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신인배우 등용문, 요즘은 어디에?
영화·영상 콘텐츠 제작의 경직화는 신인배우들의 등용문에도 전보다 막막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기회의 축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지만, 그럼에도 젊은 배우 지망생들은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 나서는 중이다. SNS와 유튜브 중심의 숏폼 콘텐츠를 통한 셀프 PR이 돋보이는 가운데, 올해 6회를 맞은 2025 대학 연기 배틀: 숭실대학교 VS 국민대학교 행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백종헌 │
2025-08-08
-
[스페셜2]
[기획] 282 지구의 새 출발,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
지난 몇년간 들려온 할리우드발 엔터테인먼트 뉴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뉴스를 꼽으라면? 바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MCU 복귀 소식이다. 2024년 여름 샌디에이고 코믹콘 무대에 깜짝 등장해 “New Mask, Same Task”를 외친 그는 이번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MCU에 속한 작품들은 연대
글: 김현수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멀티버스 전쟁의 라인업이 완성됐다 -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이 얻어낸 마블의 기회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37번째 영화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이 개봉 첫 주말 북미 흥행 1억달러를 돌파했다. 10년 전 20세기 폭스 시절에 리부트된 조시 트랭크 감독의 <판타스틱4>(2015)가 거둬들인 총수익을 단 며칠 만에 뛰어넘었다. 전세계 영화 팬들이 마블의 행보에 화답하고 있는 결과처럼 보이지만, 팬데믹
글: 김현수 │
2025-08-07
-
[스페셜2]
[인터뷰] 사랑과 시간이 개입하지 않는 삶은 없다, <머티리얼리스트> 셀린 송 감독
서사가 계급과 배경을 두고 사랑의 자격을 논하는 일은 현대적인 동시에 복고적이다.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인 시대. 자본주의의 이해관계를 결혼의 성취에도 적용하다 보면 사랑이 모든 걸 이긴다는 낭만은 옛날이야기처럼 취급되곤 한다. 한데 고전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계급사회의 통혼 속에서 진정한 사랑을 발견하는 이야기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물질만능주의자’가 아닌 <머티리얼리스트>
<머티리얼리스트>에 마돈나의 <Material Girl>이 등장하지 않아서 놀랐다. 지지난해 <바비>에 아쿠아의 <Barbie Girl>이 등장하지 않은 것과 비교해도 이쪽이 훨씬 신기하다. “우리는 물질만능의 세상에 살고, 나는 속물인 여자일 뿐이야”라는 <Material Girl>의 유명한 후렴구는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정체성의 삼각형, <머티리얼리스트>로 돌아보는 셀린 송의 세계
장편 데뷔작 <패스트 라이브즈>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셀린 송 감독이 차기작 <머티리얼리스트>로 돌아왔다. 올해 5월엔 셀린 송의 희곡 <엔들링스>가 한국 초연 무대를 가졌다. 2024년과 2025년. 한국 관객은 동시대 가장 주목받는 한국 출신 감독의 작품을 연달아 감상하는 때 아닌 호황을 누리는 중이다. <머티리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시네필이 사랑할 책방, 영화 전문 서점 겸 출판사 코프키노에 가다
같은 제목의 영화가 된 소설 <북샵>은 한 여자가 책방을 짓고, 지키는 이야기다. 그 끝에 공간과 함께 남은 것은 공간에 관한 말이다. “그 누구도 서점에서는 결코 외롭지 않다.” 작품을 매듭짓는 이 문장은 서울 중화동의 ‘시네필 책방’ 코프키노와 공명한다. 지난 1월 문을 연 이곳은 외롭고 싶지 않은 시네필들을 위한 자리를 표방하기 때문이다.
글: 남선우 │
사진: 최성열 │
202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