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밤은 부드러워, 마셔>
한은형 지음 / 을유문화사 펴냄
인디안 페일 에일이 ‘창백한’(pale)이란 뜻인 줄 알고 색이 옅으면 도수가 낮을까 싶어 주문했더니, 뜻밖에도 독하고 써서 놀란 적 있는지. 인도로 간 영국인들이 고국의 맥주를 그리워해, 기나긴 항해를 버티라고 높은 알코올 도수로 제조하여 인도로 수출한 술이란다. 술을 사랑하는 저자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을 좋아
글: 진영인 │
2023-12-19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스텔라 마리스>
코맥 매카시 지음 /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펴냄
정신 질환을 바라보는 관점 하나. 보통의 사람과는 다르게 감각하고 생각하며 진리에 다다른 사람을, 의사나 심리사가 그 다름을 이유로 질환으로 규정한다는 것. DSM 같은 정신 질환 분류법으로는 담아낼 수 없는 풍부한 정신적 세계가 있다는 발상은 여러 작품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 <스텔라 마리스&
글: 진영인 │
2023-12-19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씨네21>이 추천하는 12월의 책
<스텔라 마리스> - 코맥 매카시 지음
<밤은 부드러워, 마셔> - 한은형 지음
<소설 보다: 겨울 2023> - 김기태, 성해나, 예소연 지음
<계절은 짧고 기억은 영영> - 이주혜 지음
<불> - 마리아 푸르셰 지음
글: 씨네21 취재팀 │
2023-12-19
-
[디스토피아로부터]
[정준희의 디스토피아로부터] 냉정과 열정 사이에는 온정이 있다
이제는 마치 코로나19가 없는 세상에 살고 있는 것 같지만, 그들은 사라지지 않았다. 아직도 취약한 이들의 사망 원인 가운데 무척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현재진행형의 위협이다. 단지 미디어가 다루지 않을 뿐이고, 국가가 관심을 거두었을 따름이다. 특정 위협에 대한 사회의 과민한 반응도 과소한 관심도 이들이 어찌 하느냐에 달렸다.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글: 정준희 │
2023-12-21
-
[영화비평]
[비평] 속박의 역할극이 막을 내리면, ‘조이랜드’
영화 <조이랜드>는 하이더르(알리 준조)가 유령 역할을 맡아 흰 천을 뒤집어쓴 채 조카들과 유령놀이를 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다소 범박하지만 흰 천에서 영화관의 스크린을 떠올려볼 수 있다면, (극)영화 또한 배우들에게 개별 역할을 부여하여 작동되는 일종의 역할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조이랜드> 속 인물들은 그 어떤 극의
글: 박정원 │
2023-12-27
-
[커버스타]
[인터뷰] 아스팔트 위에 핀 장미, <스위트홈> 시즌2 진영
<스위트홈> 시즌2의 뉴 페이스는 배우 진영이다. 그가 분한 이등병 찬영은 괴물화 사태가 터지자마자 괴물 처리를 전담하는 까마귀부대에 자원 입대해 생존자들을 구출하는 정의로운 남자다. 작품을 연출한 이응복 감독이 찬영에 대해 “진영을 두고 만든 캐릭터다”라고 공언했을 만큼, 진영은 그 어떤 배역보다 자신과 높은 싱크로율을 자랑하는 캐릭터를 만나
글: 정재현 │
사진: 최성열 │
2023-12-20
-
[커버스타]
[인터뷰] 예리한 감각으로, <스위트홈> 시즌2 고민시
반항적이던 10대 소녀 은유는 이복오빠 은혁(이도현)이 죽었다는 사실을 부정하며 시즌2를 시작한다. 이전보다 한결 차분하고 무게감 있는 얼굴로 배우 고민시는 그린홈 아파트를 벗어난 소녀의 심리적·태도적 변화를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스위트홈> 시즌2의 변화와 질주 속에 자기만의 한획을 더한 고민시를 만났다.
- <스위트홈> 시즌
글: 이자연 │
사진: 최성열 │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