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이안 매켈런의 연기세계 [2]
<반지의 제왕> 간달프로 전세계적 인기 얻어
이쯤 되면 <반지의 제왕> 간달프 캐스팅을 위해 피터 잭슨과 프랜 월시가 직접 런던으로 그를 찾아간 일도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반지의 제왕>을 읽어보셨나요?”라는 질문이 가장 지겹다고 할 정도로 <반지의 제왕> 3부작은 그에게 엄청난 인기를 안겼고, 또한
글: 이다혜 │
2006-07-06
-
[스페셜1]
이안 매켈런의 연기세계 [1]
<엑스맨: 최후의 전쟁>이 상영되는 극장 안에서 옆자리에 앉은 남자가 매그니토를 보고는 여자친구에게 “간달프 할아버지야”라고 속삭였다. <엑스맨> 시리즈의 매그니토와 <반지의 제왕> 시리즈의 간달프가 같은 배우에 의해 거의 시차없이 연기되면서도 어색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안 매켈런이 아니었다면, 선악동체의 강렬
글: 이다혜 │
2006-07-06
-
[스페셜1]
<비열한 거리> <친구>의 무술감독 신재명 [2]
“신참에겐 스크립트와 편집부터 가르친다”
신재명 무술감독은 시나리오를 일찍 달라고 조른다. 그래서 그는 촬영 2∼3년 전에 시나리오를 받은 경우도 흔하고, 영화사들도 이제는 최소 6개월에서 1년 전에 시나리오를 보내준다. 그 시간은 액션 구상과 널리 알려진 대로 배우 트레이닝을 위해 고스란히 쓰인다. <비열한 거리>에 출연한 조인성은 정우성을
사진: 이혜정 │
글: 김수경 │
2006-07-04
-
[스페셜1]
<비열한 거리> <친구>의 무술감독 신재명 [1]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영화의 무술실력은 일취월장했다. 조폭, 형사, 군인을 다루는 강력한 남성적 드라마에 한국형 리얼 액션을 표방하는 막싸움의 몸짓이 맞물린 결과였다.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친구> <말죽거리 잔혹사> <태풍> <비열한 거리>에 이르는 신재명 무술감독의 노정은 그런 한국 액션영
글: 김수경 │
사진: 이혜정 │
2006-07-04
-
[스페셜1]
<아치와 씨팍>의 매력과 가능성 [3]
“시작할 때는 33살, 지금은 41살”
<아치와 씨팍>을 만든 이들은 조범진 감독과 동료들로 구성된 ‘J팀’이라는 집단이다. CD롬 타이틀을 만들던 친구들은 <업 앤 다운 스토리>라는 단편영화로 애니메이션계에 ‘꽤 재미나는 친구들’이 하나 나타났음을 알렸고, 그 덕에(혹은 그 탓에) 뜻모를 자신감을 충전시켜 장편애니메이션에 뛰어들었다
글: 김도훈 │
사진: 오계옥 │
2006-07-05
-
[스페셜1]
<아치와 씨팍>의 매력과 가능성 [2]
코드1-마니아
막무가내의 펑크 애티튜드
양아치와 18. 누구나 더러워하는 똥으로 모든 것이 움직이는 지저분한 사회에서, 누구나 원하는 것은 일종의 마약인 하드. 주인공은 정의나 평화 같은 거창한 대의에 전혀 관심이 없고, 그렇다고 의리나 복수 같은 개인적인 비장함이 그들을 움직이는 것도 아니다. <아치와 씨팍>은 누구나 공감할 캐릭터와 설
글: 김봉석 │
글: 김은형 │
글: 정형모 │
2006-07-05
-
[스페셜1]
<아치와 씨팍>의 매력과 가능성 [1]
18금(禁) 엽기 하이브리드 포스트모던 장편 활극 애니메이션, 이라고 불러야 할까. <아치와 씨팍>이라는 애니메이션을 정의하는 것은 도대체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아치와 씨팍>을 숫자로 정의 내려보자. 기획부터 개봉까지 걸린 시간 8년. 셀 매수 10만장 이상. 컷 수 2100. 제작에 참여한 스탭 수 150여명(고정 스탭
글: 김도훈 │
2006-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