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폴 러드] 그냥 시시하게 늙어주세요
동료들의 놀림을 견디다 못해 뛰쳐나간 ‘40살까지 못해본 남자’(스티브 카렐)를 따라잡기 위한 데이비드(폴 러드)의 웃지 못할 추격전이 시작되는 순간, 폴 러드에게 반했다. 집요하게 지분대다가도 미적지근하게 편을 들어주고, 그러다 어느새 놀림의 행렬에 동참하는, 한껏 사악하지도 힘껏 선하지도 않은 평범함. 13년 전, 그에게 청춘스타로서는 거의 유일한 스타
글: 오정연 │
2008-04-24
-
[스페셜1]
[가세 료] 미니멀리즘의 매력
한눈에 멋진 건 오다기리 조나 이세야 유스케다. 무기력한 일상을 어쩌지 못하는 평범한 회사원 가세 료는 오다기리 조를 만나서야 일탈을 처음 맛본다(<스크랩 헤븐>). <허니와 클로버>에선 가만히 있어도 여자가 따라오는 이세야 유스케의 화려함을 애써 외면하려는 듯 마음을 숨기고 여자의 뒤를 밟는다. 솔직히 말해 첫눈엔 어벙해 보였고, 두
글: 정재혁 │
2008-04-24
-
[스페셜1]
[리샤 헤일리] 총명하고 사랑스러운 자유주의자
따분한 허영의 도시인 줄만 알았던 로스앤젤레스가 생전 처음 이름값하는 ‘천국’다워 보였다. 2004년 미국 <쇼타임>이 첫 방송한 레즈비언 드라마 <L워드>의 LA는, 레즈비언/바이섹슈얼 여성들이 폼나게 일하고 진짜배기 고민과 우정(걸핏하면 애정으로 변질돼 탈이지만)을 나누는 쾌청한 낙원이다. 한데 성 정체성만 빼면 각양각색인 그녀들은
글: 김혜리 │
2008-04-24
-
[스페셜1]
[로맹 뒤리] 프랑스 남자적 로망
프랑스 남자의 시대는 갔다. 불행히도 그렇다. 장 폴 벨몽도와 알랭 들롱의 비천하고 능글능글한 밑바닥 남자의 매력은 70년대 이후 스크린에서 씨가 말랐다. 제2의 벨몽도나 들롱이 될 뻔했던 배우들? 제대로 싹이 트지도 못했다. 기욤 카네(<비독>)는 에비앙 생수처럼 담백해서 영 재미가 없다. 뱅상 페레(<여왕 마고>)는 영화를 제대로
글: 김도훈 │
2008-04-24
-
[스페셜1]
난 네게 반했어, <씨네21> 기자들의 완소 배우 12인 소개
직업으로 영화를 본다는 건 일반적인 짐작만큼 즐거운 일이 아니다. 짬날 때 즐기는 게임과 프로 게이머로서 임하는 게임이 다르고, 블로그에 올리기 위한 글과 마감시간에 맞추기 위해 쓰는 글이 다르듯, 아무런 부담없이 보는 영화와 무언가 목적의식을 품고 보는 영화는 정말 다르다. 시사회장, 개봉관, DVD 등에서 1년에 100편 넘는 영화를 보며 ‘이건 기사가
글: 장미 │
2008-04-24
-
[스페셜1]
비전형적 슈퍼히어로, <아이언맨>을 알기 위한 여덟 가지 질문
1. 대체 아이언맨은 누구인가?
아이언맨은 토니 스탁이라는 남자의 얼터에고다. 토니 스탁은 뉴욕의 부유한 공장경영자 하워드 스탁의 아들로 은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났다. 그것만으로도 배가 아플 지경인데 그는 15살 나이에 메사추세츠공대(MIT)에 입학할 정도로 타고난 영재였다. 부모가 비극적인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자 토니 스탁은 젊은 나이에 거대한 ‘스탁
글: 김도훈 │
2008-04-22
-
[스페셜1]
<아이언맨> 진정 21세기다운 슈퍼히어로
난데없이 웬 철갑을 두른 사내인가. 아이언맨이라는 슈퍼히어로는 한국 관객에게 낯선 존재다. 아니, 생판 모르는 이 철갑 두른 남자가 언제부터 유명한 슈퍼히어로였는지조차 알 길이 없다. 하지만 마블 코믹스를 읽으며 어린 시절을 보낸 북미 대륙의 영화인과 관객에게는 사정이 좀 다르다. 그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간절하게 아이언맨의 스크린 데뷔를 바라왔다. <
글: 김도훈 │
2008-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