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VIEW]
[인터뷰] 시간을 되돌릴 수만 있다면, <추적> 최승호 감독
자그마치 17년이 흘렀다. 최승호 감독이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의 이면을 집요하게 취재하는 동안 정권은 5번이나 바뀌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이 있지만 강의 허리에 꽂은 보는 여전히 그 자리에 꼿꼿이 박혀 있다. 물길을 막은 것은 보만이 아니었다. 권력과 침묵이 진실을 가로막은 사이에 4대강 유역에는 녹조가 자라나고 있었다. 전날 창원에서 개
글: 최현수 │
사진: 백종헌 │
2025-08-14
-
[디스토피아로부터]
[임소연의 클로징] 에겐남에게 끌리는 이유
언젠가부터 ‘테토녀’, ‘에겐녀’, ‘테토남’, ‘에겐남’ 같은 신조어들이 눈에 띈다. 보통 처음 보는 인터넷 밈은 무슨 뜻인가 싶어서 찾아보는데 이 용어들은 보자마자 단박에 감이 왔다. ‘테토’는 남성호르몬이라고 (잘못)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을, ‘에겐’은 여성호르몬이라고 (잘못) 알려진 에스트로겐을 줄인 말이겠지. 그렇다면 테토남은 남성스러운 남자,
글: 임소연 │
2025-08-14
-
[후아유]
[WHO ARE YOU] 무엇이든 되고 싶고 무엇이든 될 수 있는, <파인: 촌뜨기들> 김민
거칠고 무뚝뚝한 말투에 이상하리만치 친근한 거리감. 한참 냉랭하다가도 어느 순간 반짝이는 눈동자로 미래를 꿈꾸는 모습까지 선자는 한 문장으로 정의내리기 어려운 인물이다. 그런 선자가 되기 위해 배우 김민은 눈이 펑펑 내리던 2023년 겨울, 반팔 티셔츠에 얇은 롱스커트를 입고 맨얼굴로 2차 오디션장을 찾았다. 원작 웹툰 속 선자를 그대로 일으켜 세우기
글: 이자연 │
사진: 오계옥 │
2025-08-14
-
[씨네21 리뷰]
[리뷰] 재개봉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2025년 여름,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이 재개봉한다. 폭력과 배신으로 점철된 한 여성의 삶을 쇼처럼 연출한 이 작품은, 2006년 일본에서 개봉해 기이한 형식과 가학적 표현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화려한 색채, 뮤지컬의 혼합, 과장된 연기 연출은 한 인물의 파국을 시각적 퍼포먼스로 포장하지만 그 안에는 외면당한 삶이 끝내 어디로 향하게 되
글: 최선 │
2025-08-13
-
[씨네21 리뷰]
[리뷰] 갈팡질팡하는 연출, 당황스러운 내셔널리즘, <폭스 헌트>
중국 경제범죄수사대 폭스 헌트팀은 어마어마한 금액을 국외로 빼돌린 다이이첸(양조위)을 수년째 쫓고 있다. 한편 신분을 조작해 프랑스에 머물며 금융권 인맥을 쌓은 다이이첸은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는 중이다. 정보를 입수한 팀장 예준(단혁굉)과 샤오지아, 자오위(장오월)는 프랑스에 도착하지만, 국제 공조 수사는 순탄치만은 않다. 설상가상으로 다이이첸이 판 함
글: 김연우 │
2025-08-13
-
[씨네21 리뷰]
[리뷰] 성실함을 무기로 ‘천재 예술가’에 따라붙는 선입견을 비틀다, <제프 맥페트리지: 드로잉 라이프>
애플, 나이키, 에르메스. 제프 맥페트리지의 그림은 세계적인 브랜드 광고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스케이트보드 디자인으로 경력을 시작한 그는 현재 회화, 그래픽디자인, 영상 작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창작 활동을 이어가는 중이다. 미니멀하면서도 명확한 메시지를 담은 그의 고유한 스타일은 일상 속 루틴에서 비롯된다. 불안이 밀려올 때마다 그는 끊임없이 내면을
글: 김현승 │
2025-08-13
-
[씨네21 리뷰]
[리뷰] 프레임 안에서 유영하는 멸종 위기 사랑법, <나의 아픈, 사랑이야기>
뜻밖의 오진으로 암 선고를 받은 고등학생 남쯔제(첨회운). 퇴학을 피하려 꾀병 연기를 하던 그는 담임의 지시로 반장인 여쯔제(강제)의 보살핌을 받는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둘 사이에 새로운 감정이 싹트고, 장난처럼 시작된 꾀병은 결국 사랑병이 된다. <나의 아픈, 사랑이야기>는 전형적인 청춘 멜로드라마의 공식을 따르며 대만 학원 로맨스물 특
글: 최선 │
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