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인터뷰] 몰입의 리듬, 어깃장의 순간 - <외계+인> 2부 최동훈 감독
- 1부와 2부를 동시에 찍으면서 총 387일(재촬영 1회차 포함)간 촬영한 영화를 드디어 갈무리하게 됐다. 지금까지 경험한 물리적으로 가장 긴 프로덕션은 무언가 다르던가.
= 후반으로 갈수록 체력이 급속도로 약화되는 것을 느꼈는데 그건 어쩔 수 없는 문제니까. 한창때는 한달 반 만에 집에 들어갔다. 역시 영화 찍는 사람들에게 그리 유별난 일은 아니다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4-01-18
-
[스페셜2]
[기획] 한국영화의 관습을 뒤집는 모종의 반란, <외계+인> 2부
‘외계’와 ‘인’ 사이의 + 기호. 속편의 개념이 아닌 1부와 2부. 고려의 도사와 외계인이 만나는 공상과학영화. 익숙함을 뒤엎는 정도로 볼 때 <외계+인>은 최동훈이 한국영화의 관습에 일으킨 모종의 반란이다. 2022년 7월에 기록된 첫 번째 시도는 154만 관객만을 포섭함으로써 잠정적인 실패로 점쳐졌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극장가의 힘겨
글: 김소미 │
2024-01-18
-
[스페셜2]
[기획] 안녕? 에반게리온, 21세기 오타쿠,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의 시대를 탐하다
1월17일에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1997)이 국내 최초로 정식 개봉한다. 덩달아 <신 에반게리온 극장판>을 포함한 신극장판 4부작도 함께 재개봉한다. 신극장판이야 21세기의 연작이니 그닥 놀랄 일 없지만,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이 <에반게리온> 시리즈의 총체적 내습 중심에 있단 사실이 흥미롭다. 1995
글: 이우빈 │
2024-01-18
-
[스페셜2]
[기획] 비극의 순간 연대의 외침, <나의 올드 오크>를 중심으로 본 켄 로치 감독의 세계
<미안해요, 리키> 이후 4년 만의 연출작이다. 어느덧 88살의 노장이 된 켄 로치 감독은 신작 <나의 올드 오크>에서 영국 북동부의 한 폐광촌으로 시선을 옮겨 이야기를 시작한다. 오래된 술집 ‘올드 오크’를 운영하는 TJ(데이브 터너)는 갑작스레 이곳에 정착한 시리아 난민들을 배척하지 않는 몇 안되는 주민 중 한 사람이다. “중요한
글: 이지현 │
2024-01-18
-
[스페셜2]
[기획] 가장 미움받은 정치인, 가장 존경받는 대통령
어느 프로그램 진행자가 한 패널에게 가장 존경하는 대통령이 누구인지 물었다. “김대중 대통령이요.” 진행자가 말하길, “너무 무난한 답이라 정치 성향을 짐작할 수 없네요”. 격세지감이다. 김대중은 한국 정치인 가운데 크고 많은 중상모략을 당했다. 1959년 강원 인제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그는 공산당원이라는 허위 선동에 시달렸다. 처음 대선 후보로 나선
글: 김수민 │
2024-01-18
-
[스페셜2]
[인터뷰] 정치인도 전문적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한 시대다, <길위에 김대중> 민환기 감독
작은 배 한척으로 시작한 해운회사로 목포의 유망한 청년 사업가가 된 김대중. 일찍이 자기 성취를 거둔 듯 보이지만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른 방향에 있었다. 바로 정치를 통해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것. 광복과 한국전쟁, 분단의 역사와 독재정치를 가로지른 그는 자신의 신념을 지켜내고 진정한 의미의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했다. <청춘 선거> <노
글: 이자연 │
사진: 백종헌 │
2024-01-18
-
[씨네21 리뷰]
[리뷰] ‘사랑하는 기생충’, 중반에 이르러 효력을 다하는 신선함
성탄절에 모든 연락 수단을 끊어버리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인 청년 코사카(하야시 겐토)는 사시사철 모자와 마스크, 장갑이 없으면 바깥 활동이 불가능하다. 극도의 결벽증이 있기 때문이다. 어느 날 한 남자가 그를 찾아와 히지리(고마쓰 나나)란 여고생을 맡아주지 않으면 지질한 음모를 까발리겠다고 협박한다. 강제로 성역을 열게 돼 불쾌한 건 잠시뿐, 코사
글: 이유채 │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