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제56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결산 [4] - 한국영화 外
베를린에 일렁인 작은 물결들
베를린영화제는 칸이나 베니스와는 달리 기자로서가 아니라 관객으로서 찾아가야 더욱 흥미로울 영화제다.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에 섞여 있는 함량미달의 작품들을 보느라 회고전, 포럼 부문과 특별상영 부문의 성찬을 놓쳐야 했던 각국 기자들의 한숨이 하루가 멀다 하고 들려왔으니 말이다. 오드리 헵번부터 더글러스 서커까지, 가슴이 떨리
글: 김도훈 │
2006-03-02
-
[스페셜1]
제56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결산 [3] - 이란영화
베를린의 이란산 뜨거운 감자
<관타나모로 가는 길>이 정치적 논쟁을 불러일으킨 초반에 이어 후반기 베를린영화제의 가장 뜨거운 이슈는 경쟁 부문에 참가한 두편의 이란영화였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자파르 파나히와 라피 피츠에게도 이란의 정치 상황과 검열 문제에 대한 서구 기자들의 질문이 끊임없이 쏟아졌는데, 두 감독이 비슷한 대답을 들려준 것은 주목
글: 김도훈 │
2006-03-02
-
[스페셜1]
제56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결산 [2] - 독일영화
독일영화에 봄이 오는가
“독일영화에 무슨 일이 생긴 건가. 새로운 물결이라도 일어나고 있는 듯하다.” <프리 윌>로 예술공헌상을 받은 율겐 보겔은 한 유럽 기자가 흥분한 어조로 던진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새로운 물결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3편의 독일영화가 은곰상을 받았고, 현재 독일영화가 정말 좋은 시간을 맞고 있는 것은 사실인 듯하다.”
글: 김도훈 │
2006-03-02
-
[스페셜1]
제56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결산 [1]
베를린의 선택은 예상 밖이었다. 하지만 모든 영화제의 선택은 언제나 예상을 벗어나게 마련이다. 올해 베를린영화제는 “심사위원들은 세상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는 작품들 중에서도 간접적으로 돌아 말하지 않고, 가장 심플하고 직접적으로 이런 의지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고른 모양”이라는 <디 벨트>의 말처럼, 세상에 대해 명쾌하게 발언하는 영화들에
글: 김도훈 │
2006-03-02
-
[스페셜1]
스크린쿼터 투쟁, 다섯가지 시선 [5] - 강헌
디바이드 앤드 룰(Divide & Rule). ‘(지배할 대상을) 서로 쪼개고 분열시켜 통치하라’ 뭐 이런 뜻의 식민 지배 전략이라고 소싯적에 배운 것 같은데 요즘 한창 불붙고 있는 스크린쿼터 공방을 보고 있자니 문득 떠오른 말이다. ‘자유무역의 질서에 반하는’ 한국영화 보호 장치의 존속·축소를 두고 하늘의 별들이 연일 거리로 나서고 온 나라가 떠
글: 강헌 │
2006-03-01
-
[스페셜1]
스크린쿼터 투쟁, 다섯가지 시선 [4] - 홍세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 이 싸움에서 다윗이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돌팔매질 때문이다. 돌팔매질이 없었다면 다윗은 여지없이 죽음을 당했을 터이다. 용맹스런 다윗도 돌팔매질에 자신감이 없었다면 전투에 임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무도 그 싸움에 대해 불공평한 싸움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스크린쿼터도 마찬가지다. 이미 365일 중 146일뿐이다. 40%에 지나지 않는
글: 홍세화 │
2006-03-01
-
[스페셜1]
스크린쿼터 투쟁, 다섯가지 시선 [3] - 아드리앙 공보
한국 스크린쿼터 관련 법 개정에 대한 소식이 프랑스 언론에 알려졌을 때, 어느 누구도 이러한 사실을 보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지 않았다. 영화전문 주간지 <르 필름 프랑세>(Le Film Francais)만이 “한국영화가 마지막 영광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다소 조심성 없는 짤막한 기사를 실었을 뿐이다. 물론 신문의 페이지 수를 늘릴 수
글: 아드리앙공보 │
2006-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