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리뷰] ‘듣보인간의 생존신고’, 과시와 자기 연민 사이에서 갈팡질팡
영화 <듣보인간의 생존신고>는 한때 독립영화 안에서 어떤 흐름을 이루기도 했던 ‘잉여’의 자리에 ‘덕질’의 요소가 가미된 다큐멘터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의 연출자이기도 한 권하정, 김아현과 함께 구은하까지, 세 사람은 대학 졸업 후 힘든 시기를 보내다가 아직 무명이었던 가수 이승윤의 음악을 알게 된다. 그의 음악에서 위로를 받은 세 사람은
글: 소은성 │
2023-09-06
-
[씨네21 리뷰]
[리뷰] ‘이노센트’, 잔혹하고 위태로운 아이들의 시간
이다(라켈 레노라 플뢰툼)의 가족이 주택단지로 이사를 하며 영화는 시작된다. 낯선 환경에서의 생활을 앞둔 부모의 관심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언니 안나(알바 브륀스모 람스타드)에게 대부분 향해 있고, 어린 이다에게는 언니를 돌봐야 하는 책임마저 얼마간 주어진다. 가족들이 여름휴가를 떠나 한산하다 못해 인적마저 드물어 보이는 주택단지 주변을 이다는 혼
글: 소은성 │
2023-09-06
-
[씨네21 리뷰]
[리뷰] ‘잠’, 심리 드라마, 컬트 스릴러, 밀실 공포물 속에서 피어나는 개성
현수(이선균)와 수진(정유미)은 소박하지만 행복한 신혼생활 중이다. 아직 단역 배우인 현수는 임신한 몸으로 직장에 다니며 생계까지 책임지는 수진이 항상 고맙고 미안하다. 부부의 유일한 걱정은 현수가 어느 날부터 몽유병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거다. 두 사람은 수면 클리닉을 다니며 치료에 전념해보지만 차도가 없다. 아기가 태어난 후에도 현수의 몽유병이 나
글: 송경원 │
2023-09-06
-
[씨네21 리뷰]
[리뷰] ‘어느 멋진 아침’, 고통과 슬픔 속에서도 존재하는 사랑
산드라(레아 세두)는 8살 난 딸 린(카미유 르방 마르탱)과 함께 파리에 살고 있다. 언뜻 보기에 평범한 여성의 하루가 시작되고 있거나, 무사히 지나가고 있다는 인상 뒤에는 산드라의 매일에 뒤엉켜 있는 애환이 펼쳐진다. 희귀성 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는 아버지 게오르그(파스칼 그레고리)는 집을 찾아온 산드라에게 문조차 열어주기가 쉽지 않다. 우연히 마주친
글: 유선아 │
2023-09-06
-
[스페셜2]
[기획] “그때는 우리 모두 미쳐 있었으니까”, <올드보이> 개봉 20주년 맞이 박찬욱 감독·배우 최민식, 유지태 인터뷰
“오늘만 대충 수습하고 살자”던 오대수의 체념이 무색하게 <올드보이>는 아직도 오늘의 영광을 누리고 있다. 2003년 11월21일 국내 개봉해 올해로 20주년. 박찬욱 감독의 ‘복수 3부작’의 기둥인 <올드보이>는 동시대의 클래식으로 불린다. 북미 배급사 네온이 20주년 재개봉과 함께 뜻밖의 흥행 성적을 받아들고 있는 배경에는 <
글: 김소미 │
사진: 오계옥 │
2023-09-08
-
[커버스타]
스쳐가는 진실한 마음들, ‘한 남자’가 순간의 진실을 보여주는 방법
이름은 껍데기다. 그러나 이 껍데기는 너무 과중한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겨우 몇 글자의 이름은 가족 관계와 사회적 지위, 고유의 성격이나 밟아온 과거를 단순 합산하여 한 인간의 정체성을 규정하곤 한다. 언어가 존재의 집이라곤 하나 실제 우리 삶의 부피에 비해 이 집은 종종 좁아 보이기 일쑤다. 이에 <한 남자>는 주인공 키도(쓰마부키 사토시)와
글: 이우빈 │
2023-09-05
-
[커버스타]
[인터뷰] 알 수 없는 것을 연기하기, ‘한 남자’ 쓰마부키 사토시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워터 보이즈>로 동시대 청춘의 표상이 됐던 쓰마부키 사토시. 그로부터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 그는 <한 남자>의 주인공 키도가 되어 ‘자신이 누구인지’란 질문에 답을 찾아 헤맨다. 그러나 이 질문은 비단 키도의 것만은 아니다. 쓰마부키 사토시 역시 오랜 배우 활동을 거치며 정체성에 대
글: 이우빈 │
사진: 오계옥 │
202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