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찰리와 초콜릿 공장> 프로덕션디자인 노트 [2]
훈련된 다람쥐 한번 보실라우_발명실과 호두 분류실
아마도 원작 동화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읽으신 대목 중 하나가, 윌리 웡카의 기발한 발명품에 관한 것일 텐데요. 녹지 않는 초콜릿 아이스크림, 줄어들지 않는 사탕, 풀코스 식사가 되는 마법의 껌. 상상만 해도 행복해지는 윌리 웡카의 맛있고 간편하고 재미난 과자들이 바로 여기, 발명실에서 기획되고 개발됩니다.
글: 박은영 │
2005-09-19
-
[스페셜1]
<찰리와 초콜릿 공장> 프로덕션디자인 노트 [1]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 까지는 아니지만, 지금으로부터 41년 전인 1964년, 작가 로알드 달은 <찰리와 초콜릿 공장>이라는 동화를 내놓았습니다. 주식은 양배추 수프, 일년에 한번 초콜릿 맛을 볼까말까 할 정도로 가난한 소년 찰리가 이웃한 초콜릿 공장에 초대되는 행운을 얻어, 기이한 천재이자 은둔자인 공장장 윌리 웡카의 안내로 ‘초콜릿 천
글: 박은영 │
2005-09-19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4] - 차이밍량 ②
실패를 받아들이는 것도 생활이다
김소영 차이밍량은 자기만의 전통을 만드는 감독이다. 자기 영화를 가지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방식에 대해서도 역시 자기만의 고민과 방식을 보여준 강의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방금 상영된 <구멍>의 창작 배경을 듣고 싶다.
차이밍량 지금까지 어느 제작자, 투자자도 내 제작에 간섭한 적이 없다. 그런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3] - 차이밍량 ①
대중의 의식 향상이 보편적 문화 향상을 만든다
내가 한국에 오기 전 대만에 대스타 배용준이 왔다. 한류가 정말 온 아시아를 정복하고 있는 것 같다. 대만 영상산업 종사자들에겐 한류가 스트레스고 압박감이다. 20여년 전만 해도 대만영화는 활발한 시기였으나 그뒤로 하강기에 접어들었고,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한류까지 겹쳤다. 적어도 여러분은 공항에 가서 배용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2] - 허우샤오시엔 ②
감독을 꿈꾸는 자들이여, 행동하라
정성일 평론가라기보단 팬클럽으로 나왔다. 질문이 팬클럽스럽다 하더라도(웃음) 이해해달라. 촌스럽게 시작하겠다. 서울 방문은 공식적으로 처음인데. 인천공항에 도착해, 서울 풍경을 보면서 받은 느낌이 궁금하다.
허우샤오시엔 아주 긴 다리들(웃음)…. 되게 많던데. 세상에 이런 물질적 세계가 끝없이 팽창된다면 그건 좋은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1] - 허우샤오시엔 ①
8월27일 토요일 오후 3시, 세명의 거장의 작품을 초청한 대만뉴웨이브영화제를 위해, 같은 비행기를 타고 허우샤오시엔 감독과 차이밍량 감독이 서울아트시네마에 도착했다(에드워드 양 감독은 내한하지 않았다). 두 감독을 한자리에 모셔 사진을 촬영하고 싶은 욕심이 앞섰다. 조선호텔에 여장을 풀고 두 감독은 바로 필름포럼으로 나왔다. 허우샤오시엔 감독은 감기로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거칠마루>의 파이터들 [3] - 6인의 무술인 ②
“여자 앞에선 숙맥이에요. 영화가 도움이 되었으면”
마시마로 역의 김진명
아마 영화 속 고수들 가운데 가장 귀여운 캐릭터는 마시마로일 것이다. 태식과 산길에서 강도 높고 박진감 있는 싸움장면을 보여주지만, 후반부에 깜찍하게 보여주는 재롱이 잊혀지지 않는 배우다. 촬영 뒤 2년 반이 지난 그의 몸은 무척 날렵하다. 공익 근무요원으로 들어가기 전 훈련
글: 이영진 │
글: 문석 │
글: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