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거장의 필치는 건재했다, 올해의 해외영화 총평, 6위부터 10위까지의 영화들
영화란 무엇인가. 이 케케묵은 질문에서도 여전히 의미 있는 사유가 파생될 수 있다. 올해는 산업적·미학적 의미에서 영화의 정의와 역사를 만들어온 거장들의 신작이 각자의 매체론과 실천을 선보였다. 1위 <파벨만스>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처음으로 만든 자전적 영화인 동시에 영화의 윤리성을 돌아보는 진솔한 자성이 담겨 있다. 2위 <어파이어&g
글: 임수연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2023년을 빛낸 올해의 해외영화, 관습을 벗어난 기성감독들의 시도
1위 파벨만스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가 <더 포스트> 이후 5년 만에 올해의 해외영화 1위에 또 한번 올랐다. 존재 자체로 영화가 된 거장은 처음으로 만든 자전적 드라마를 통해 “더이상의 증명이 필요하지 않은 위치에서조차 또 한번 자기를 갱신”(남선우)하며 “다시 작은 사람이 되어 느껴보는 거대한 영화”(김소희)를 만들어냈다. “유대인 가
글: 임수연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올해의 신인 남자배우 - 홍사빈 ‘화란’, 올해의 신인 여자배우 - 김시은 ‘다음 소희’ ‘ 너와 나’
올해의 신인 남자배우 - 홍사빈 <화란>
2018년 데뷔 후 쉼 없이 자기 길을 모색한 홍사빈은 첫 상업영화 주연작 <화란>에서 영화 그 자체가 되는 놀라운 연기를 선보였다. “동 세대에서 단연 돋보이는 누아르적 기운과 얼굴의 소유자”(김소미)이자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독특한 마스크”(배동미)를 가져 시선을 끄는 동시에 “안정적인
글: 이유채 │
글: 이자연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올해의 시나리오 - 정주리 ‘다음 소희’, 올해의 촬영감독 - 조형래 ‘콘크리트 유토피아’
올해의 시나리오 - <다음 소희> 정주리
현장 실습에 나선 10대 청소년의 죽음을 다룬 <다음 소희>가 올해의 시나리오로 선정됐다. 아이들이 처한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학교와 사회에 변화를 촉구하는 <다음 소희>는 “올곧은 응시, 맹렬한 목소리, 부드러운 연민으로 비극을 감싸쥔”(김소미)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감독의 슬
글: 이자연 │
글: 이유채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올해의 제작자 -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대표 변승민 ‘콘크리트 유토피아’, 올해의 신인감독 - 유재선 ‘잠’
올해의 제작자 - <콘크리트 유토피아>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대표 변승민
연초 <정이>를 시작으로 <소울메이트>, <D.P.> 시즌2, <콘크리트 유토피아>, <발레리나>까지 올해만 5편을 내놓은 변승민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대표는 “지금 충무로에서 가장 유능하고 뛰어난 제작자다. 제작 속도도
글: 이유채 │
글: 정재현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올해의 남자배우 - ‘서울의 봄’ 정우성, 올해의 여자배우 - ‘잠’ 정유미
올해의 남자배우 - <서울의 봄> 정우성
<씨네21>이 선정한 올해의 남자배우는 “영화 매체를 위해 1년을 꼬박 뛰어다니며 ‘영화’인의 모범”(이우빈)을 보여준 데뷔 30년차 영화배우 정우성이다. “더 일찍 외모보다 연기를 더 주목해야 했던 배우”(김성찬)지만, 정우성이 올해의 남자배우로 호명된 것은 놀랍게도 이번이 처음이다. 평자
글: 정재현 │
글: 이유채 │
2023-12-22
-
[스페셜2]
[특집] 올해의 감독 - ‘콘크리트 유토피아’ 엄태화
올해의 감독 - <콘크리트 유토피아> 엄태화
“올해 그는 가히 한국영화의 희망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김소미)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온통 잿빛으로 둘러싸인 한국적 디스토피아였다. 그러나 동시에,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한국영화계에 무척이나 고무적인 설렘을 안겼다. 쟁쟁한 선배 감독들 사이에서 평단
글: 이우빈 │
202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