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로버트 드 니로] 무색, 무취, 무위로 표현하는 배우
어마어마한 스타들은 언제나 인터뷰어를 응시한다. 온화한 미소를 띠고 농담을 던진다. 그리고 인터뷰어의 (성이 아닌) 이름을 반복해서 부른다. 아무리 엄격한 평론가도 단번에 녹아내릴 수밖에. 그들은 숙련된 아첨꾼이고, 지극히 유혹적이어서, 그 순간 그들의 공식적인 친구라도 된 듯한 기분이 된다. 톰 행크스가 그러하고, 존 트래볼타가 그러하며, 톰 크루즈는 과
글: 폴 번 │
2007-04-10
-
[스페셜1]
[로버트 드 니로] 일어나는 일을 거부하는 것보다는 끌어안는 게 낫다
지난 2월10일 오후 4시30분(현지시각) 베를린 아들론호텔. 로버트 드 니로가 의자에 앉자마자 터져나온 질문공세는 예정된 시간을 3분 정도 넘겨서야 잦아들었다. 다른 기자의 말을 자르고 끼어드는 건 예사였다. 드 니로는 그 난장판 속에서 옅은 미소를 띤 채 질문자의 눈을 바라보며 대답을 이어갔다. 하나의 질문이라도 던지기 위해 안면몰수한 기자들의 조급함과
글: 오정연 │
2007-04-10
-
[스페셜1]
[로버트 드 니로] 위대한 배우, 믿음직한 아버지, 투철한 감독
알 파치노, 잭 니콜슨, 더스틴 호프먼, 로버트 드 니로의 공통점은? 역대 최고의 배우를 꼽을 때 주저없이 떠올릴 만한 이름. 60년대에서 80년대까지 미국영화의 질풍노도를 고스란히 담아온 얼굴. 한편 이상씩 연출작을 만든 바 있음. 그러나 이 대배우들의, 감독으로서의 자질을 살펴봤을 때 단연 우세를 보이는 것이 로버트 드 니로다. 첫 번째 연출작 <
글: 오정연 │
2007-04-10
-
[스페셜1]
스포일러 100%, 반전 해부하기 3. <프레스티지>
불가능은 어디까지나 불가능!
<프레스티지>를 재미있게 보는 방법은 이 영화를 ‘반전영화’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이 영화에는 볼거리가 충분히 많고, 충분히 놀랍다. 하지만 <프레스티지>를 반전영화라고 보기는 힘들다. <메멘토>나 <아이덴티티>만큼 ‘다시 보기’의 즐거움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프레스티지
글: 이다혜 │
2007-04-06
-
[스페셜1]
스포일러 100%, 반전 해부하기 2. <아이덴티티>
아무도 믿지 말 것, 당신 자신조차도
<아이덴티티>를 다 보고 난 뒤 영화 제목과 영화 포스터만 봐도 많은 단서가 사전에 노출되어 있었음을 알게 된다. ‘아이덴티티’는 정체성을 뜻하는 단어로, <아이덴티티>가 다중인격을 소재로 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다중인격이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한 사람 안에 여러 사람의 인격이 숨어 있다는 말이
글: 이다혜 │
2007-04-06
-
[스페셜1]
스포일러 100%, 반전 해부하기 1. <메멘토>
알고 봐도 감탄이 절로 나온다
<메멘토>의 퍼즐은 지극히 영화적이다. 만일 책으로 쓰였다면 이야기는 훨씬 복잡하게 느껴졌을 것이고, 난삽하기까지 했을 것이다. 말로 일일이 설명하는 대신 시간과 공간을 접고 자르고 이어붙이는 영화적인 마법 속에서 이 영화의 시간을 올바로 나열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주인공과 누군가가 통화하고 나면 본격적인 사건이
글: 이다혜 │
2007-04-06
-
[스페셜1]
[세계의 의상감독들] <배트맨> 슈트부터 <화양연화> 치파오까지
가브리엘라 페스쿠치
화사한 채색, 레이스와 러플을 자연스럽게
가브리엘라 페스쿠치는 영화보다 의상디자인을 먼저 시작했다. 이탈리아 태생인 페스쿠치는 파리와 밀라노에서 디자인을 공부한 다음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의상을 디자인하기도 했던 디자이너 움베르토 티렐리와 함께 일했다. 그녀는 1960년대부터 영화를 시작했고, 프란체스코 로지
글: 김현정 │
2007-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