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미망' 김태양 감독, “매일 같은 것 같아도 조금씩 달라진다”
두 남녀가 몇년에 걸쳐 같은 공간을 거닐다 헤어지는 조각들을 담은 <미망>은 심심하게 반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안엔 많은 차이들이 숨겨져 있다. 날씨, 건물, 의상, 대화 등 미세한 차이는 일상이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 무의미한 시간이 아닌 매일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는 생동의 시간임을 증명한다. 첫 장편 데뷔작 <미망>이
글: 이유채 │
사진: 오계옥 │
2024-05-16
-
[스페셜2]
[특집] '언니 유정' 정해일 감독, “누구도 상처받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늘 지쳐 있는 대학병원 간호사 유정(박예영)은 좀처럼 얼굴 보기 힘든 고3 동생 기정(이하은)의 소식을 전화 너머 경찰에게 듣는다. 기정이 교내에서 벌어진 영아 유기 사건의 당사자라고 자수해서 구속됐다는 것. 유정은 엄마 노릇을 하며 키워왔던 기정을 구하고자 애쓰지만 동생에 관해 제대로 아는 게 없어 난항을 겪는다. 이번 전주영화제에서 CGV상을 받은
글: 이유채 │
사진: 오계옥 │
2024-05-16
-
[스페셜2]
[특집] '쿨리는 울지 않는다' 팜응옥란 감독, 베트남의 고전영화처럼
남편을 떠나보내고 고국으로 돌아온 중년 여성 응우옌(민차우), 계획에 없던 임신으로 서둘러 결혼을 준비하는 어린 조카 반(하푸엉). 베트남의 역사와 시간의 속성에 대한 팜응옥란 감독의 오랜 고찰은 올해 전주영화제 국제경쟁 부문 작품상을 수상한 <쿨리는 울지 않는다> 속마주 보는 두 세대에게로 이어졌다. 그는 시간의 유동성에 천착하게 된 계기로
글: 박수용 │
사진: 오계옥 │
2024-05-16
-
[스페셜2]
[특집] '새벽의 모든' 미야케 쇼 감독, 100%짜리 인간관계는 없다
제25회 전주영화제의 개막작은 미야케 쇼 감독의 <새벽의 모든>이다. 월경증후군(PMS)으로 고통받는 후지사와(가미시라이시 모네)와 공황장애를 앓는 야마조에(마쓰무라 호쿠토)는 충동적인 언행으로 주변 사람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인사처럼 달고 산다. 서로의 결핍을 유일하게 이해하는 둘은 전우이자 피신처로서 숨 쉴 틈을 내어준다. 16mm 카메라의
글: 이자연 │
사진: 오계옥 │
2024-05-16
-
[스페셜2]
[특집]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만난 사람들
올해의 전주국제영화제(이하 전주영화제)는 대중성을 겨냥하며 많은 관객의 호응을 얻었다. 그중 ‘전주씨네투어×마중’ 프로그램은 스크린에서 각자의 색깔을 펼쳐내는 바로엔터테인먼트 배우 9인을 더 가깝고 편하게 만날 수 있도록 ‘마중토크’ 자리를 마련했다. 마지막 회차로 진행된 공승연, 변우석, 방효린 배우 타임은 본래 행사가 이어지던 전주라운지 광장이 아
글: 이자연 │
사진: 오계옥 │
2024-05-16
-
[스페셜2]
멋지게! 신나게! 사랑스럽게!
본스타미디어제작센터는 어린이 엔터테이너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전문 기관으로 연기, 보컬, 댄스, 모델 등 다양한 영역의 감각을 깨운다. <독전> <기생충> <반도> 등 대형 캐스팅을 진행한 AB캐스팅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잠재된 재능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스타미디어제작센터는 키즈 콘텐츠 제작에도 전면적으로
글: 이자연 │
2024-05-16
-
[스페셜2]
[기획] 호러 장르의 겉과 속, 변화의 갈림길에서 묻다
공포란 무엇인가. 이 영화 속 공포의 정체는 무엇이며 왜 나는 지금 공포를 느끼는가. 점프스케어나 고어와 같이 시각적인 자극에 호소하는 공포든 오컬트나 코즈믹 호러처럼 으스스한 분위기를 만드는 공포든, 대부분의 공포는 언어로 정리되기전 무의식에 먼저 각인된다. 특히 영화 속 공포의 대상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고 충격 효과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그러므로 호러
글: 김경수 │
2024-05-16