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예산은 줄고 말할 곳은 없다, 2024년도 영화진흥위원회 예산 논란
<씨네21>이 국회에서 입수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의 ‘2024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사업설명자료 4권’(이하 ‘2024 문체부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도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예산에서 영화 창제작 지원, 국내외 영화제 육성, 애니메이션 종합지원, 지역 영상 생태계 기반 마련 사업 등의 예산이 절반 이하 수준으로 대폭 삭감
글: 이우빈 │
2023-09-22
-
[스페셜2]
[특집] 2024년, 한국 영화산업의 향방은? 2024 영진위 예산 논란 분석
냉랭한 각자도생의 논리가 한국영화계를 휩쓸 것으로 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영화 제작, 지역영화, 영화제 지원 등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주요 지원사업들이 사라지거나 크게 축소된다. 영화계의 여론, 심지어 영진위 차원의 의견도 반영되지 않은 채 소리 소문 없이 진행된 예산 삭감 기조에 영화인들은 반발하고 있다. 이에 &l
글: 씨네21 취재팀 │
2023-09-22
-
[스페셜2]
[기획] 영화 ‘거미집’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시리즈 ‘무빙’의 팝업존 방문기
1970년대 영화판을 호령하는 신성필름 건물을 누비는 감독이었다가, 가짜 퇴마 사무소에 취직해 명함을 발급받은 신입 직원이었다가, 안기부와 정원고 건물을 거쳐 저 높은 구름 위까지 두둥실 떠오른 초능력자가 됐다. 돌아오는 길, 손에는 어느새 굿즈용 대본과 직접 ‘부꾸’(부적 꾸미기)한 부적, 초능력자임을 증명하는 기밀문서가 들려 있다. 종로와 성수 일대의
글: 김소미 │
2023-09-21
-
[스페셜2]
[기획] MZ세대 관객 타깃으로 하는 팝업존 마케팅을 분석하다, ‘영화가 POP!, 시리즈가 POP!’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인터넷의 팝업창에서 명칭이 연유한 팝업 스토어는 사람이 붐비는 입지에 한시적으로 입점해 독특한 판촉과 상품을 통해 소비자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한다. 최근 몇년 사이, 서울 성수동이나 대형 백화점 1층을 방문할 때면 유명 브랜드가 설치한 팝업 매장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영화나 시리즈도 팝업 마케팅 열풍에 동참 중이다.
글: 정재현 │
사진: 오계옥 │
2023-09-21
-
[씨네21 리뷰]
[리뷰] ‘마인드 유니버스’, 마인드 업로딩 인공지능으로 완성되는 삶의 이야기
마인드업로딩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두편의 단편을 엮었다. <내일의 오늘>은 40년 넘게 함께한 남편 선우를 떠나보낸 79살 희진(이주실)의 이야기다. 마인드업로딩 AI를 통해 30대 시절로 돌아간 희진(윤소희)은 가상 세계에서 젊은 시절 선우(이기혁)를 만나게 된다. 접속 시간 최대 3시간, 24시간 휴식 후 다시 접속 가능한 시스템하에서 희진
글: 임수연 │
2023-09-20
-
[씨네21 리뷰]
[리뷰] ‘커밍 홈 어게인’, 잠드는 몸 위로 깨어나는 기억들이 담긴 작별의식
죽음이 임박한 어머니 곁으로 장성한 아들이 돌아온다. 창래(저스틴 전)에겐 말기암 환자인 어머니(재키 청)의 음식이 추억과 정체성의 매개다. 남자는 이제 유년 시절의 음식들을 직접 만들기 시작한다. <커밍 홈 어게인>은 간병과 요리, 회상에 잠긴 한 남자의 발걸음을 따라가는 집의 영화다. 상실의 예감이 침묵으로 내려앉은 실내에는 현재만큼 과거의
글: 김소미 │
2023-09-20
-
[씨네21 리뷰]
[리뷰] ‘번개맨: 더 비기닝’, 아직까진 번개맨보다 분노한 소년의 힘이 더 찌릿찌릿
IT 대기업 블랙코퍼레이션 폐기처리부 아르바이트생 지오(엄상현)는 아침부터 하루가 지겹게만 느껴진다. 유일한 가족이자 같은 회사 개발자인 형 윤오(신용우)의 매번 비슷한 아침상은 보기만 해도 입맛이 떨어지고, 단순 업무에 재미를 잃은 지 오래다. 그런 지오에게 일상을 바꾸는 일들이 한꺼번에 몰아친다. 벼락에 맞아 초능력을 얻고, 형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된
글: 이유채 │
2023-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