냐고 스스로에게 물어볼 정도였다.”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발행 10주년 기념호에서 크리스천 베일을 지난 1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컬트적 인물 8’에 꼽았다. 베일은 13살 어린 나이에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태양의 제국>에 출연했으며, 이 영화로 전미비평가협회 청소년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그는 <아메리칸 싸이코>에서 패션에 집착하는 살인마 역을 훌륭히 소화했으며, 2005년 크리스토퍼 놀란의 <배트맨 비긴즈>에서 슈퍼 히어로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심리스릴러 <머시니스트>를 위해서는 30kg 감량도 마다지 않는 열의를 보여줬다. 이후 콜린 파렐과 함께 테렌스 맬릭
영국 배우 전성시대 [5] - 웨일스·스코틀랜드 출신 배우
-
로자문드 파이크 Rosamund Pike
<007 네버다이> <둠> <오만과 편견>
“사람들이 나의 영국적인 특색들을 좋아한다면 그걸 애써 감출 생각은 없다.”
<007 네버 다이>의 본드걸과 <둠>의 과학자가 <오만과 편견>의 제인 베넷과 동일인물이라는 사실을 발견한 사람은 흔치 않을 것이다. 비록 본드걸로 데뷔했지만 로자문드 파이크는 오페라 가수와 바이올린 연주자 사이에서 태어나 옥스퍼드에서 수학한 예술가 집안의 숙녀였다. 이러니 강단과 온기가 여문 제인 베넷 역할에 어울리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오만과 편견> 이후 로자문드 파이크의 앞에는 꽤 쓸 만한 프로젝트들이 기다리고 있다. 특히 앤서니 홉킨스와 공연할 신작 <분열>(Fracture)은 그에게 새로운 기회를 안겨줄 참이다.
Good: <오만과 편견>에서의 인상적인 연기는 본드걸과 <둠>의 이미지를 벗는 데
영국 배우 전성시대 [4] - 잉글랜드 출신 배우 ②
-
키라 나이틀리 Keira Knightley
<슈팅 라이크 베컴>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펄의 저주> <킹 아더> <오만과 편견>
“미국의 젊은 여배우들은 완벽한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그러나 인간은 결점이 있기에 완벽할 수 있다. 나는 완벽한 얼굴 같은 데는 별 흥미가 없다.”
키라 나이틀리는 나이보다 조숙해 보인다. 그가 겨우 스무살이며, <오만과 편견>으로 역사상 세 번째 어린 나이로 오스카 주연상 후보에 올랐다는 사실은 조금 놀랍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펄의 저주>와 <킹 아더>보다 나이틀리를 잘 대변하는 작품은 지난 2002년에 출연한 영국 미니시리즈 <닥터 지바고>일 것이다. 겨우 16살의 나이로 거친 러시아 대지의 여인 라라를 연기한 그는 소녀의 몸으로 성인의 강단을 품은 배우처럼 느껴진다. “언젠가 일은 그만 들어올 테고, 사람들은 나를 지겨워하게 될 것이다
영국 배우 전성시대 [3] - 잉글랜드 출신 배우 ①
-
그들은 캐리 그란트의 진화한 후예들
지금의 젊은 영국 배우들은 눈을 내리깔고 윗입술을 세운 영국 귀족의 얼굴도 아니고, 탄광촌 노동계급의 성난 얼굴만을 대변하는 프리 시네마의 ‘앵그리 영 맨’도 아니다. 그들은 캐리 그랜트의 진화한 후예들이다. 더이상 신사연하지 않으며, 머뭇거리지도 않는다. 그들은 바람피우고(주드 로), 섹스 비디오를 유출하고(콜린 파렐), 새로운 스티브 맥퀸의 자리를 넘본다(클라이브 오언). <타임>이 캐리 그랜트에게 보낸 칭송을 빌리자면 그들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남자 동물”들이다. 여배우들 역시 <뉴욕타임스>의 말대로 “영국식 고고함을 끝끝내 지키다 잊혀져간”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와는 다르다. 캐서린 제타 존스, 케이트 베킨세일, 키라 나이틀리와 시에나 밀러는 가죽 의상을 입거나 빅토리안 치마를 걷어올리고 말 안장에 올라타 검을 휘두른다.
