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속편의 패망 공식과 예외 사례들 [1]
세상엔 수많은 징크스가 있다. 손톱을 자르지 않아야 시험을 잘 본다든가, 녹음실에서 귀신을 봐야 음반이 대박난다거나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편만한 속편 없다’는 것보다 더 정확한 징크스가 또 있을까? 속편이라 함은 전편에 이어진 이야기를 뜻한다. <캐리비안의 해적> <매트릭스> <반지의 제왕> <스타워즈> 시리
글: 권민성 │
2006-11-16
-
[스페셜1]
거친 두 남자의 스크린 성장 본능 [2] - 조한선
남자로 크기 위해 조폭으로 변신하다
“꽃미남은 부담스럽고 그냥 멋있는 놈이 되고 싶었다.” 조한선의 고백에도 고개를 내젓는 건 순전히 출연작 때문이다. 카메라폰 세례를 받는 학교짱 반해원(<늑대의 유혹>), 연인의 품에 안겨 눈물을 흘리던 전직 바람둥이 민수(<연리지>) 모두 순도 100% 꽃미남이 아니던가. 멋진 마스크의 소유자답게
글: 장미 │
2006-11-09
-
[스페셜1]
거친 두 남자의 스크린 성장 본능 [1] - 진구
진구와 조한선의 공통분모는? 고집스레 꽉 다문 입술과 담백한 눈매 정도? 이번 가을, 맹렬하게 성장 중인 두 남자의 교집합은 어느 때보다 눈에 띈다. <비열한 거리> <아이스케키>의 연이은 도착으로 가쁜 숨을 몰아쉬던 진구는 2006년의 마지막을 장식할 최신작 <사랑따윈 필요없어>의 개봉을 기다리는 상태. 애정에 굶주린 남녀
글: 장미 │
2006-11-09
-
[스페셜1]
애정결핍이 뭇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 [2]
당신들… 왜 나를 사랑하지 않아…!
이름 지수 국적 한국 나이와 성별 30대 여성 직업 없음 비고 <얼굴없는 미녀>는 <분홍신>을 신는다
‘경계선 장애’에 대해서 들어보셨습니까? 정신증에 계속 시달리는 건 아닌데, 어느 순간 현실적 사고에 이상을 보이면서, 충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감정 조절을 못하게 되는 정신장애죠. 이를테면 이런
글: 김나형 │
2006-11-08
-
[스페셜1]
애정결핍이 뭇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 [1]
여러분 하이룽~ 방가방가! 정신과 전문의 한니발 렉터예요. 여러분의 쫀득쫀득하고 유쾌한 정신건강을 위해 강연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밥도 먹다 말고 달려온 참입니다. 뭘 먹었는지는 묻지마세요. 프라이버시라는 게 있으니까요. 뭐, 제가 기벽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병적 심리 분야에선 전문가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걍 믿으세요.
오늘 강의 주제는 ‘애정결핍
글: 김나형 │
2006-11-08
-
[스페셜1]
팬클럽과 팬문화 [4]
한류에 대한 이야기는 주로 자국 중심적인 시선에서 시작된다. 욘사마로 인해 국가의 이미지가 상승했고, 문화상품의 수출이 늘었다는 것이다. 결과에 집중된 외피적인 이야기가 자화자찬의 로맨스를 만들어낸다. <겨울연가>의 순수, 욘사마의 상냥함은 때늦게 금의환향을 했다. 하지만 한류는 팬들의 흐름을 의미하기도 한다. 스타를 보기 위해 공항까지 마중 나
글: 정재혁 │
2006-11-09
-
[스페셜1]
팬클럽과 팬문화 [3]
그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한때 ‘다모 폐인’, ‘미사 폐인’, ‘왕남 폐인’으로 자타 일컬어지며 영화 또는 드라마를 향한 무한한 애정을 쏟았던 사람들 말이다. 드라마는 종영됐고 영화는 극장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DVD란 형태로 여전히 팬들 곁에 남는다고 해도 그것들의 이야기와 그 속의 인물들은 지속되는 스타와 달리 종결된 존재다. 다른 모습으로 변
글: 박혜명 │
2006-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