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타]
[커버] 이것은 어쩌면 생애 가장 길고 아름다운 모험, 아카데미 장편애니메이션상 수상작 <플로우> 들여다보기
제82회 골든글로브 장편애니메이션상 수상, 제48회 안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장편영화 심사위원상 수상, 제97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애니메이션상 수상 등등. 상패가 작품에 담긴 모든 시간과 공력을 증명주는 것은 아니지만, 장편애니메이션 사이에서 <플로우>가 가히 기록적인 성과를 쌓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라트비아 최초의 아카데미 수
글: 씨네21 취재팀 │
2025-03-11
-
[디스토피아로부터]
[임소연의 클로징] 같은 괴물, 다른 괴물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전시를 보고 왔다. 가장 인상적인 작품을 꼽자면 단연 장파 작가의 <여성/형상: Mama 연작>이다. 붉은색의 살덩어리에 눈이 최소한 3개 이상인 괴물을 그린 그림이다. 다리에 엉덩이와 가슴만 달린 형상의 작은 드로잉도 눈에 띈다. 작가 이름을 검색해보니 다른 작품들도 괴물 천지다. 대개 붉은색
글: 임소연 │
2025-03-13
-
[시네마 오디세이]
[이나라의 누구의 예술도 아닌 영화] 2025년의 아포칼립스,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와 피터르 브뤼헐의 그림
이나라 경희대학교 프랑스어학과 교수
실리콘밸리의 유명 투자자는 2025년 1월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에 ‘진실과 화해의 시간’(A time for truth and reconciliation)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 트럼프를 열렬히 지지하는 이 투자자의 칼럼은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들을 진실로 주장하는
글: 이나라 │
2025-03-19
-
[영화비평]
[비평] ‘여기들’을 바라보는 저메키스의 카메라, <히어>
영화와 달리 <히어>의 원작 그래픽노블에서 카메라는 끝까지 움직이지 않는다. 이 작품은 ‘서사가 있는 그림책’이라기보단 시간 순서가 뒤죽박죽인 사진첩에 가깝다. 어떤 방법으로도 여기서 유의미한 내러티브를 만들어내긴 어렵다. 그렇게 책의 마지막 장까지 도달해도 서사에 작가의 숨겨진 의도가 없다는 걸 최종적으로 확인하게 된 독자는, 비로소 선형적
글: 김철홍 │
2025-03-19
-
[장윤미의 인서트 숏]
[장윤미의 인서트 숏] 불탄 벽지
“곧 철거하나 봐요.” 캣맘의 문자에 다음날 바로 현장에 갔다. 성매매 집결지인 이 동네의 일부에 펜스가 생긴 지 한달, 펜스 안 건물들에 대한 철거가 시작되었다. 그동안 캣맘은 빈 업소를 은신처 삼던 고양이 순이와 회색이를 밖으로 유인하기 위해 공사 관계자와 구청에 요구하여 펜스에 구멍을 뚫어두었다. 예상보다 빨리 철거일이 다가오자 우리는 말 그대로 발
글: 장윤미 │
2025-03-20
-
[LIST]
[LIST] 차우민이 말하는 요즘 빠져 있는 것들의 목록
러닝
여름에 신나게 뛰고 탈진하듯 땀 흘리는 걸 좋아한다. 날이 많이 추웠을 때도 꾸준히 달리려고 해왔다. 요즘 날이 많이 풀렸으니 한켠에 밀어뒀던 운동화 끈을 묶고 나가보시길 추천한다.
고구마+크림치즈+땅콩잼
이 세 조합으로 먹는 매력에 푹 빠졌다. 아침에 하나 간단히 만들어 먹으면 포만감이 오래가서 좋다. 좋아하는 것들의 조합이라 물리지도
글: 씨네21 취재팀 │
2025-03-10
-
[김민하의 타인의 우주]
[김민하의 타인의 우주] 마지막 인사를 건네며
1년이란 세월은 까마득히 길게 느껴지다가도 하룻밤 꿈처럼 휘리릭 지나가버리기도 한다. 지난해 2월, 처음으로 <씨네21> 칼럼을 쓰기 시작했을 때의 떨림이 아직도 생생히 기억난다. 내가 이 연재를 시작할 자격이 있는가, 내가 관찰하고 느꼈던 모든 것들이 어떻게 하면 소중히, 진심으로 독자들에게 닿을 수 있을까, 혹여나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는 말
글: 김민하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