새로운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배경에는 90년대 이후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영국
영국 배우 전성시대 [2]
-
영국 영화지 <엠파이어>는 젊은 영국 배우들에 대한 기사를 내보내며 마치 선언 같은 전문을 썼다. “비록 우리에게는 블록버스터를 만들 만한 돈이 없지만, 재능있는 배우의 부족에 시달렸던 적은 한번도 없다.” 백번 자랑해도 모자랄 것 없는 말이다. 캐리 그랜트, 로렌스 올리비에와 비비안 리로부터 키라 나이틀리와 크리스천 베일과 클라이브 오언에 이르기까지, 영국은 재능있는 배우에 있어서라면 제국의 영광을 한번도 손에서 놓았던 적이 없다. 그리고 젊은 영국 배우들이 할리우드의 중심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는 최근 몇년간의 상황을 보노라면, 제국의 영광이 또 다른 진화의 과정으로 들어서고 있다는 예감을 가능케 한다. 지금 가장 뜨겁게 부상하고 있는 영국 배우들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오랜 영국 배우의 저력 또한 꼼꼼히 되짚어본다. 각 지방(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별로 뽑아낸 유망주들의 명단은 현재 진행 중인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의
영국 배우 전성시대 [1]
-
“미국은 광범위한 부패문화에 젖어있다”
-‘시리아나’라는 제목은 무슨 뜻인가.
=워싱턴의 싱크 탱크가 실제로 사용하는 단어다. 그들은 중동의 국경을 다시 그릴 수 있다는 은유적인 의미로 그 단어를 사용했다. 자신의 필요와 욕심에 따라 어떤 지역을 마음대로 재단하겠다는 꿈은 시저 이래 많은 이들의 소망이었지만 매우 잘못된 생각이기도 하다.
-<시리아나>는 로버트 베어의 논픽션이 원작이다. 그 책을 어떻게 픽션으로 각색했는가.
=베어를 모델로 삼은 CIA 요원 밥은 이 영화의 1/3 정도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끌고 간다. 그래서 나는 다른 세계도 연구해야만 했다. 처음엔 베어가 들려준 믿지 못할 이야기들이 얼마나 사실과 일치하는지 확인했다. 베어는 책에 등장하는 사람들을 내게 소개시켜주었고, 그 때문에 좀더 넓은 관점을 얻을 수 있었다. 나는 헤즈볼라 지도자와 석유재벌, 무기거래상, 보수적 싱크 탱크인 미국 기업연구소 멤버들, 투자은행인 칼라일그룹의 임원들을 만났다. 결
<시리아나>의 제작배경 [2]
-
2001년 9월11일은 전세계가 충격에 빠진 날이었다. 그날 이후 오사마 빈 라덴은 역사상 가장 유명한 사우디아라비아인이 되었고, 미국은 복수를 준비했고, 그날을 기억하는 영화와 드라마와 수많은 책이 쏟아졌다. 그러나 그날 이후 세계가 변했을까? 냉정한 영화 <시리아나>는 미국과 중동을 하나로 묶고 있지만 너무 거대해 보이지 않는 그물을 더듬어 찾아내며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유목민에게 길을 비켜주는 지혜로운 왕자의 개혁은 신기루가 되고 워싱턴은 다시 한번 샴페인을 터뜨릴 것이라고. 그러나 <시리아나>는 희망을 강요하지 않기에 오히려 가치가 있는 영화다. 존재하지도 않는 희망에 젖어 사는 이들은 다만 불우한 현실을 단단하게 굳히는 역할만 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자본으로 만들어졌지만 그 자본을 부정해야 한다고 말하는 영화 <시리아나>. 2001년 가을에 시작된 영화가 어떻게 태어나고 자라왔는지 되짚어본다.
