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기획] 주목할 만한 두 편의 다큐멘터리, ‘수라’, ‘206: 사라지지 않는’
모두에게 잊힌 갯벌과 외면당한 한국전쟁 희생자들의 유해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온 이들이 있다. 바로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이하 생태조사단)과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하 시민발굴단)이다. 생태조사단은 동식물들이 살아가는 갯벌의 모습을 기록하고 알리기 위해, 시민발굴단은 희생자의 마지막 뼛조각 하나까지 유가족의 품에 돌려주기 위해 분투한다.
글: 씨네21 취재팀 │
2023-06-22
-
[스페셜2]
[기획] 한국형 프랜차이즈, ‘범죄도시’라는 사건
1. <범죄도시>의 브랜드 가치
“어떤 영화가 성공을 거둔다면 그것은 일단 사회적인 사건이다. 영화의 질 문제는 부차적이다.” 프랑수아 트뤼포의 이 말은 수많은 흥행 영화들의 비평적 구원이 되어주었다. 태생부터 대중과 자본으로부터 자유롭기 힘든, 영화의 매체 속성상 흥행은 사회적 현상일 수밖에 없다. 이런 맥락에서 <범죄도시> 연작
글: 강유정 │
2023-06-22
-
[스페셜2]
[인터뷰] 마석도이기에 가능한 액션을 짠다, ‘범죄도시3’ 허명행 무술감독
“흥행 예상했다.” <범죄도시3>의 흥행 추이를 언급하자 허명행 무술감독은 주저 없이 답했다. 그는 <범죄도시> 시리즈 1~3편의 무술감독이자 개봉 준비 중인 4편의 연출자이기도 하다. 처음부터 시리즈의 고락을 함께해온 그에게 <범죄도시>는 ‘마석도’(마동석 분)와 등치시킬 수 있을 만한 작품이다. 그러니 그가 생각하는 시리
글: 이우빈 │
2023-06-22
-
[스페셜2]
[기획] 한국영화의 부활과 시리즈물의 관성 사이, ‘범죄도시3’ 흥행을 분석하다
마동석표 액션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좀처럼 어두운 전망을 떨치지 못했던 극장가에 압도적인 흥행 열기를 불어넣고 있다. 5월31일 개봉해 첫 주말부터 매일 100만 관객씩 불러들이며 무서운 기세로 달려나간 <범죄도시3>는 개봉 14일차에 800만명 고지를 가뿐히 넘어섰다(6월14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기준). 개봉 18일차에 800만 관
사진: 최성열 │
글: 씨네21 취재팀 │
2023-06-22
-
[INTERVIEW]
[인터뷰] ‘엘리멘탈’ 이채연 애니메이터, 인종 다양성의 변화에 익숙해져야 한다
한국계 미국인이자 이민 2세대 피터 손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에서 시작된 <엘리멘탈>에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스탭들이 참여했다. 그중 한명이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버즈 라이트이어>에 이어 <엘리멘탈>에 참여한 이채연 애니메이터다. 엘리멘트 시티에서 살고 있는 물, 불, 공기, 흙 원소가 지닌 화학
글: 임수연 │
2023-06-22
-
[디스토피아로부터]
[임소연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윌슨도 아니고 사만다도 아닌
인공지능이 아니라 응용통계라고 부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SF 작가 테드 창이 최근 <파이낸셜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그는 인공지능 개발자나 기자들이 챗지피티와 같은 챗봇을 “나”와 같은 인칭 대명사로 칭하게 하거나 인공지능 기술을 묘사할 때 “학습”이나 “이해” 등과 같은 인간 중심적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인공지능에 대한 환상을 만
글: 임소연 │
2023-06-22
-
[슬픔의 케이팝 파티]
[복길의 슬픔의 케이팝 파티] 서른이 넘기 전에 결혼은 할는지
사는 게 힘들 때마다 온갖 신통한 말들을 찾아다니지만 삶은 결국 늘 유행가 가사 한줄에 관통당하고 만다. ‘서른이 넘기 전에 결혼은 할는지’라는 충격적인 도입부를 떠올려보라. 서른도 안된 여자가 실연 좀 당했다고 부모에게 잔소리로 들을 법한 말을 자학처럼 뱉는다. 그런데 딱 10년이 지난 지금 어떻게 되었나? 그 가사는 역대 최고 수치라는 한국의 30대
글: 복길 │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