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북유럽에서 온 발칙한 영상제조기, 트랙터 [3]
“우린 못생긴 진짜 사람들에게서 영감을 얻는다”
-이번 레스페스트의 특별전은 섹스(SEX), 폭력(VIOLENCE), 공포(FEAR), 혼돈(CONFUSION)으로 나뉘어져 있다. 당신들이 직접 카테고리를 나눈 것인가.
=직접 나눈 것이다. 우리는 독창적으로 작업물들을 쪼개어 볼 수 있도록, 그래서 작업물들이 서로서로 숨을 쉴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글: 김도훈 │
2005-12-07
-
[스페셜1]
북유럽에서 온 발칙한 영상제조기, 트랙터 [2]
혁신적인 방식의 이야기 구조
하나로 뭉쳐 부를 수 있는 스칸디나비아식 공동체라는 것만이 트랙터의 특징은 아니다. 광고 에이전시 파르티잔 대표인 스티브 딕스테인의 말처럼 “사람들이 그들을 규정하려고 하는 순간, 트랙터는 움직이는 타깃으로 변한다”. 그래서 트랙터의 특징을 하나의 단어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랙터적(的)이라고 부를 만한 두
글: 김도훈 │
2005-12-07
-
[스페셜1]
북유럽에서 온 발칙한 영상제조기, 트랙터 [1]
멈추지 않는 영상제조기 트랙터가 한국에 왔다. 마치 견인자동차(Tractor)처럼 들리는 트랙터(Traktor)는 여러 명의 멤버로 구성된 스칸디나비아 출신의 영상집단이다. 한국에서는 낯선 이름이지만, 1990년에 결성되어 지금껏 400여편의 광고와 5편의 뮤직비디오, 1편의 극장용 장편을 만든 이 공동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광고상을 수상했고, 뮤직비
글: 김도훈 │
2005-12-07
-
[스페셜1]
무라카미 류의 작품세계 [2] - 인터뷰
“현실의 문제에서 도망칠 수 없다면 정면으로 다룬다”
지난 11월18일 점심시간이 막 지났을 무렵, 영화평론가 김봉석과 <도쿄 데카당스>의 원작 소설가이자 영화를 연출한 무라카미 류 감독이 무라카미의 숙소에서 만났다. 어휘 선택이나 언어 구사에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하는 무라카미 류가 말하는 무라카미 류.
-드디어 한국에서 <도쿄 데
정리: 김수경 │
사진: 서지형 │
2005-12-07
-
[스페셜1]
무라카미 류의 작품세계 [1]
원작 소설 <토파즈>가 출간된 것이 1988년. 영화 <도쿄 데카당스>가 타오르미나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은 것이 1992년. 그러나 한국에서 <도쿄 데카당스>가 개봉되기까지는 14년이란 시간이 필요했다. 일본 대중문화의 금지가 있었고, 그중에서도 ‘성인용’이란 딱지 때문이었고, 다시 ‘검열’이 문제가 되었다. 한국 영화심
글: 김봉석 │
2005-12-07
-
[스페셜1]
스탭 조합 좌담 [2]
가장 개런티가 높은 스탭은 길바닥씨?
이현승/ 조합이 출범한다니까 제작비 상승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더군요. 사실, 몇몇 제작자들을 만나봤는데 그들도 필요하다면 어느 정도의 임금인상은 생각하고 있더라고요. 그런데 그 사람들도 정확한 데이터를 원하고 있어요. 지금 제협을 포함해서 여러 곳에서 스탭들의 임금을 조사하고 있어요.
김성복/ 조합이 생긴다고
사진: 이혜정 │
정리: 문석 │
2005-12-06
-
[스페셜1]
스탭 조합 좌담 [1]
1천만 관객시대를 열었고, 50%대의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하며, 해외시장을 거침없이 넘나드는 한국영화의 기세는 가히 폭발적이라 할 만하다. 또 외양만을 놓고 본다면, 이제 ‘영화산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큰 무리가 없을 정도로 한국영화는 안정적인 재생산구조를 갖추고 있는 듯 보인다. 수시로 휘청대긴 하지만 투자자본은 지속적으로 충무로를 넘어오
사진: 이혜정 │
정리: 문석 │
2005-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