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타]
[인터뷰] 어떤 공감, ‘최악의 악’ 위하준
<최악의 악>은 정기철(위하준)의 입장에서 보면 순정적인 이야기가 된다. 1990년대 별것 없는 ‘강남 토박이’ 기철은 고교 동창들을 건사하며 우정의 왕국을 세운다. 거대 마약 밀매 조직 ‘강남연합’의 보스로 군림하던 어느 날, 친형제나 다름없던 죽은 절친 태호(정재광)의 사촌 형 승호(지창욱)가 나타나 죄책감에 시달리던 그의 속을 헤집고, 승호
글: 이유채 │
2023-09-20
-
[커버스타]
[인터뷰] 말하듯 몸으로 연기하기, ‘최악의 악’ 지창욱
번잡한 세상에서 평범한 남녀의 사랑을 이야기한 <도시남녀의 사랑법>, 어리숙한 편의점 점장의 로맨스를 그린 <편의점 샛별이>, 호스피스 병원의 생과 죽음을 다룬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 등 배우 지창욱이 최근 3년 동안 걸어온 길은 로맨틱 코미디와 휴먼 드라마로 가득하다. 거친 말투와 빠르게 전개되는 고난도 액션, 아슬아슬한
글: 이자연 │
2023-09-20
-
[커버스타]
[커버] 은밀하게 사악하게, ‘최악의 악’ 지창욱, 위하준, 임세미
1990년대 한중일 마약 거래의 중심지로 강남 일대가 떠오르던 시절, 관련 조직을 발본색원하기 위해 시골 경찰 박준모(지창욱)는 두 계급 특진을 걸고 조직에 잠입해 수사를 벌인다. 사랑하는 아내이자 이제 막 서울청 보안관 자리를 발령받은 의정(임세미)의 존재는 준모를 묘한 자격지심과 무한한 지지 사이에서 공중그네를 타게 한다. 강남연합 보스로 자리 잡은
글: 씨네21 취재팀 │
2023-09-20
-
[디스토피아로부터]
[정준희의 디스토피아로부터] 그들의 질주를 바라보는 한 운전자의 눈
대학원과 늦은 군복무를 마치고 나서 생전 처음으로 ‘내 차’를 갖게 되었던 날이 잊히지 않는다. 당시 김광석의 <서른 즈음에>를 무척 많이 부르고 다녔는데, 내 서른 즈음은 학생운동과의 이별, 학문 세계로의 본격적 진입, 그리고 자동차였던 셈이다.
전국 구석구석으로 차를 몰고 다니면서 내 서른 즈음은 상당한 ‘시선 전환’을 겪었다. 주유소에
글: 정준희 │
2023-09-21
-
[영화비평]
[비평] 잠과 청결, ‘잠’
<잠>은 꽤나 근사하게 만들어진 한국영화다. 이 영화에 대한 주된 긍정적 평가는 영화가 깔끔하다는 것이다. 스릴러, 공포, 오컬트, 코미디와 같은 장르의 클리셰를 활용하면서도 지저분하게 뒤섞지 않았다는 것은 영화의 성취를 설명하는 정확한 진술이다.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는 것만큼이나 의심에 말을 거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 비록 그 절차가 다소
글: 김예솔비 │
2023-09-27
-
[프런트 라인]
[비평] 주인 없는 영화, ‘어파이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어파이어>의 후반부, 갑작스러운 통증으로 병원에 입원한 출판사 대표 헬무트(마티아스 브란트)의 병문안을 마치고 돌아온 나디아(파울라 베어)는 레온(토마스 슈베르트)에게 외친다.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안 보여?”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말하던 헬무트가 사실은 암 환자 병동에 입원해 있었다는 것을 말하고
글: 김병규 │
2023-09-27
-
[김세인의 데구루루]
[김세인의 데구루루] 모든 것은 유기적으로
주말에 선배 감독님과 동료 감독님을 만나 카페에서 대화를 나눴다. 아이스크림 와플과 함께 커피를 마시며 연애 이야기에서 영화 이야기 그리고 괴상한 경험담까지 달고 쓴맛이 절묘하게 섞인 시간이었다. 그 자리에서 요즘 고민이 하나 있어 꺼내놓았다. 답이 없거나 이미 답은 정해져 있는 고민이었지만 말이다. 나는 요즘 A이야기를 구상하며 살을 붙이고 있었는데 갑
글: 김세인 │
202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