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님은 먼곳에> 이준익 감독 최선의 페어플레이
<황산벌> 이후 이준익이 지금까지 만들어온 영화들은 모두 겸손하고 정직하다. 적어도 그는 자신이 분명히 알고 있다고 확신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만을 만든다. 그의 영화들이 지금까지 계속 남성 중심적이었던 것도 사실은 그런 정직함의 반영이다. 그는 자신이 여성주인공을 내세워 영화를 만들 만큼 여자들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
글: 듀나 │
2008-07-29
-
[스페셜1]
써니의 시대, 순이의 전쟁 <님은 먼곳에>
<님은 먼곳에>는 베트남전쟁 파병군으로 끌려간 남편을 찾으러 머나먼 타국으로 떠나간 순이의 이야기다. 순이의 이름은 써니가 되고 써니의 직업은 위문밴드의 홍일점 보컬이다. <왕의 남자>로 ‘천만’ 감독이 된 뒤 <라디오 스타> <즐거운 인생> 등 음악과 밴드에 관한 이야기를 세 번째 이어가고 있는 이준익 감독의 신
2008-07-29
-
[스페셜1]
[김지운] “극단의 시청각적 쾌감을 느껴보라”
-요즘 무슨 꿈꾸나.
=꿈꿀 시간이 없다. 며칠째 잠을 못 자고 있다.
-뭐가 그렇게 걱정되나.
=그렇게 크게 걱정하는 게 아닌데, 내가 더 할 게 없을까 하고 생각을 한다. 이문세 노래가 생각나면서. “이대로 떠나야만 하는가~.” (웃음)
-VIP시사 반응은 어땠나.
=보러 온 사람들이 영화 찍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잖나. 많이 놀라워들 하더라. 이
글: 김혜리 │
글: 문석 │
사진: 서지형 │
2008-07-22
-
[스페셜1]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에 대한 다양한 반응들
<놈놈놈>은 그간 노련하게 여러 장르들을 섭렵하던 김지운 감독이 대작영화의 규모에 짓눌린다는 인상이 강하다. 액션 스케일은 크고 캐릭터 역시 극강의 폼을 구사하지만 마지막 황야를 배경으로 한 추격전의 액션을 제외하면 오락영화로서 흥이 나는 곳이 별로 없다. 신명나는 오락영화를 추구했겠지만, 그러기엔 영화가 너무 길어 보인다. <놈놈놈>
2008-07-22
-
[스페셜1]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카운트다운, 초대형 만주 웨스턴 발진!
7월7일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이하 <놈놈놈>)의 기자시사회가 열린 CGV용산은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시사회 입장권을 구하려는 자와 입장권이 부족해 허덕이는 자, 그리고 가짜 명함으로 입장권을 빼돌려 ‘한류 관람단’ 또는 이병헌의 열혈 일본 팬들에게 팔아넘긴 암표 파는 자들이 뒤얽혀 고성이 오가는 분위기였다. 게다가 이
글: 문석 │
2008-07-22
-
[스페셜1]
부천에 가면 등골이 서늘해질지니,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추천작 24편
<바시르와 왈츠를> Waltz with Bashir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2007년/85분/아리 폴만/개막작
나는 무엇을 보았는가. 20년째 전쟁의 악몽을 앓고 있는 친구를 만난 아리는 그와 함께 참전했던 레바논전에 대한 기억이 송두리째 머릿속에서 사라져버렸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대체 무엇을, 왜 기억하지 못하는 것일까. 이스라엘의 감독
글: 씨네21 취재팀 │
2008-07-18
-
[스페셜1]
<씨네21> 서지형 기자가 뽑은 <매그넘 코리아展> 사진
세계 사진을 주무르는 매그넘의 이번 한국의 기록은 새로운 눈으로 본 매그넘 작가들의 시선을 한 장소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고 생각한다. 나의 눈에 보여진 매그넘의 사진들은 생기있고 때론 웃음과 즐거움을 주는 것들과 분단의 시선을 재해석한 것으로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전통의 시간을 따라가며 한국의 사회상을 객관적 입장에서 바라본 매그넘
글: 서지형 │
2008-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