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페이스북을 통해 재회한 쌍둥이 자매 <트윈스터즈>
페이스북 친구 요청을 받는다. 그의 이름은 아나이스 보르디에, 런던에 사는 동갑내기 여성이다. 아나이스의 프로필을 살펴보던 사만다는 놀라운 사실을 마주한다. 아나이스가 자신과 똑같이 생겼을 뿐 아니라 생년월일까지 같다는 것. 25년 전, 미국과 프랑스 가정에 따로 입양돼 서로의 존재조차 모르고 자라온 쌍둥이 자매는 그렇게 SNS를 통해 재회한다. 직접 만
글: 김수빈 │
2016-03-02
-
[씨네21 리뷰]
거친 공간과 위태로운 인물들의 관계 <설행_눈길을 걷다>
그리 건강해 보이지 않는 남자가 “잘해야 한다”는 어머니의 당부를 등지고 홀로 산길을 오른다. 알코올중독에 시달리고 있는 정우(김태훈)다. 정우는 외딴 수도원으로 향한다. 들어가기 전, 담배나 한대 피우려고 주머니를 뒤적이는데 라이터가 없다. 난감한 것도 잠시, 곧 수녀 마리아(박소담)가 나타나 슬그머니 성냥갑을 내려놓고 사라진다. 그 뒤로 정우는 마리아
글: 윤혜지 │
2016-03-02
-
[씨네21 리뷰]
섬의 사람들이 숨긴 비밀 <섬. 사라진 사람들>
어느 날, 기자인 혜리(박효주)는 외딴섬의 염전에 노예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는 제보를 받는다. 심상치 않은 기운을 느낀 그녀는 카메라 기자 석훈(이현욱)과 섬을 찾아가 취재를 시작하지만 염전집 아들(류준열)을 포함한 주민들은 두 사람에게 노골적인 적대감을 보인다. 그러나 두 사람은 포기하지 않고 범죄의 증거들을 하나씩 찾으며 섬의 진실에 가까이 다가
글: 김보연 │
2016-03-02
-
[씨네21 리뷰]
거장 미카엘 하네케의 현장 <감독 미카엘 하네케>
2012년 제65회 칸국제영화제 기간, 당시는 미하엘 하네케가 <아무르>(2012)를 통해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던 때였다. 그때 찍은 인터뷰를 기점으로 다큐멘터리의 시간은 거슬러 올라간다. <하얀 리본>(2009)의 북부 독일의 마을에서 <피아니스트>(2001)의 배경이 된 빈, 그리고 <미지의 코드>(2000)의
글: 이지현 │
2016-03-02
-
[씨네21 리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작 <룸>
다섯 번째 생일을 맞은 날 아침 눈을 뜬 잭(제이콥 트렘블레이)은 방 안의 사물들에게 아침 인사를 건넨다. “안녕 화분, 안녕 TV, 안녕 세면대….” 천장의 채광창이 그나마 답답함을 견디게 해주는 좁은 방에서 잭은 엄마 조이(브리 라슨)와 단둘이 산다. 태어나 방 밖을 나가본 적 없는 잭에겐 이 방이 세상의 전부다. 방 안의 사물과 엄마만이 ‘진짜’이며
글: 이주현 │
2016-03-02
-
[씨네21 리뷰]
<동주>를 또 보고 싶은 사람이 궁금한 다섯 가지 이야기
<동주>의 울림이 꽤 깊다. 그 울림은 데이터로도 나타났다.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동주>는 22일까지 누적 관객수 22만9천명을 기록 중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동주>의 좌석점유율이다. 21일 43.6%로 1위를 기록했다. 스크린 수가 많지 않지만 관객들이 찾아서 관람한다는 뜻이다. <동주>를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2-22
-
[씨네21 리뷰]
가상의 과거를 그려낸 스팀펑크물 <죽은 자의 제국>
가짜 영혼을 주입해 부활시킨 죽은 자들을 노동용과 군사용으로 활용하던 19세기 런던. 부활 기술은 날로 발달하지만 영혼까지 되살리는 기술은 부재한 가운데, 100여년 전 과학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이 부활시킨 더 원(스고 다카유키)은 영혼까지 복원된 유일무이한 존재로 알려져 있다. 더 원은 영혼 소생의 비밀이 담겨 있다는 ‘빅터의 수기’를 들고 사라져버린 지
글: 김수빈 │
2016-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