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개성 강한 신인들의 약진, 올해의 한국영화 총평, 6위부터 10위까지의 영화들
2023년 한국영화는 신인감독들의 약진과 독립영화의 성취가 돋보이는 한해였다. 4위를 차지한 <콘크리트 유토피아> 역시 엄태화 감독의 세 번째 장편영화임을 감안하면 세대 교체의 한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이들의 영화가 아직 상업적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하는 데는 다소 미흡했다는 점을 간과할 순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개성들이
글: 조현나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올해의 한국영화 베스트5
1위 괴인
압도적인 지지다. 신인감독의 장편 데뷔작이 올해의 영화 1위에 오른 것도 이례적인데 2위와의 격차마저 상당하다는 게 놀랍다. <괴인>은 “등장인물, 상황 설정, 스토리 전개 등 어느 것 하나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모든 것이 낯설게 느껴지는 신비한 경험을 선사하는 독특한 영화다”(홍은애). 제목 그대로 괴이한 매력과 개성으로 평
글: 조현나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2023년을 빛낸 올해의 한국영화, 진정한 세대교체의 현장
2023년은 어느 때보다 한국영화와 극장의 위기론이 짙게 거론된 해였다. 엔데믹 이후로도 계속되는 영화산업의 침체는 어떻게, 무엇으로 돌파할 수 있을까. 새해를 맞이하기 전 <씨네21>은 개성 강한 연출로 기어코 관객의 시선을 붙든 올해의 영화들을 회고해보았다. 2023년 한국영화는 성공적인 데뷔전을 치른 신인 창작자의 활약이 돋보였으며 해외영
글: 씨네21 취재팀 │
2023-12-22
-
[스페셜2]
[인터뷰] 무표정이 말하는 것들, ‘희망의 요소’ 박서은
<아워 미드나잇>의 은영(박서은)은 어둠 속에서 수면제를 한 움큼 집어삼킨다. <희망의 요소> 속 아내(박서은)의 발은 남편의 조심스러운 손길마저 신경질적으로 거부한다. 두 작품에서 처음으로 마주하는 배우 박서은의 모습은 얼굴도 목소리도 아닌 실루엣과 이불 밖으로 삐져나온 발이다. 감정은 단지 얼굴에만 머물지 않는다. 측면과 후면, 손
글: 최현수 │
사진: 오계옥 │
2023-12-21
-
[스페셜2]
[인터뷰] 좋은 긴장을 느끼며, 좋은 마음을 생각하며, ‘물안에서’ ‘우리의 하루’ 하성국
최근 3년간의 홍상수 감독 영화를 따라 보아온 관객에게 배우 하성국은 낯익은 존재다. <도망친 여자>를 시작으로 <인트로덕션> <당신얼굴 앞에서> <소설가의 영화>에도 연달아 얼굴을 비추더니 올해 개봉한 <물안에서>와 <우리의 하루>에서는 비중이 더욱 높아져 홍상수 세계의 어엿한 등장인물로 자
글: 이유채 │
사진: 오계옥 │
2023-12-21
-
[스페셜2]
[인터뷰] 매 순간 절실하게, ‘빅슬립’ 김영성
<빅슬립>을 본 이라면 누구든 기영을 연기한 배우 김영성을 이야기한다. 여유나 선의 없이도 스스로를 챙기되 타인을 돌볼 줄 아는 남자. 거칠고 무심하지만 자기와 닮은 소년 길호(최준우)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남자. 가까이하고 싶진 않지만 저 사람의 속사정은 궁금하게 만드는 남자. 김영성은 <빅슬립>의 기영을 정의할 수 있는 무수한 문
글: 정재현 │
사진: 오계옥 │
2023-12-21
-
[스페셜2]
[기획] 2023 돌아보기: 연속 기획②, 당신의 얼굴이 궁금합니다
<씨네21>이 돌아보는 2023년 한국영화계의 두 번째 이정표는 독립영화의 배우들이다. 영화 속 배우의 얼굴은 언제나 영화를 사유하고 이해하는 시료로 자리한다. 올해 한국 독립영화에서 눈부신 연기를 보여준 김영성, 하성국, 박서은도 각자의 이목구비에 영화를 품고 있다. 자크 오몽의 말처럼 이들의 생경한 얼굴은 그야말로 ‘시선의 장소’다. 관객은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오계옥 │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