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최종 결산 [5] - 수상작 인터뷰 ③
“극영화는 1초에 24개짜리 거짓말이다”
영화제 기간 중 <망가진 꽃들> <라스트 데이즈>와 함께 현지 언론 평점 수위를 달리던 미하엘 하네케의 <히든>은 남녀 주연상보다도 먼저 감독상으로 호명받았다. 하네케는 시상식 무대에 올라가서도, 포토콜 현장에서도, 시상 뒤 기자회견 자리에서도 비슷한 표정으로 일관했다. 수염이
사진: 손홍주 │
글: 박혜명 │
2005-06-07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최종 결산 [4] - 수상작 인터뷰 ②
“여행이란 사람의 삶에 대한 메타포다”
<망가진 꽃들>의 주인공 돈 존스톤은 22년 전 <천국보다 낯선>의 윌리와 마찬가지로 여행을 떠난다. 그러나 여행을 떠나기까지 여러 차례 망설이고, 여행을 떠나서는 던지지 못하는 말과 행하지 못하는 일이 더 많다. 돈은 윌리보다 식어 있다. 윌리가 제 기준대로 살다 22년 뒤 중년을 맞았다면
사진: 손홍주 │
글: 박혜명 │
2005-06-07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최종 결산 [3] - 수상작 인터뷰 ①
“영화는 어떤 꼬리표로도 환원될 수 없다”
에미르 쿠스투리차가 호명하고, 클론처럼 닮은 두 노인이 시상식 무대로 올라갔다. 장 피에르 다르덴과 뤽 다르덴 감독은, 백발이 얹힌 몸을 허리까지 굽혀 젊은 심사위원들에게 감사를 표시했다. 의좋게 트로피를 나눠 잡은 채 짧고 겸손한 수상소감을 남긴 두 노감독들은, 그러나 포토콜 때 네팔을 번쩍 들며 좋아라 함
사진: 손홍주 │
글: 박혜명 │
2005-06-07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최종 결산 [2]
빈손으로 돌아간 거장들
수상작은 일단 심사위원 마음대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이 작품의 절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척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구스 반 산트, 허우샤오시엔,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빔 벤더스, 라스 폰 트리에는 작품의 질에 상관없이 빈손으로 돌아간 거장들의 대표가 됐다. 홍상수도 이 목록에 포함된다. <씨네 21>과 인터뷰
사진: 손홍주 │
글: 정한석 │
글: 박혜명 │
2005-06-07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최종 결산 [1]
황금종려상 다르덴 형제의 <아이>… 허우샤오시엔, 홍상수 등은 수상실패
58회 칸영화제는 정치적인 구호의 깃발이 나부끼는 대신 거장들의 입성으로 술렁였다. 현존하는 영화 작가들 중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만한 이들이 이곳 칸으로 몰려든 것이다. 그중에서도 황금종려상을 쥐고 돌아간 이는 벨기에 출신의 형제 감독 장 피에르 다르덴, 뤽 다르
사진: 손홍주 │
글: 정한석 │
글: 박혜명 │
2005-06-07
-
[스페셜1]
영화인 7인 특강 [7] - 차승재·심재명 ③
“고, 스톱을 부르는게 프로듀서다”
“한국영화, <씨네21> 공히 최근 10년은 의미심장한 세월이라고 생각해요. 현재는 MKB지만 명필름도 올해 10주년이니까요. 1995년 8월에 창립한 명필름이 지나온 궤적이 한국 영화산업과 자본의 변화를 읽는 한 사례가 될 수도 있겠네요. <코르셋>이 창립작인데 그 작품은 삼성영상사업단 전액투
사진: 정진환 │
정리: 김수경 │
2005-06-07
-
[스페셜1]
영화인 7인 특강 [6] - 차승재·심재명 ②
“중국의 시장개방에 대비해야 한다”
준비된 원고가 없기 때문에 논리가 뒤죽박죽입니다. 잘 편집해서 들으시길 바랍니다. (웃음) 한류, 한류 그러는데. 사실 <겨울연가> <대장금> 같은 드라마 뿐만 아니라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영화가 갖는 위치는 대단합니다. 얼마 전 대니얼이라는 친구가 우리 회사에 왔는데 재밌는 이야길해주더군요. 2
사진: 이혜정 │
정리: 이영진 │
2005-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