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이준기, “5·18의 가해자들이 잘 살고 있다는 것이 이해하기 힘들다”
<왕의 남자>로 열렬한 환호를 받았지만 이준기는 스타라는 단어가 여전히 어색하단다. “지금은 작품 자체를 그냥 즐기고 싶다. 예전에는 나도 모르는 어떤 벽이 있었던 것 같다.” 매번 선배와의 협연을 강조하던 그가 안성기, 김상경 등 만만치 않은 공력의 배우들과 <화려한 휴가>에 출연했다. “순수하게 시나리오가 좋아 선택했다”지만 “참여
글: 장미 │
사진: 이혜정 │
2007-07-13
-
[스페셜1]
이요원, “진정성, 내 안에 그런 모습이 보였나보다”
직접 보니 더욱 가녀리다. 저런 손목으로 마이크를 잡고 가두방송을 했다니, 극중 모습이지만 차마 상상하기 어려웠다. <화려한 휴가>에서 이요원이 연기한 캐릭터는 퇴역 장교 출신인 흥수의 딸이자 민우의 사랑을 받는 간호사 신애. “조금의 의심도 없이”, “전적으로 감독을 믿고 연기”했기에 “한신 한신 버릴 수가 없었다”는 이야기나 긴 수식어 없이
글: 장미 │
사진: 이혜정 │
2007-07-13
-
[스페셜1]
김상경, “내가 다시 이만큼 연기를 할 수 있을까?”
김상경에게 <화려한 휴가>는 아주 특별한 경험이었다. 주인공인 택시기사 강민우 역을 맡았던 그는 이 영화를 촬영하는 내내 5월 광주 영령들의 시선과 보살핌을 느꼈다. 그가 간증하는 ‘믿을 수 없는 체험’의 리스트는 아래 다 적지 못할 만큼 다양하고 많다. 그러나 그가 <화려한 휴가> 작업을 매우 만족스럽게 여기는 것은 그런 영묘한 기운
글: 문석 │
사진: 이혜정 │
2007-07-13
-
[스페셜1]
안성기, “그동안 빚진 마음으로 살아온 게 사실이다”
<화려한 휴가> 촬영현장에서 안성기는 ‘대장님’으로 불렸다. 그가 이 영화에서 맡은 역할은 신애(이요원)의 아버지이자 강민우(김상경)가 근무하는 택시회사 사장인 예비역 대령 박흥수. 이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 박 대령은 정치에 물든 계엄군에 맞서 시민들을 지휘하는 ‘대장’이 된다. 영화 속에서만 그가 대장이었던 것은 아니다. 어쩌면 스크린 바깥 촬
글: 문석 │
사진: 이혜정 │
2007-07-13
-
[스페셜1]
“제일 무서운 건, 잘할 수 있을까 하는 내 안의 두려움이었다”
-<목포는 항구다>를 정통 누아르로 준비하다 잘 안 돼 코미디로 바꿔 장편 데뷔를 했고, <화려한 휴가> 역시 제작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화려한 휴가>는 언제, 어떻게 시작된 것인가.
=나에게 ‘데미지’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지만 운좋게 데뷔한 것 같다. 단편영화할 때와 그동안 내가 이야기했던 것들 때문인지 김지훈
글: 이성욱 │
사진: 손홍주 │
2007-07-17
-
[스페셜1]
5·18 재현한 영화 <화려한 휴가>가 낳은 쟁점들
맑고 투명한 햇볕이 내리쬐는 남녘의 들판. 허리를 깊이 숙였던 농사꾼 몇몇이 이상한 소리에 고개를 들면 하늘 위로 거대한 군 수송기들이 줄지어 날아든다. 군용기 내부, 드디어 출동이라고 비장해하던 군인들 사이에 누군가 이상하다고 중얼거린다. “비행기가 북쪽이 아니라 남쪽으로 가고 있어.” 작전명 ‘화려한 휴가’에 돌입한 이들의 풍경은 상상의 재현이다. 그렇
글: 이성욱 │
2007-07-17
-
[스페셜1]
<화려한 휴가> 5월 그날이 다시 왔다
80년 광주를 재현한 영화가 개봉을 앞두고 있다. 당시를 겪지 못한 세대에겐 다른 역사적 사건을 다룬 영화들과 다를 바 없겠지만 지금의 영화계라면 특별한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우선 누구나 얘기하듯 한국영화의 위기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상반기 내내 화제가 될 만한 흥행작없이 극심한 자본난에 빠진 영화계가 제작비 100억원을 들인 블록버스터의 흥행에
글: 이성욱 │
2007-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