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그날의 이름은 ‘하늘이 불타던 날’. 원작 <퇴마록>으로 보는 애니메이션 <퇴마록> 안내서
애니메이션으로 거듭난 <퇴마록> 세계관을 마음껏 즐길 방안은 단연 원작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섬세하게 기술되는 소설의 특성과 달리 생략되거나 은유적으로 표현되는 애니메이션 버전을 유연 하게 이해하기 위해 짧은 안내서를 준비했다. 소설과 애니메이션, 두 주축으로 건설된 <퇴마록> 세계관을 즐겁게 탐험하길.
1. 숲을 헤매던 현암은 대
글: 이자연 │
2025-02-14
-
[스페셜2]
죄와 무구 사이…오컬트적 세계를 복합적으로 그려내다, <퇴마록> 김동철 감독 , 이우혁 크리에이터
한국형 오컬트 장르의 효시로 각인된 0세대 웹소설 <퇴마록>은 1993년 PC통신 하이텔에 연재된 이래 다양하게 리메이크되었다. 첫 연재 시점 이후 32년 만에 로커스 스튜디오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퇴마록>은 원작이 가진 힘을 살린 리메이크작을 바라는 오랜 팬들의 기다림과 애니메이션으로 그 방대한 세계를 처음 접하게 될 새로운 관객의
글: 유선아 │
사진: 오계옥 │
2025-02-14
-
[스페셜2]
“내가 필요한 곳이라면…어디든 가는 거지” 애니메이션으로 다시 태어난 <퇴마록>
1993년 여름, PC통신 시절 하이텔에 연재된 <퇴마록>은 이듬해 1월 단행본으로 출간되자마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모든 퇴마사가 힘을 합치기 시작하는 ‘국내편’을 비롯해 ‘세계편,’ ‘혼 세편’ , ‘말세편’까지 <퇴마록>은 완결에 이르는 동안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너른 세계관 설정과 혼합된 전례 없는 한국형 오컬트는 원작자 이
글: 이자연 │
2025-02-14
-
[스페셜2]
건축가의 눈으로 본 영화 <브루탈리스트>, ‘아름다움’을 팝니다
영화 <브루탈리스트>에는 미국에 도착한 이민자 라즐로 토스(에이드리언 브로디)가 매춘부를 품는 장면이 나온다. 나는 이상하게 이 장면이 낯설게 느껴졌다. 그 이유는 매춘부보다 라즐로의 몸을 전시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매춘부의 머리 위로 라즐로의 조각상 같은 몸을 보여주고 있다. 누가 몸을 파는 것인지 다소 모호하게 느껴졌다. 여기서 생각
글: 윤웅원 │
2025-02-13
-
[INTERVIEW]
[인터뷰] 어느 노부부의 사랑 이야기, <두 사람> 반박지은 감독
<두 사람>은 담백하고 명확한 제목처럼 독일에 사는 노년의 레즈비언 커플인 이수현, 김인선씨의 삶을 솔직하게 담아낸 다큐멘터리다. 70년대 파독 간호사 신분으로 만난 두 사람은 40여년째 서로의 동반자가 되어 사는 동시에, 이민자·성소수자 인권과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독일에 체류하는 반박지은 감독은 전시회에서 두 사람이 손잡고
글: 이우빈 │
사진: 최성열 │
2025-02-13
-
[INTERVIEW]
[인터뷰] 캐릭터 드러내는, 현실적인 액션을, <브로큰> 김진황 감독
석태(박종환)가 시체로 발견된 이유는 무엇일까. 동생의 사망 소식을 접했음에도 민태(하정우)는 우는 법이 없다. 다만 공사장 인부로서 보내던 평범한 삶을 포기하고 과거 조직폭력배로서 지녔던 감각을 깨워 동생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찾아 나선다. 자취를 감춘 석태의 아내 문영(유다인)을 의심하던 찰나, 민태는 작가 호령(김남길)의 소설 <야행>에 자
글: 조현나 │
사진: 최성열 │
2025-02-13
-
[스페셜2]
결국 시나리오, 결국 메시지 - 극장산업의 미래와 배우들의 세대교체
바야흐로 “과거의 데이터가 소용없는 춘추전국시대”다. 업계 관계자들은 극장에서의 성패를 가늠할 때 무엇보다 기존 관행에서의 탈피가 필요한 시점임을 한목소리로 말한다. “감독, 배우가 주는 기대감으로 만족되는 시대는 끝났고 관객의 허용을 바라는 장르적 컨벤션만으로는 경쟁력을 가질 수 없음”이 증명됐다. “예측 가능한 감동, 틀에 짜인 이야기 흐름, 스타 캐스
글: 김소미 │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