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리포트]
항일영화 흠집내기, 누가, 왜?
소문은 삽시간에 퍼져 사실로 둔갑했다. <봉오동 전투> 개봉 사흘 전인 지난 8월 4일, ‘봉오동전투 촬영팀의 만행’이라는 제목의 글이 한 커뮤니티에 올라왔다(8월 27일 현재 이 글은 이 커뮤니티에서 삭제된 상태다.-편집자). <봉오동 전투>가 원주지방환경청의 행위중지 명령을 무시한 채 화약을 터트려 동강 할미꽃이 멸종됐다는 내용이
글: 김성훈 │
2019-08-30
-
[기획리포트]
영화 제작자 안동규, 강제추행으로 징역 10개월, 집행유예 2년 선고받아
지난해 3월 22일 본지 1148호를 통해 알려진 영화 제작자 안동규의 강제추행 사건 공판 결과가 나왔다. 7월 26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16단독(김용찬 판사)은 안동규에게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 160시간의 사회봉사와 40시간의 성폭력 치료강의 수강을 선고했다. 피고인이 항소를 포기하면서 1심 내용이 확정됐다. 피해자의 진술에 따르면, 안동규
글: 임수연 │
2019-08-16
-
[기획리포트]
정보경찰이 <변호인> 주시하며 ‘좌파 영화계’의 체질을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아
이명박·박근혜 시절 정보경찰이 정부에 비판적인 영화를 문제 삼고, ‘좌파가 장악한 영화계’를 우려하는 등 영화계 동향을 전방위로 사찰한 사실이 드러났다. 지난 6월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입수한 문건 ‘강신명 전 경찰청장 등의 범죄일람표’를 살펴보면 정보경찰은 “좌파들이 장악한 영화계에 맞서기 위해서는 ‘종북 척결’,
글: 김성훈 │
2019-06-21
-
[기획리포트]
개봉 전부터 개봉 후 2주까지… <걸캅스>를 둘러싼 논란을 추적했다
2017년 <씨네21>은 ‘타임라인으로 정리해본 <군함도>’ 기사(1118호)를 통해 <군함도>를 둘러싼 여러 논쟁의 확산 과정을 정리하고, 2018년에는 ‘<인랑>에 무슨 일이… <리얼>급? 과연 이래도 좋습니까?’ (1168호) 기사를 통해 구설의 전파 속도가 반나절도 걸리지 않는 SNS 시대의 파
글: 임수연 │
2019-05-24
-
[기획리포트]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복귀 논란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이하 한시협)가 지난해 성추행 의혹으로 사임한 K씨를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로 재임용했다.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자리가 1년간 공석이 되면서 지역 시네마테크 운영에도 차질이 생기자 지역네트워크회의(강릉시네마테크, 광주시네마테크, 대구경북시네마테크, 시네마테크대전, 시네마테크 시네필 전주, 제주 씨네아일랜드, 씨네오딧세이
글: 이주현 │
2019-04-12
-
[기획리포트]
박양우 장관이 모르는 것: “자기 영화 밀어주기”가 핵심이 아니다
한국 영화시장의 동시과점적 수직계열화, 즉 CJ와 롯데가 극장업과 영화 투자·배급업 양쪽 모두를 과점하면서 겸영하는 세계 유일무이한 상황이 한국영화계를 망치는 주된 방법은 “자기 영화 밀어주기”가 아니다. CJ ENM 영화사업부문의 2017년까지 5년간 영업이익 총계는 마이너스 262억원인 반면 CGV는 플러스 3280억원이다. 롯데도 비슷한 기간 영화상
글: 박경신 │
2019-04-05
-
[기획리포트]
박경신 교수의 글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무엇이 문제인가’에 대한 최현용 소장의 반론
블랙박스가 폐지된 이후 오랜만에 <씨네21> 독자들과 대면하게 되었는데, 하필이면 박경신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글(<씨네21> 1198호 포커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무엇이 문제인가’)에 대한 반론이다. 독자들의 피로감을 높이는 것 같아 무척 죄송하지만, 반론하지 않을 수도 없어 난감하다.
한국영화산업불공정
글: 최현용 │
201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