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2005년 한국영화 결산 좌담 [4]
2006년을 불태울 신작을 기다린다
허문영 : 2006년을 내다보자면 전망은 잘 못하겠고, 궁금한 영화가 매우 많다. 임권택의 100번째 영화, 홍상수, 김기덕, 이창동의 신작을 기다리는 한해가 될 것 같다. 또한 봉준호가 한국 대중영화의 신경지를 개척할 지 매우 궁금하다. 이하의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이 스타 단편감독의 장편 데뷔 징크스
정리: 이성욱 │
정리: 김혜리 │
사진: 서지형 │
2005-12-27
-
[스페셜1]
2005년 한국영화 결산 좌담 [3]
올해 가장 불행한 영화, 정지우의 <사랑니>
정성일 : <그때 그 사람들>이 그나마 인구에 회자되었다면, 올해 가장 불행한 영화는 정지우의 <사랑니>다.
허문영 : 올해 홍상수와 김기덕이 여전히 자기 길을 걷고 있음을 보여줬다면 정지우는 데뷔작 이후 6년 만에 첫 영화의 경지를 완전히 뛰어넘는 새로움을 보여줬다. 올해의
정리: 이성욱 │
정리: 김혜리 │
사진: 서지형 │
2005-12-27
-
[스페셜1]
2005년 한국영화 결산 좌담 [2]
올해 가장 외면받은 감독, 홍상수와 김기덕
정성일 : 청룡상은 <웰컴 투 동막골>을 많은 부문에 걸쳐 후보로 올렸고, 대한민국 영화상은 <웰컴 투 동막골>에 상을 몰아줬다. 대중이 이 영화를 지지하는 것과 더불어 영화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이 영화에 지지를 보내는 이유는 뭘까. 의아스러웠다.
김소영 : 큰 의문 중 하나다. <
정리: 이성욱 │
정리: 김혜리 │
사진: 서지형 │
2005-12-27
-
[스페셜1]
2005년 한국영화 결산 좌담 [1]
다시, 잃은 것과 얻은 것에 대해, 좌표와 징후에 관해 이야기해야 할 때다. <씨네21>은 지난 한 해 ‘전영객잔’의 의리를 지켜온 세 편집위원에게 2005년 한국영화를 한자리에서 회고해주기를 청했다. 김소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정성일 영화평론가, 허문영 부산영화제 프로그래머가 공히 2005년의 한국영화로 지명한 작품은 37년 만에
정리: 이성욱 │
정리: 김혜리 │
사진: 서지형 │
2005-12-27
-
[스페셜1]
피터 잭슨의 걸작 <킹콩> [4] - 프로덕션 과정 ②
4. 콩 vs 티렉스
애니메이터들이 10개 이상의 카메라 앵글로 재구성
칼 덴햄 일행이 해골섬에 도착한 이후부터 피터 잭슨은 관객을 롤러코스터에 실어버린다. 순수한 오락영화로서 99%의 순기능을 발휘하는 이 대목은 초식공룡 브론토사우루스가 육식공룡 카르노사우루스에게 쫓기고, 칼 덴햄 일행은 다시 브론토사우루스떼에게 쫓기는 겹겹의 체이스 장면으로 시작
글: 박혜명 │
2005-12-26
-
[스페셜1]
피터 잭슨의 걸작 <킹콩> [3] - 프로덕션 과정 ①
공식은 똑같다. 축소 모형, 부분 모형세트, 그린스크린과 블루스크린을 준비한 다음 배우를 갖다놓고 이렇게저렇게 찍어서 CG와 합성한다. <킹콩>의 프로덕션 노트도 그 익숙한 테크놀로지에 관한 이야기다. 그러나 그 안에서 피터 잭슨의 <킹콩>에 대한 비전을 엿볼 수 있다면 동어반복을 조금은 피할 수 있지 않을까. “<반지의 제
글: 박혜명 │
2005-12-26
-
[스페셜1]
피터 잭슨의 걸작 <킹콩> [2]
연인 vs 부녀
피터 잭슨의 <킹콩>이 종의 경계를 벗어난 로맨스를 구현해내는 방식은 아예 로맨스를 벗어버리는 것이다. 33년작과 76년작은 ‘미녀와 야수’의 성적인 서브텍스트를 잔뜩 지니고 있었다. 33년작에서 콩은 대로우의 옷을 하나하나 벗겨서 냄새를 맡고, 76년작의 콩은 제시카 랭을 폭포수에 목욕시킨 다음 다분히 변태적인 눈초리(콩의 탈
글: 김도훈 │
2005-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