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99 한국영화 페미니즘 성적표 [1]
여성문화예술기획의 여성관객 1천명이 뽑은 최고의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
우리가 그 여자, 춘희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 그녀는 청결 불감증에 걸려 있고 좀처럼 치마를 입지 않으며, 물을 병째로 들이켜고 좋을 땐 희한한 웃음소리를 낸다. 우리는 이것말고도 그녀에 대해 열 가지는 더 얘기할 수 있다. 춘희가 곧 우리니까. 춘희, 아니
글: 유지나 │
2000-02-01
-
[스페셜1]
<춘향뎐>과 임권택 [4] - 임권택 vs 김명곤 대담
<춘향뎐> 시나리오를 쓴 김명곤씨와 임권택 감독은 <서편제> 때 인연을 맺었다. 연극계 출신의 김명곤씨는 영화배우 중에서 판소리를 정식으로 배운 거의 유일한 사람이며, <서편제>에서 딸의 눈을 멀게 하는 비정한 소리꾼 유봉으로 출연해 잊혀지지 않는 인상을 남겼다. 두 사람이 판소리 춘향전에 대해, 그리고 영화 <춘향뎐&
사진: 이혜정 │
글: 허문영 │
2000-02-01
-
[스페셜1]
<춘향뎐>과 임권택 [3] - 정일성 촬영감독 인터뷰
-<춘향뎐>이 가장 난해한 촬영이었을 것 같다. 색채부터 화려하기 그지 없다.
=난해하다? 그럴지도 모르겠다. 나로서는 완전히 새로운 걸 했다. 이전엔 한번도 내 스타일을 바꾸려했던 적이 없었다. 난 70년대부터 카메라를 들었고, 어두운 시대에 살면서 아름답게 찍고 싶진 않았다. 그러다 보니 묵화의 느낌이 강한 화면이 됐다. 움직임도 별로
사진: 이혜정 │
글: 허문영 │
2000-02-01
-
[스페셜1]
<춘향뎐>과 임권택 [2] - 제작기 ②
1999. 7.24
문제의 사랑가 장면. “이리 오너라. 업고 노자”로 시작되는 이 대목은 아마도 <춘향뎐> 전체에서 가장 어려운 장면의 하나일 것이다. “5, 6일이 지나니 두 남녀는 부끄럼을 잊고….” 서로의 몸을 알게 된 어린 남녀는 이제 수줍음을 버리고 서로 수작하다가 병풍 뒤로 들어가 옷을 벗어던지고 몸을 맞대야 한다. 문제는 그
글: 허문영 │
2000-02-01
-
[스페셜1]
<춘향뎐>과 임권택 [1] - 제작기 ①
“영화감독이라는 것은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으로부터 도망갈 수 없다. 아무리 도망가고 싶어도 자기 자리로 돌아와서 결국 그 삶이 영화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임권택 감독은 먼길을 돌아 <춘향뎐>의 입구에 도착했다. 스스로 휴지같다고 표현한 1960년대, 동시대인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애정을 드러낸 1970년대, 그리고 방황과 구도의 1980
글: 허문영 │
2000-02-01
-
[스페셜1]
<무영검> 중국 촬영현장을 가다 [3] - 미술·합작
모든 사극에 고증이 필요한가?
미술- 잃어버린 대륙의 역사, 로드무비의 특성 살린 상징적 면 부각
고증 자료가 많지 않은 과거의 어느 시대를 시각화하는 건 곤혹스러운 일이다. 발해가 배경인 <무영검>의 미술팀은 자료가 부족한 까닭에 고증보다는 상상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작업해야 했다. “영화미술이 재현의 목적을 가진 건 아니”라고 믿는
사진: 이혜정 │
글: 박은영 │
2005-07-27
-
[스페셜1]
<무영검> 중국 촬영현장을 가다 [2] - 서사·액션
왜 발해의 여자 무사인가?
서사- 미지의 여백인 발해사에 관한 대담한 상상
<무영검>은 무려 4년 동안 ‘김영준 무협 프로젝트’로 기획, 준비됐던 작품이다. 5년 전 데뷔작 <비천무>가 흥행은 나쁘지 않았지만, 완성도의 문제를 아프게 지적당한 만큼, 김영준 감독이 같은 장르로 복귀한 것은 의외다. 이 배경에는 <비천무&g
사진: 이혜정 │
글: 박은영 │
200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