외국인 노동자 캠프를 찍기 위해 두바이 외곽
<시리아나>의 제작배경 [1]
-
샹탈 애커만, 바버라 해머, 도리스 되리의 신작과 마를린 호리스 특별전
방 안은 어둡고, 시선은 창밖을 향해 있다. 샹탈 애커만의 다큐멘터리 <저 아래>(Down There/ 프랑스, 벨기에/ 2006년/ 79분)에서 카메라는 창밖을 여기저기 살펴보지만 마치 집안일을 하다 시선을 돌린 것처럼, 혹은 바깥 사람들에게 그 존재를 드러내고 싶지 않은 것처럼 창문에 드리운 발조차 걷지 않은 상태다. 오래된 활동사진을 보는 듯한 속도로 시간은 흘러간다. 이곳은 텔아비브. 샹탈 애커만 감독의 내레이션이 없다면, 이 영화에는 어떠한 극적인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나는 거의 모든 것으로부터 단절되어 있다”며 최소한의 삶을 살고 있다는 애커만 감독의 말과 적요한 화면은 바닷가에 가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저편에서>등의 영화에서 경계의 문제를 탐구했던 애커만 감독의 시선과 내적 성찰이 만나는 작품이다.
초현실주의 예술가, 배우, 작가, 시인, 문학평론가, 번
제8회 서울여성영화제 가이드 [4] - 거장의 손길
-
영화를 만든 주체의 성별 혹은 영화가 다룬 이슈가 이른바 여성영화의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다. 같은 주제 혹은 이슈를 다루더라도 여성의 화법, 여성의 시선은 다를 것이라는 기대가 존재한다. 실제로 올해 여성영화제 상영작 중 상당수는 성역할, 가족 안에서 여성의 관계, 여성의학, 페미니즘 등 여성학의 고전적인 이슈를 새로운 방식으로 고민하고 있다.
여성은 남성과 달리 태생적으로 육체의 변화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는 존재다. 그들은 매달 육체적 변화를 경험하고, 남성에게는 그저 쾌락으로 그칠 수 있는 성관계가 유발할 수 있는 직접적인 결과인 임신을 직접적으로 맞닥뜨려야 하는 쪽이다. 임신과 피임의 권리를 인류 역사 이래 최초로 주장했던 시대에 만들어진 다큐멘터리 <그럼, 그짓 하지마!>(Don’t Screw,Then!/ 카롤 루소풀로/ 프랑스/ 1971∼73년/ 17분)는 육체와 쾌락을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자신들의 이론을 실천에 옮기는 여성들의 적나라한 언어를 그대로
제8회 서울여성영화제 가이드 [3] - 새로운 형식
-
신선한 이슈, 매우 구체적인 이슈들로 여성문제를 재조명하는 영화들을 모았다. 세계 최초의 여성 비행기 납치범의 다큐멘터리는 우리에게 새로운 고민의 지점을 남긴다. 아프리카 특별전 섹션의 일부 다큐멘터리는 경제문제와 여성의 노동이라는 고질적 문제를 재점검하고 있다. 당신은 여성 복서의 다큐멘터리를 보며 스포츠업계에 일반화된 여성성의 상품화 논리에 분노하다가도 이슬람 가부장 체제 속에 일반화된 여성 차별과 폭력을 법적 처단하는 통쾌한 다큐멘터리를 보는 순간 환호할 것이다.
흰 셔츠의 남자를 길바닥 위에 사정없이 때려눕히는 아이들이 보인다. 발길질과 주먹질이 멈추지 않는다. 피범벅된 남자에게서 암전되는 화면. <삶의 한 방식>(A Way of Life/ 엠마 아산테/ 영국/ 2004년/ 91분)은 이렇듯 잔인하게 이야기를 시작한다. 열돌 된 아가를 둔 열여덟살의 미혼모 레이 앤은 엄마로서의 생존 본능과 철없는 10대의 반항기로 뒤섞여 있다. 무직의 레이 앤은 열악한 경제
제8회 서울여성영화제 가이드 [2] - 새로운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