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편의점이라는 한정된 공간 속의 청춘들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
진정 이것이 우리의 끝일까?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라는 제목 끝에 문장부호를 하나 붙여야 한다면 그것은 마침표나 느낌표가 아닌 물음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는 편의점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배경으로 자신들의 노동을 헐값에 착취당하는 청춘들의 얼굴을 클로즈업한다. 대학생, 배우 지망생, 탈북자, 자퇴 고등학생, 중
글: 이주현 │
2014-06-25
-
[씨네21 리뷰]
‘프랑스인’ 입양아에 관한 다큐멘터리 <프랑스인 김명실>
두살 무렵 한국에서 프랑스로 입양된 쎄실(세실 들래트르)은 화가이다. 수년 전, 쎄실과 인연을 맺은 지현(이지현)은 꽤 오랫동안 그녀를 바라보다 문득, 한국의 입양 문제에 대해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지현은 한국과 프랑스를 오가며 쎄실의 사적인 삶을 관찰하고, 한국의 입양기관과 쎄실의 고향을 찾아 헤매며, 또
글: 우혜경 │
2014-06-25
-
[씨네21 리뷰]
“미국 드라마 의 40대 버전” <커피 한잔이 섹스에 미치는 영향>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커피 한잔이 섹스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 “<L워드>의 40대 버전”이라 했다. 미국 드라마 <L워드>의 제작, 연출, 각본에 참여한 로즈 트로체가 역시나 이 영화의 프로듀서를 맡았는데, 미국 LA에 사는 레즈비언들의 이야기인 <L워드>보다 <커피 한잔이 섹스에 미치는
글: 이주현 │
2014-06-25
-
[씨네21 리뷰]
오늘을 충실히 사는 법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금요일 방과 후 학교는 또 다른 세계다.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는 최고 인기남 키리시마의 부재가 불러온 균열을 통해 평온함을 가장했던 고교 생활의 이면을 그린다. 어느 금요일 오후 배구부 에이스 키리시마가 동아리 활동을 그만뒀다는 소문이 퍼진다. 주말로 다가온 중요한 대회를 앞두고 갑자기 모습을 감춘 키리시마 때문에 배구부는 대타를
글: 송경원 │
2014-06-25
-
[씨네21 리뷰]
‘을’이 된 히어로의 비애 <극장판: 타이거 앤 버니 더 라이징>
<기동전사 건담> <슈퍼 그랑죠>를 제작한 선라이즈에서 만든 <타이거 앤 버니>는 의외의 성공이었다.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히어로물은 미국 만화의 전유물이거나 전대물과 같은 낡은 장르에 가까웠다. 그러나 2011년 방영된 TV시리즈 <타이거 앤 버니>는 ‘스폰서를 받아 경쟁하는 히어로’라는 신선한 설정으로 마니아를
글: 임정범 │
2014-06-18
-
[씨네21 리뷰]
평범한 사람들이 상상할 수 없는 성적 경험 <님포매니악 볼륨1>
여성 색정광(色情狂)을 의미하는 <님포매니악>은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신작이다. 섹스중독증, 색정증 환자를 소재로 한 영화들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어떤 작품들보다 과감하며 철학적이다. <님포매니악>은 뜻밖에 유머러스하고, 상당히 현학적이다. 색정광, 유머, 철학, 조금 이색적인 조합이긴 하나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은 확실히
글: 이현경 │
2014-06-18
-
[씨네21 리뷰]
아버지가 되어 돌아온 제이슨 스타뎀 <홈프론트>
브로커(제이슨 스타뎀)는 마약을 제조, 공급하는 오토바이 갱단에 위장잠입한 요원이다. 소탕작전 당일, 대치과정에서 두목 대니의 아들이 총에 맞아 사망한다. 대니는 체포되면서 브로커에게 딸을 조심하라는 경고를 남긴다. 그로부터 2년 뒤 어느 날 브로커의 딸 매디(이자벨라 비도빅)가 학교에서 자신을 괴롭히는 남자아이를 호신술로 때려눕히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브
글: 김소희 │
201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