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돌아온 진짜 사나이, 배우 김희라 [2]
김승호의 아들이라는 그림자
2세 배우들이 ‘아버지의 아들’로 불리고 싶어하지 않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겠지만, 김희라에게는 <마부> <아빠의 청춘> 등으로 유명했던 아버지 김승호의 그늘이 워낙 크고 짙었다. 김승호와 작업했던 많은 감독들은 아버지가 타계한 직후 배우의 길로 들어선 아들 김희라를 향해 “아버지를 넘어서는 것은 어차피
글: 박은영 │
2006-01-04
-
[스페셜1]
돌아온 진짜 사나이, 배우 김희라 [1]
10월 어느 날, 영화 <사생결단>의 고사 뒤풀이 자리에 배우와 스탭 모두가 모였다. 이 자리의 최고참 어른으로서 먼저 마이크를 건네 받은 이는 김희라였다. 살집이 있고 풍채가 좋던 옛 모습과는 많이 달라서, 얼굴도 홀쭉해지고, 머리도 하얗게 세고, 걸음걸이도 불안하고, 발음도 어눌해졌다. 대중의 시야에서 사라졌던 사이, 그는 정계 진출에
글: 박은영 │
2006-01-04
-
[스페셜1]
미술로 미리 보는 <음란서생> [5] - 소품
검
내시들이 사용하는 검은 조근현 미술감독이 가장 기특하게 여기는 소품이다. 내시란 사내가 아니지만 여인도 아닌 존재. 그때문에 이중적인 느낌이 있어야 하지만, 검날의 폭을 좁혔더니 지나치게 여성적인 느낌이 묻어났다. 밤새 고민하던 그는 ‘민첩하다’는 한단어를 떠올렸고 검날의 가운데를 도려내는 모험을 했다. 날렵한 인상을 주면서도 베고 찌르기가 쉬운
글: 김현정 │
2006-01-04
-
[스페셜1]
미술로 미리 보는 <음란서생> [4] - 저잣거리
김대우 감독은 황가(오달수)의 ① 유기전에 유독 애착을 가지고 있다. 유기전은 음란소설을 필사하고 제본하여 대여까지 하는 장소이고,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나며, 모든 사건의 접점을 이루는 곳이기도 하다. “여인들이 부담없이 찾아올 만한 가게가 필요했다. 포목전도 있었지만 뭔가 반짝거렸으면 해서 유기전을 떠올리게 됐다.” 평민의 가게가 상세한 모양새를 전하
글: 김현정 │
2006-01-04
-
[스페셜1]
미술로 미리 보는 <음란서생> [3] - 반가
조선시대 한옥은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말 한옥에 들어가 살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조근현 미술감독은 그것이 20세기 초반 함부로 지은 한옥 탓이라고 말한다. 그렇다고 하여 <음란서생>이 수백년 전 한옥을 다시 지을 수는 없는 일이었다. 조근현 미술감독은 한옥 답사를 다니던 시절 눈여겨보았던 경주 양동마을로
글: 김현정 │
2006-01-04
-
[스페셜1]
미술로 미리 보는 <음란서생> [2] - 궁중
조근현 미술감독은 <장화, 홍련>을 하며 집에도 이야기가 있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 집엔 누가 처음 살았고 이 방은 언제 어떤 이유로 새로 지었는지 사연을 만들었다. <음란서생>에선 왕이 비와 더불어 노니는 ① 숲속의 정자가 그랬다.” 정자는 여가를 위한 공간이어서 지은 이의 취향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왕의 정자는 불에 타다
글: 김현정 │
2006-01-04
-
[스페셜1]
미술로 미리 보는 <음란서생> [1]
<아라비안나이트>는 성기를 묘사하는 단어만으로 몇 페이지를 채우고야 체위로 넘어가는 성(性)의 정수를 보여준다. 그 책에서 여인의 성기는 향기로운 허브고 거친 동물이며 천국의 문이기도 하지만, 문장이 은유의 일가를 이루었기에, 부끄러운 짓이라 욕하는 이가 없다. 그렇다면 수백년 전 조선의 선비는 어떠했을까. 음란서적을 제조하고 배포하는 <
글: 김현정 │
2006-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